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문의문화재단지
- 법주사
- 청풍문화재단지
- 단지주혈
- 공주박물관
- 밀양박씨
- 효자문
- 사인암
- 화양구곡
- 한독의약박물관
- 부여박물관
- 오블완
- 화양동 암각자
- 곡산연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국립청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공산성 선정비
- 충주박물관
- 상당산성
- 경주김씨
- 문경새재
- 효자각
- 선돌
- 사과과수원
- 청주박물관
- 부도
- 보성오씨
- 티스토리챌린지
- 각연사
- Today
- Total
목록표충사 (15)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청주시 상당구 수동에 위치한 표충사경내에 있는 표충사묘정비(表忠祠廟庭碑)이다. 주벽으로는 이봉상을 좌우로는 남연년과 홍림을 모시고 있다. 묘정비란 일명 서원비(書院碑)라고도 한다. 서원의 건립취지와 그 서원의 주인, 곧 주벽(主壁)으로 모시는 인물에 대한 추앙의 문장 등이 ..
수동에 위치하고 있는 표충사 경내에 위치하고 있는 삼충사 사적비이다. 삼충사 사적비는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에 있는 표충사(表忠祠)의 건립내력과 사적을 기록한 비석이다. 1731년(영조 7)에 표충사(表忠祠)를 건립하면서 함께 세웠으며, 표충사의 창건 내력을 기록하였다. 비석..
청주시 상당구 수동에 있는 표충사(表忠祠)의 이건 내력을 기록한 비석이다. 1731년(영조 7) 청주읍성(淸州邑城)의 북문 안에 표충사(表忠祠)를 1939년 도시계획에 밀려 지금의 자리로 옮기면서 그와 관련된 내력을 기록한 것이다. 상당구 수동 표충사(表忠祠) 안 내삼문으로 올라가는 계단 ..
이걸 횡재라고 표현을 해야하나? 표충사 내부를 촬영하지 못하여 이리저리 연락하여 수동에 위치한 표충사에 관리하시는 분과 연락이 닿아 사진을 찍기를 원하니 약속시간을 잡았다. 조금 일찍 도착해 담밖에서 경내를 살피다 보니 비석 하나가 들어가는 입구에 서있다. 마침 표충사를 관리하시는 변상진원장님이 오셔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 비석에 대해 물으니 당신도 비석에 대하여 아는바가 없다고 하시며 표충사와는 관련이 없는 비석이라고 말씀을 해주신다. 비석의 석질이 좋치않아 글씨를 알아보는데 조금 힘이 들었다.글씨를 자세히 살펴보니 통어사민공응식영세불망비(統禦使 閔應植永世不忘碑)라고 음기되여 있으며 비의 건립년도는 정확히 알수가 없다.1888년에 민응식이 통어사로 부임을 하여 1890년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형..
청주시 상당구 수동에 있는 기생 해월의 정려각이다.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순절한 홍림(洪霖)[1685~1728]의 첩실이었던 기생 해월(海月)의 절행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정려각이다. 해월의 정려각은 표충사 경내에 있다.표충사는 이인좌가 난을 일으켜 청주읍성으로 쳐들어갔을 때 반란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