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한독의약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곡산연씨
- 상당산성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화양동 암각자
- 효자각
- 보성오씨
- 청주박물관
- 효자문
- 화양구곡
- 사인암
- 밀양박씨
- 문경새재
- 오블완
- 법주사
- 부여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각연사
- 티스토리챌린지
- 경주김씨
- 충주박물관
- 부도
- 선돌
- 사과과수원
- 공산성 선정비
- 공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단지주혈
- Today
- Total
목록충주박물관 (37)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가금면 봉황리의 햇골산 아래 농지정리중에 발견된 석재물이다인근 봉황리사지의 있던 석탑이 아닌가 추정된다햇골산 아래 번성했던 가람이 소재하지 않았나 추측될 뿐이다봉황리 햇골산 중턱에 위치한 봉황리 마애불상군과 연관이 있지 않나 생각이 든다봉황리사지의 모습은 어디에도 흔적이 남아 있질않타고려초기 이후의 작품으로 추정된다탑의 몸돌에는 사면을 돌아가며 불상이 조각되여 있다 농지정리를 하던 중장비기사의 신고로 가금면사무소에서 보관하고 있다가현재는 충주박물관 야외 전시장에 전시되여 있다
엄정면 신만리 탄방마을에서 발견된 석불입상이다조성시기는 통일신라말에서 고려초기정도로 추정되고 있다충주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세워져 있다
[정의]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전기 석조 보살좌상.[개설]성불사 석불좌상은 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의 성불사에 있던 불상으로 현재 충주박물관 야외전시실로 이전, 전시되고 있다. 불정면은 행정구역상 괴산군에 속하지만 옛 충주에 속했던 지역이다.[형태]높이 98㎝인 성불사 석불좌상은 전면에 덧칠을 하고 손목 이하 부분은 시멘트로 보수하였기 때문에 원형이 크게 훼손되었으나 원래의 모습은 짐작할 수 있다. 머리는 큰 편으로 원통형 보관을 썼으며 이목구비는 마멸이 심하여 어렴풋이 보일 뿐이지만, 코는 작게 표현하였고 입술은 굳게 다물고 있다. 어깨는 당당하고 목에 장신구를 표현하고 있다.법의는 편단우견으로 도식화된 평행 사선이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으로 흘러내리..
과수원엘 가면 한번씩 둘러보는곳그리 자주 대하니 귀한줄을 모르나 보다항시 그자리에서 언제나 말없이 바라보는 탑그러한 탑이 항시 곁에 있으니 너무나 좋타.
[정의]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에서 고려시대로 추정되는 석불입상.[개설]1982년 당시 중원군 엄정면 율능리 노곡마을 안준영의 집 뒤편 산 밑에 있던 대형 석불로, 무릎 이하가 매몰되었고 왼쪽으로 약 10도 가량 기울어진 모습으로 발견되었다. 현재는 충주박물관 야외전시실로 옮겨와 전시되고 있다.[형태]머리 부분이 다소 손상되었으나 양감이 풍부하고 조각수법이 고격을 보이는 훌륭한 상이다. 머리 부분은 소발에 작은 육계가 있고, 이목구비는 마모되어 그 위치만을 파악할 수 있다. 목 부분은 훼손되었으나 보수하지 않고 그대로 맞추어 놓았다. 목에는 삼도가 있고 당당한 어깨와 가슴 등에서 풍만함을 느낄 수 있다.다만 오른쪽 어깨로부터 아래로 내려 흐르는 선이 대략 수직인 데 비..
[정의]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 있는 고려 전기 삼층석탑.[개설]충주시 이류면 장성리 부연에는 오래전부터 유학사지(遊鶴寺址)로 전해지는 사지가 있었다. 사지에는 한가운데 석탑이 붕괴된 채로 남아 있었는데, 이 석탑이 유학사지 삼층석탑이다. 또한 절 터에서는 불두(佛頭)가 절단된 석불좌상 1구를 비롯하여 다량의 자기편과 기와편들이 출토되었는데, 대부분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들이었다.이들 유적과 유물로 미루어 유학사는 고려시대 창건되어 법등을 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석탑은 기단부를 비롯하여 파손이나 결실된 부재들이 많기는 하지만, 고려시대 성행한 석탑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건립경위]유학사지 삼층석탑은 유학사지로 전해지는 사지 한가운데 붕괴된 채로 남아있었다. 석탑이 있었던 사찰은 사지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