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도안면 송정리 연창희송덕비(道安面 松亭里 延昌熙頌德碑) 본문

충북의 바람소리/증평군(曾坪郡)

도안면 송정리 연창희송덕비(道安面 松亭里 延昌熙頌德碑)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14. 5. 26. 20:37

 

송정리(松井里)는 북쪽에 있는 절터골과 배티골에서 발원한 물이 남쪽으로 흐르며 송정천을 이룬다. 마을 뒤에 동막골, 점골, 입장골, 청려골 등의 여러 골짜기가 병풍처럼 둘러 있다. 칠송리, 입장리, 소강정리, 월강리, 하정리, 전당리, 노하리, 괴섯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칠송과 소강정의 이름을 따서 송정리라 하였다. 자연마을로는 입장, 철송, 통뫼, 가장리, 월강, 소강정, 가무지, 새동네 등이 있다. 입장은 송정리 가장 북쪽 골짜기에 형성된 마을로 아랫마을과 윗마을로 나누어져 있다. 약 300여 년 전에 장이 섰다 하여 입장이라 하였다. 담배 등을 재배한다

 

송정리 통미마을에 있는 일제시대에 구장을 지냈던 연창희의 송덕비이다

통미마을은 곡산연씨들의 집성촌이다. 아직도 통미마을은 연씨들이 대성을 이루고 있다.

 

연창희는 일제시대에 구장을 지냈던 인물이다

송덕비의 건립시기는 단기 4272년이다 서기로 따지면 1939년이다.

일제 강점기이면서도 송덕비의 건립연도가 단기로 표시된것이 특이하다.

곡산연씨가문에 독립투사들을 많이 배출한것도 이와 연관이 있지 않나 하는 혼자만의 생각을 해보았다.

 

 

송정2리 통미마을 마을회관 벽에 동네 지도가 예쁘게 걸려있다.

 

통미[桶-]/통뫼(桶-)/통메(桶-)/칠송(七松)/칠송정(七松亭) : ‘통미’는 ‘종지붕’에서 시작한 산줄기 끝에 형성된 마을이다. 『호구총수(戶口總數)』(정조 13년, 1789)에는 ‘칠송정리(七松亭里)’로,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에는 ‘칠송(七松)’으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1914년 이전)에는 ‘七松/통뫼’으로 기록되어 있다. 현재는 부르거나 쓰는 이름 모두 ‘칠송’보다는 ‘통미’라는 이름을 주로 사용한다. ‘통미’는 ‘통’과 ‘미’로 나뉜다. 여기서 ‘통(桶)’은 ‘어떤 물질을 담을 수 있도록 나무ㆍ금속ㆍ플라스틱 등으로 깊이가 있게 만든 물건’을 뜻한다. 지명에서 ‘미’는 ‘메’ㆍ‘모이’ㆍ‘뫼’ㆍ‘매’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산(山)’을 뜻한다. 따라서 ‘통미’는 ‘통을 엎어 놓은 듯 동그랗게 생긴 산’으로 풀이될 수 있다. ‘통뫼’나 ‘통메’ 또한 그 뜻이 같다. 이 마을은 중앙에 통(桶)처럼 동그랗게 생긴 산이 있었다. 그러나 동산 뒤쪽으로 개울이 형성되면서 통처럼 생겼던 산이 물에 의해 침식되어 어른도 오르기 힘든 가파른 언덕이 되었다. 그리고 그 언덕에 큰 나무들이 빽빽하게 우거져 숲을 이루었다. 그런데 1990년 여름 태풍으로 언덕에 있던 큰 아카시아나무가 쓰러져 언덕 아래 있는 집을 덮칠 위험에 빠졌다. 이후로도 몇 번 이와 같은 일로 위험한 처지에 놓이자 마을 사람들이 다 같이 걱정하던 중, 1997년 당시 조영창(趙永昌) 증평출장소장이 마을을 방문했을 때 애로 사항을 얘기하여 지금의 모습으로 언덕을 개축하였다. 마을 사람들은 그곳을 ‘언덕’이라 부른다. 그리고 애초에 이 마을이 ‘통미’에 의지해 형성된 것임을 알기에 남아있는 언덕을 함부로 대하지 않고 가꾸며 위한다. 그 옛날 땔감이 귀했던 때에도 이 언덕에서 나오는 것은 썩은 나뭇가지 하나라도 함부로 가져다 때지 않았으며, 언덕고사를 지내며 마을의 발전과 평화를 기원하였다.

 

 

통미마을 경로당 옆에 게이트볼장옆에 있는 연창희의 송덕비는 마을주민들에 의해 잘관리되고있다.

등나무 아래 휴게실에 계신 어르신과 이야기를 나누보니 당신 4-5살에 건립되였다며 그간의 이야기를 나누어 주신다.

연창희송덕비 옆으로 마을자랑비와 마을향약비가 같이 서있다.

 

송덕비의 전면에는 구장연공창희송덕비(區長延公昌熙頌德碑)라고 음각되여 있다.

일제강점기 당시 송정리와 연촌리의 모든 마을을 합하여 일을 보았던 구장이 있었다. 그 당시 송정리와 연촌리구장을 지낸 연창희(1906-1983)의 송덕비가 있다. 1939년 송정 연촌주민들이 10년 정도 구장을 지낸 연찬희의 덕을 기려 송덕비를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