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곡산연씨
- 선돌
- 문의문화재단지
- 충북의 문화재
- 오블완
- 문경새재
- 국립청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공주박물관
- 밀양박씨
- 보성오씨
- 법주사
- 한독의약박물관
- 화양구곡
- 단지주혈
- 사과과수원
- 충북나그네
- 경주김씨
- 공산성 선정비
- 부도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부여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사인암
- 효자각
- 각연사
- 효자문
- 충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상당산성
- Today
- Total
목록충주박물관 (47)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 있는 조선 후기 석탑.원래 충주시 중앙탑면 하구암리 묘곡의 새마을창고 옆 장병만 가택 후원에 세워져 있던 것을 충주박물관으로 옮겨 세운 석탑이다. 많은 부재들이 결실되어 원래의 모습을 추정하기 어려운 상태이며, 전체적으로 치석 수법도 조잡한 편이다. 다만 전체적인 외관과 부재들이 석탑 양식을 취하고 있다.하구암리 석탑은 탑신석으로 보이는 부재들과 치석 수법이 조잡하기는 하지만, 지붕돌[옥개석]으로 보이는 부재가 남아 있어 석탑 양식을 보이고 있다. 처음에 어떤 용도와 기능으로 건립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석탑이 있었던 자리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도 이루어지지 않아 사찰이 있었는지도 알 수 없다. 다만 남아 있는 부재들이 석탑 양식을 취하고 있어 신앙의 대상으로 건..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 있는 고려 전기 삼층석탑.충주시 대소원면 장성리 부연에는 오래전부터 유학사지(遊鶴寺址)로 전해지는 사지가 있었다. 사지에는 한가운데 석탑이 붕괴된 채로 남아 있었는데, 이 석탑이 유학사지 삼층석탑이다. 또한 절 터에서는 불두(佛頭)가 절단된 석불좌상 1구를 비롯하여 다량의 자기편과 기와편들이 출토되었는데, 대부분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들이었다. 이들 유적과 유물로 미루어 유학사는 고려시대 창건되어 법등을 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석탑은 기단부를 비롯하여 파손이나 결실된 부재들이 많기는 하지만, 고려시대 성행한 석탑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대소원면 부연마을에 있는 현재의 유학사의 모습입니다]유학사지 삼층석탑은 유학사지로 전해지는 사지 한가운데 붕괴된 채로 남아있..
충주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는 신만리 출토 석불입상입니다.엄정면 신만리 탄방마을에서 발견된 석불입상이다조성시기는 통일신라말에서 고려초기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머리가 결실된 석불입상으로 현재 높이만 255센티가 넘는 당당한 장육불상이다. 불상은 어깨가 당당하며 허리가 잘룩하고 육감있게 보이며 그 중심축이 약간 오른쪽으로 쏠려있는 굴신상이다.법의는 통견으로 옷주름이 상체에서는 U자형을 이루고 허리에서는 양다리로 가기 둥글게 옷주름이 흘러내리고 있다.오른손은 엄지를 들고 중지와 약지로 살짝 법의를 움켜잠은 형상이며 왼손은 여원인을 하고있다 석불의 대좌는 결실되여 확인할수는 없으나 늘어진 법의자락밑으로 발가락이 보인다.전체적인 모습이 단양보국사지 석불을 연상케하며 조성시기는 통일삼국시대말~고려초기정도의 시기로 추정..
1982년 율릉리 노곡마을 안준영씨 댁 뒤편 산 밑에 있던 대형 석불로 현재는 충주박물관 야외전시실로 옮겨와 전시되고 있다. 머리부분이 다소 손상되었으나 양감이 풍부하고 조각수법이 고격을 보이는 훌륭한 상이다. 율능리는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에 속하는 법정리이다행정구역 개편 전의 이름인 율리(栗里)와 능리(陵里)에서 ‘율(栗)’자와 ‘능(陵)’자를 따 ‘율능(栗陵)’이 되었다.본래 충주군 엄정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충주군 엄정면 율리·능리·노곡리(蘆谷里)·태산동(台山洞)이 통합되어 율능리로 개편되었다. 1956년 7월 8일 충주읍이 충주시로 승격됨에 따라 중원군에 속하게 되었고, 1995년 1월 1일 중원군이 충주시와 통합되면서 충주시 엄정면 율능리가 되었다. 율능리에는 비마루..
충주박물관내에 실내에 있던 하구암리 석불이 야외전시장으로 자리를 잡았네요. 상호는 모두 민초들에게 돌려주고 시원한 강바람에 흐뭇하게 미소짓는것 같습니다. 하구암리 석불입상은 고려시대의 석불입상으로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충주시 중앙탑면 하구암리 62번지 묘곡마을에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