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불정면 목도리 이태호공적비(佛頂面 牧渡里 李泰浩功績碑) 본문

충북의 바람소리/괴산군(槐山郡)

불정면 목도리 이태호공적비(佛頂面 牧渡里 李泰浩功績碑)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15. 12. 13. 06:47

 

이태호(李泰浩:1861~1943)는 본관이 전주이며 이희상(李羲祥)의 아들이다.

어려서 부터 기개가 남다르고 명철하여 지도적 역할을 하였다. 인도교(人道敎)라는 종교를 창시하여 포교를 통해 민족성을 고양하고 개화의 선구자가 되어

후진양성에 큰뜻을 갖고 사재를 털어 목도초등학교 설립에 기여하였다.

 

비석은 목도초등학교를 들어서며 우측에 자리하고 있으며 비 전면에는 전사이태호선생공적비(典祀李泰浩先生功績碑)라고 쓰여있다

비문은 박두환이 짓고 김규현이 썼다. 비석의 조성시기는 1969년이다.

 

전사(典祀)란 조선말 때 장례원에 딸리어 제사의 일을 맡아보던 칙임관. 또는 주임관이다.







일제강점기 시절 일제에 친일 행위를 한일도 발견이 되어 이태호를 다시 조명하여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관련기사 내용을 링크하여 놓았다.

그런데 일제강점기 시절의 언론 보도 내용을 살펴보면 비문에 새겨진 것과는 다른 정황이 소속 나옵니다.
조선총독부의 기관지 역할을 했던 매일신보는 1937년 이태호씨가 보기드문 ‘황실주의자’이고 중일전쟁 당시 ‘황군장병’의 노고에 감격해 모금활동을 했다고 보도합니다.
매일신보는 1937년 9월 4일 신문에서 <육십세 이상 남녀에게 전사상자 조위금을 모집 /
77세의 괴산 이태호 옹 선두에 서서 대 활동>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습니다.
우선 매일신보는 이태호씨는 조선총독부총독과 기타의 유명한 인사와 알고 친하게 지내고 있는 조선내에서 보기드문 ‘황실주의자’라고 소개합니다.
이어 이태호씨가 지나사변(중일전쟁)이 일어나 황군장벽의 노고에 감격하야 77세의 노골이라 하더라도 도저히 그대로 앉아 있을수 없다면서 모금운동을 시작했다고 소개합니다.
매일신보는 이태호씨가 동면내 60세이상의 남녀로부터 ‘황군(일본군) 전사사상자 조위금(위로금)을 모집하고자 불정면장 이지영(李之榮)씨와 협력해 모금운동을 하고 있다고 소개합니다.
그러면서 “노옹(나이든 노인, 이태호를 지칭)의 활동에 일반이 감격하고 있다한다”고 기사를 마무리합니다.

출처 : 충북인뉴스(http://www.cbinews.co.kr)




이태호(李泰浩) 1861(철종 12)~1943으로 불정면 목도리 출신으로 본관은 전주다. 조선 태조의 장남 진안대군 이방우의 후손으로 감찰공 이주국(李柱國)의 현손이며 이희상(李羲祥)의 아들이다. 1910년(강희 4)에 장예원(掌禮院) 전기(典杞)를 지냈다. 어려서부터 기개가 남다르고 명철하여 중지의 지도적 역할을 하였다. 그는 후진 양성에 큰 뜻을 갖고 사재를 털어 목도초등학교를 건립할 터를 희사하여 처음으로 학교가 서게 되었다. 또한 목도의 치안이 안전하지 못함을 알고 목도지서 건립에 일익을 담당했다. 목도(닭계 들)가 하절기에는 홍수로 들이 침수되어 농민들의 피해가 심하자 앞장서 주민들을 설득시키고 당국에 호소해 일부 지원을 받아 제방축조 공사를 실시하게 해서수리안전답이 되었다. 불정면 면민들은 그의 공을 기리기 위해 송덕비를 학교 앞에 세웠다.
또한 이태호는 불정면 목도리에 한국 유일의 인도교(人道敎)를 창시했다. 진안대군은 배향한 청덕사(淸德祠) 옆에 거주했는데, 그곳에서 인도교를 창시하고 이를 기념하여 그 청덕사경내에 ‘인도교의 창립기념비’와 ‘인도교 교리 강령비’를 세웠다. 이 비석들은 1917년 경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비는 함석판에 사기로 양각되었으며 기념비는 사방 1m의 기단 위에4면 2단으로 되어있는데, 정면(東面)에 ‘인도교의 창립기념비’라 적고, 북측면에 한자(漢字)로“인도정의(人道正義) 민중행복(民衆幸福)”, 남측면에 “종교통일(宗敎統㊀) 세계평화(世界平和)”, 후면에 “인도상선무생활난(人道上先務生活難)”이라 기록했다. 1943년 세상을떠나자 더 이상 명맥을 유지하지 못했는데, 비도 2000년대에 훼철되었다.【참고문헌】 『괴산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