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청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충북의 문화재
- 공산성 선정비
- 공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상당산성
- 효자각
- 사과과수원
- 사인암
- 부도
- 곡산연씨
- 충주박물관
- 선돌
- 문경새재
- 청풍문화재단지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각연사
- 경주김씨
- 화양동 암각자
- 국립청주박물관
- 화양구곡
- 단지주혈
- 법주사
- 밀양박씨
- 효자문
- 보성오씨
- Today
- Total
목록이대건 (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ghB8f/btrPwZdBYFM/Ily1zqaZyVxNEkkGWlj570/img.jpg)
초평면 용정리에 있는 경주인 이대건의 묘지입니다.아들인 이시발의묘와 함께 이시발의 손자인 이인환의 묘와 같이 자리하고 있습니다.묘지에는 호석을 둘렀으며 후손들에 의하여 석물이 후보되어 있습니다. 아들인 이시발의 신도비와 함께 있는 이대건의 신도비이며 쌍오비각이란 이름으로 중북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습니다. 이대건(李大建)의 본관은 경주로, 고려 후기 유학자로 명성이 드높았던 익재 이제현(李齊賢)의 후손이다. 사마시에 급제하였으나 25세라는 젊은 나이로 요절하였다. 아들이 후에 영의정으로 추증된 이시발(李時發)이다. 이시발이 임진왜란 때 의병장 박춘무(朴春茂)를 따라 공을 세운 데 이어 1596년(선조 29)에는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하고, 1624년(인조 2) 체찰부사로서 이괄(李适)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mS9y1/btrPyMj2XuP/GgOGke0k2iw1XdvYBOHZI1/img.jpg)
이인환은 1633(인조 11)∼1699(숙종 25).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문백(文伯), 호는 생곡(生谷). 이대건(李大建)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판서 이시발(李時發)이다. 아버지는 이경휘(李慶徽)이며, 어머니는 심대복(沈大復)의 딸이다.1660년(현종 1) 진사시에 합격하고, 1665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검열·정언·수찬 등을 지냈다. 지평·부수찬을 거쳐 1675년(숙종 1) 암행어사가 되었으며, 1680년 사간·집의, 1681년 응교·승지, 1684년 대사간이 되었다.1685년 이이(李珥)의 신원(伸寃: 원통함을 풀어버림)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대사성·경기도관찰사·개성부유수를 거쳐 1697년 도승지를 역임하고 이조판서에까지 올랐다. [李寅煥]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정의]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시발의 신도비. [개설] 이시발[1569~1626]은 인조 대의 문신으로, 1596년(선조 29)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하였으며 북변(北邊)을 방비하기 위해 함경감사로서 포대와 성곽을 보수하였다. 이괄(李适)의 난 때에는 체찰부사(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