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화양구곡
- 선돌
- 한독의약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단지주혈
- 부도
- 문의문화재단지
- 효자각
- 각연사
- 오블완
- 곡산연씨
- 부여박물관
- 청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밀양박씨
- 법주사
- 사인암
- 공산성 선정비
- 보성오씨
- 티스토리챌린지
- 청풍문화재단지
- 충주박물관
- 상당산성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화양동 암각자
- 경주김씨
- 효자문
- 문경새재
- 충북의 문화재
- Today
- Total
목록효자각 (25)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옥천읍 서대리 서당골에 위치한 박세환의 효자각이다 고종41년(1904년)에 정려되였다 서대리(書垈里)는 원래 군남면(郡南面) 송고개리(松古介里), 신대리(新垈里), 서당리(書堂里)와 신원리(新院里) 일부에 속해 있던 마을로서, 후에 이를 합쳐 서대리라 하고 옥천읍에 속하게 하여 ..
이 효자각은 1927년에 시종원경(侍從院卿) 송즙수(宋楫洙, 1846∼1911)의 효행을 기리어 그의 후손인 은진송씨(恩津宋氏) 문중에서 세운 정려이다. 지금의 효자각은 1962년에 보수한 건물로 정면 1간, 측면 1간 겹처마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이다. 정려의 사면은 홍살로 막고 안에는 효자문 편..
이 효자각은 조선 고종 24년(1887)에 풍천인(豊川人) 영은(靈隱) 임기백(任岐白, 1777∼1803)의 효행을 기리어 세운 정려이다. 지금의 효자각은 1932년에 중건하고 1986년에 중수한 건물로 정면 1간, 측면 1간 겹처마 맞배지붕의 목조기와집이다. 정려의 사면은 홍살로 막고 안에는 효자정문 편액..
[진천에 있는 최유경의 정려이다} 이 효자비는 조선 숙종 26년(1700)에 효행으로 나라에서 정려한 최유경(崔有慶)의 효행을 기리어 세운 효자비이다. 비의 전면에는 "조선효자 참찬평도공최유경지문(朝鮮孝子 參贊平度公崔有慶之門)"이라 음각하였다. 이 비석을 보호하기 위해 1988년에 ..
이 효자각은 조선 선조 35년(1602)에 초계인(草溪人) 백음(栢陰) 변경복(卞景福, 1538~1629)의 효행을 기리어 세운 정려이다. 지금의 효자각은 1930년에 중건하고 1988년에 같은 마을에서 지금의 위치로 이전한 건물로 정면 1간 측면 1간 겹처마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이다. 정려의 사면은 홍살로 ..
윤령(尹聆, 1543~1593)은 조선시대 효자이다. 본관 파평. 자 언성(彦聲), 호 모암(慕庵). 청원군 북이면 내추리출신. 파평부원군 좌익공신 공간공(恭簡公) 윤형(尹炯)의 현손으로 부친은 충좌위 부사관 사화(思和), 어머니는 행주 기씨(幸州奇氏)이다. 8세 때에 부친과 백씨의 상을 함께 당하여 3년간 묘막살이를 하였다. 15세 때 또어머니의 병환이 위독하자 밤낮을 가리지 않고 분향하며 하늘에 축원하기를, “이 몸이 대신 죽어서라도 어머님의 병환만 낫게 해 주십시오”라고 빌었다. 그러나 불행히도 그해 8월에 별세하니 선산 내추리에 합장하였다. 공이 다시 시묘를 살 때 그 효성이 하늘에 닿았는지 어디선가 까치와 까마귀 한 쌍이 묘 앞 나무에 날아들어 수시로 울고 그치기를 계속하다가 3년이 되어 날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