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곡산연씨
- 청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각연사
- 단지주혈
- 밀양박씨
- 부여박물관
- 사인암
- 공산성 선정비
- 법주사
- 문경새재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국립청주박물관
- 보성오씨
- 효자문
- 선돌
- 화양동 암각자
- 부도
- 사과과수원
- 화양구곡
- 효자각
- 경주김씨
- 청풍문화재단지
- 충북의 문화재
- 문의문화재단지
- 공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상당산성
- Today
- Total
목록백운사 (11)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삼성면 용성리 서원말 뒷쪽산인 백운산에 있던 백운사의 터에 남아있는 조선시대의 승탑이다. 거의 대부분이 흙에 묻혀있으며 2호승탑은 보주부분에 균열이 가고있다. 크기는 옆에 있는 1호 승탑과 거의 엇비슷하걸로 보아 동시대에 같이 제작된것으로 추측이 된다. 조선시대의 대표적..
......... 소매저수지 못미쳐 백운사 4키로라는 이정표가 반긴다 동네로 접어들면 앞으로 보이는 백운산에 아스라히 백운사의 모습이 보인다 동네를 가로질러 외길을 따라 5분여 차로 길을 오르면 백운사가 보인다 주차장이 완비 되여있다 그동안 계속되던 불사가 멈추었는지 아직도 완성되지 못한 건..
백운사 부도군은 모두 5기의 石造浮屠를 모아놓은 것이다. 5기의 부도중 1955년에 건립한 백운사 2차 중창주인 송운제(宋雲齊) 스님의 부도를 제외한 4기의 부도는 조선시대에 조성된 것이다. 이 부도들은 조선시대 석종형부도(石鐘形浮屠)의 원형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중 4기는 방형 혹은..
백운사는 고려 27대 충숙왕(忠肅王) 8년(1321)에 창건되고 조선 영조(1725- 76)때 폐사(廢寺)된 대흥사(大興寺) 옛터에 1930년 하장우(河長雨)스님이 초막 4칸을 세우고 ‘백운사’라 이름한 사찰이다. 대흥사의 창건주는 미상이며, 구전에 의하면 이 곳에서 기거한 스님들이 힘자랑을 하다가 살..
청주에 진산인 우암산에는 참으로 절이 많타 일정규모 이상의 절부터 시작하여 사찰의 모양을 띠지 못한 개인절집 부터 굿당등이 산재하여 있다. 비지정 문화재가 많은 곳이기도 하다.충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곳은 그래도 어느정도의 관심을 받지만 그렇치 않은곳은 아직도 그 보존내지 관리 상태가 참으로 빈약하다.백운사에 자리한 석조여래입상은 원래 있던곳이 이 곳이 아니고 다른곳에서 옮겨온 듯 하다.절의 내력은 그리 오래 되지 않은 듯 하다.50여년전 "혜명"이라는 비구니 스님이 창건했다고 한다.절의 대웅전 오른쪽 계단입구 부분에 자리하고 있다.마모가 심한 상태이다.취하고 있는 수인으로 보건데 아마 약사여래가 아닌가 싶다.석불은 무릎이하로 파손된것에 새로 두발을 조각한 듯 하다.전체적인 균형미가 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