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청주박물관 사뇌사 금강령(淸州博物館 思惱寺 金剛鈴) 본문

박물관 구경하기/청주박물관(淸州博物館)

청주박물관 사뇌사 금강령(淸州博物館 思惱寺 金剛鈴)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16. 12. 5. 19:08



고려시대의 금강령으로 청주 사뇌사에서 사용하던 것으로 1993년에 발견되였다.



금강령(金剛鈴)은 불교의식에서 쓰이는 도구이다.

불교의식때 소리를 내는데 사용하며 손잡이가 금강저와 같은 모양으로 종(鍾)과 금강저가 합쳐진 형태이다.

사뇌사 금강령은 몸체에 2명의 천인(天人)과 악귀를 밟고있는 사천왕이 새겨져 있으며 물고기 얼굴모양의 설이 달려있는점이 특징이다.



불교, 특히 밀교에서 사용하는 불구()이다. 간단히 금령()이라고도 한다. 여러 부처를 기쁘게 하고, 보살을 불러 중생들을 깨우쳐 주도록 하기 위해 사용한다. 불교가 발생한 인도에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사용된 예가 없다. 중국에서는 당나라 때 금강저()와 함께 밀교 수행에서 사용되었다. 금강저와 함께 쓰인다고 해서 금강령이라는 명칭이 붙었으며, 몸통은 종 모양이고 금강저 모양 손잡이가 달려 있다. 하지만 손잡이에 보주()가 달린 것도 있고 탑이 달린 것도 있다. 보주가 달린 것은 보령(), 탑이 달린 것은 탑령()이라고 부른다.

손잡이 부분의 고리가 몇 개인가에 따라 명칭이 달라지는데, 1개일 경우 독고령(), 3개는 삼고령(), 5개는 오고령, 9개는 구고령이라 한다. 이중 독고령과 삼고령·오고령·보령·탑
령의 다섯 가지가 많이 사용되어 이를 오종령()이라고 한다. 오종령은 다섯 가지 금강저(이를 오종저라 함)와 함께 큰 단 위에 방위별로 놓인다. 우리 나라에서 많이 쓰이는 것은 삼고령과 오고령으로, 이 두 가지는 특별히 요령()이라고 한다. 티베트에서는 금강령을 장령()이라고도 하는데, 구고령이 많이 쓰인다. 그밖에 부처와 신중을 묘사한 불상령()과 종자령() 등이 있다. 크기는 대부분 15∼20cm이다. 금강령[金剛鈴]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