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효자문
- 화양동 암각자
- 국립청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보성오씨
- 단지주혈
- 부도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부여박물관
- 경주김씨
- 밀양박씨
- 효자각
- 각연사
- 공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곡산연씨
- 선돌
- 티스토리챌린지
- 공산성 선정비
- 화양구곡
- 문경새재
- 충북의 문화재
- 문의문화재단지
- 청풍문화재단지
- 상당산성
- 법주사
- 사과과수원
- 충주박물관
- 오블완
- 사인암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사면불상 (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이 옥개석은 1975년 청주시 석교동에서 전화회선을 까는 작업을 하던 도중 발견 되었으며 석등의 상,중,하대및 상륜부분을 찾지 못한 체 옥개석만 현재의 충북대학교 박물관 야외전시장 자리로 이건하였다. 개석을 드물게 보이는 12각형으로 글자가 2자 새겨져있으며 중심부는 석등과 연결할 수 있도록 구멍이 뚫어져 있다. 조선시대의 작품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통합청주시/상당구(上黨區)
2022. 1. 21. 10:40

상대 갑석은 2개의 돌로 조성되었으며 밑면에는 부연이 있고 윗면에는 몰딩 1단과 그 위에 각형 1단의 받침으로 탑신을 받고 있다. 상대 갑석 위의 탑신부는 탑의 몸체[옥신]와 지붕돌[개석]이 각각 1개의 돌로 조성되었는데 1층 몸돌의 4면에는 양우주가 각출되었으며 그 중앙에 여래좌상 1구씩을 양각하였다. 이 좌상들은 모두 통견의 상으로 원형의 이중 두광이 있고 연화좌 위에 결가부좌하고 앉아 있는데 수인에서 차이를 보여 불상의 종류를 알 수 있게 해준다. 현재의 위치대로 본다면 동면의 상은 약기인을 취한 약사여래이고, 남쪽은 지권인을 하고 있는 비로자나불이며, 서면의 상은 항마촉지인을 취한 석가여래, 북면의 상은 설법인의 아미타여래이다. 이들 사방불은 시대에 따라 불상의 배치와 양식이 다르지만 이 석탑이 ..
통합청주시/상당구(上黨區)
2021. 12. 18. 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