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단지주혈
- 경주김씨
- 충북의 문화재
- 부여박물관
- 공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각연사
- 곡산연씨
- 공산성 선정비
- 부도
- 사과과수원
- 상당산성
- 청풍문화재단지
- 문경새재
- 티스토리챌린지
- 보성오씨
- 충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법주사
- 오블완
- 선돌
- 화양구곡
- 효자문
- 밀양박씨
- 화양동 암각자
- 국립청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사인암
- 효자각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청산면 교동리 정순철벽화(靑山面 校洞里 鄭順哲壁畵) 본문
청산면 교동리 마을회관앞에 담에 그려진 정순철의 벽화입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1946년에 작곡한 졸업식노래를 작곡하였습니다. 교동리 마을전체가 잘 그려진 벽화가 가득합니다
작곡가 정순철의 여러 노래가 온동네에 가득합니다.
정순철은 작곡가(동요). 충북 옥천(沃川) 출생. 일본 동양음악학교(東洋音樂學校: 현 동경음대의 전신) 졸업. 동덕여고보(同德女高普) 선생. 조선가요협회(朝鮮歌謠協會)의 발기인이다.일제강점기 색동회 회원으로 방정환(方定煥)·윤극영(尹克榮)과 함께 어린이사랑운동의 일환으로 많은 동요를 창작했고, 작품으로 "까치야"·"물새"·"갈잎피리" 등이 있다.
1923년 방정환을 중심으로 동경에서 발족한 한국인의 아동문학 동인회인 색동회의 회원 중 한 사람이다. 방정환이 1923년에 지은 동요 가사 "형제별"에 그가 곡을 붙였다. 이 동요는 창작 동요의 효시 중의 하나로 꼽힌다.
1924년 색동회 소속의 그가 여학생계의 "流行歌 是非"라는 주제로 의견을 수렴할 때, "童謠를 권고합니다"라는 글을 『新女性』(1924) 6호에 발표했고, 방정환이 작요하고 그가 작곡한 "늙은 잠자리"의 오선보는 『어린이』(1929) 7권 8호에 발표되었다.
1929년 창작 동요집 『갈잎피리』를 개벽사에서 출간했다. 이 동요집에 "우리 아기 행진곡"(윤석중 작사)·"까치야"(김기진 작사)·"늙은 잠자리"(방정환 작사)·"길 잃은 까마귀"(이정진 작사)·"물새"(허봉)·"여름비"(방정환 작사)·"흰 모자"(황세관 작사)·"봄"(한정동 작사)·"갈잎피리"(한정동 작사)·"나뭇잎배"(방정환 작사) 이상 10편의 창작 동요가 수록되어 있다. 1929년부터 발매된 빅타음반에 "짝짝궁"이 취입되었다.
일본 유학 후 동덕(同德)여고·중동(中東)학교·중앙보육학교·무학(舞鶴)여고·성신(聖神)여고의 음악교사를 역임했다. 그의 동요곡집 『갈잎피리』는 1929년 개성에서 출간되었다. 일제강점기 그가 작곡한 "형제별"의 노래 가사와 오선보는 『어린이』(1923) 1권 8호에 발표됐고, 김기진이 작요(作謠)하고 그가 작곡한 "까치"의 오선보는 『어린이』(1924) 2권 3호에 발표되었다.
1929년 2월 25일 조선가요(朝鮮歌謠)의 민중화를 위해 이광수(李光洙)·주요한(朱耀翰)·김정식(金廷湜) 등과 함께 조선가요협회 창립 발기인의 한 사람으로 참여하고 작곡부를 담당하였다. 1929년 4월 15일 조선가요협회의 제1회 작품수집 보고가 있었고, 열네 편의 작품은 동 협회 작곡부의 김영환·안기영·정순철에게 넘겨졌다.
그의 동요작곡집 『갈닙피리』가 개벽사(開闢社)에서 출간됐다는 소식은 『別乾坤』(1930) 34호에 소개됐다. 그가 작곡하고 김동환(金東煥)이 작요한 "鍾路 네거리" 및 그가 작곡하고 찬세관(贊世冠)이 작요한 "헌모자"는 『學生』(1930) 2권 1호와 3호에 발표됐으며, 그가 작곡하고 작요한 "풀벌레 合唱"은 『別乾坤』(1930) 31호에 발표되었다.
일제강점기 그가 작곡하고 방정환이 작요한 "눈"은 『어린이』(1930) 8권 7호에 발표됐고, 그가 작곡하고 최영주(崔泳柱)가 작요한 "호들기"는 『新女性』(1931) 5권 3호에 발표됐으며, 그가 작곡하고 백남규(白南奎)가 작가(作歌)한 "샛별"은 『啓明』(1932)에 발표되었다. 『東光』(1931) 22호에 발표한 홍종인의 "半島樂團人 漫評"에서 천도교기념관(天道敎紀念館)에서 무반주로 동요를 노래하는 것을 들었다. 동덕여고보의 선생이라는 만평이 소개됐고, 『彗星』(1932) 13호에 실린 특별방송실에서 보음동요(保音童謠)독창으로 "엄마 앞에서 짝짝궁"을 방송했다고 소개되었다.
일제강점기 그가 작곡하고 윤복진(尹福鎭)이 작요한 "옛 이야기"와 "어미새"는 『어린이』(1933) 11권 2호와 5호에 발표됐고, 그가 작곡하고 정인섭(鄭寅燮)이 작시한 "가을밤"은 『新女性』(1933) 7권 10호에 발표됐다. 그가 작곡하고 윤석중(尹石重)이 작요한 "어깨동무"·"체신부와 나뭇잎"의 오선보는 『少年』(1940) 4권 11호에 게재되었다. 일제강점기 그가 작곡하고 윤석중이 작요한 "어깨동무"의 오선보는 『新時代』(1941) 2호에 게재됐다. 그가 작곡한 "종로 네거리"는 일본 콜럼비아음반에 전하며, 그가 작곡한 "도리도리 짝짝궁"·"봄노래"·"진달래"는 일본 빅타음반에 전한다.
해방 후 이흥렬(李興烈)·김대현(金大賢)·한용희(韓龍熙) 등과 함께 동요작곡가 중 한 사람이었다. 그의 작품 중 현재도 애창되는 창작동요로 "형제별"(방정환 작사)·"짝짝궁"(윤석중 작사) 등이 있다.
정순철 [鄭順哲, 鄭淳哲] (한겨레음악대사전, 2012. 11. 2., 도서출판 보고사)
작곡가 정순철은 1901년 옥천군 청산면 교평리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 최윤은 동학의 2세 교조인 해월 최시형의 딸이다. 동학의 교주인 최수운이 참수형을 당하고 난 뒤부터 30여년의 세월동안 최시형은 몸을 피해 쫓겨 다니며 포교를 할 수 밖에 없었다. 부인 김씨는 그 와중에 병으로 세상을 떠났고 딸 최윤은 동학혁명이 일어나던 1894년 옥천의 민보단에 붙잡혀 관아에 갇히고 말았다. 그 후, 현감은 통인(通引) 정주현에게 최윤을 데려가 살라고 내 주었고, 정순철은 이 두 사람 사이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연일(延日)이고, 어릴때 이름은 분답이며, 자는 성춘(星春)이다. 청산에서 보통학교를 다니던 정순철은 학교를 중퇴하고 집을 나와 옥천역에서 화물차에 몰래 숨어 타 서울로 올라갔다. 이후 동학 3세 교주인 손병희의 배려로 1919년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정순철은 방정환과 절친하게 지내며 ‘천도교소년회’ 활동을 같이 했다. 천도교소년회는 1921년 김기전, 방정환 등의 주도로 천도교청년회 산하에 결성된 모임이었다. 천도교소년회는 1923년 3월부터 월간 ‘어린이’를 창간하고 소년계몽운동을 주도했다. 천도교소년회의 이 운동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시작된 어린이 문화운동과 어린이 인권운동이었다. 정순철이 방정환과 함께 어린이 운동단체인 ‘색동회’를 창립하는 일에 참여 한 것은 함께 유학중일 때인 1923년이었다. ‘색동회’는 1923년 3월 16 발족해 5월 1일 방정환을 중심으로 정순철, 윤극영, 마해송 등이 가입하였다. 색동회는 1923년 3월 20일<어린이>지를 창간하였으며, 국내에 있는 천도교소년회와 연락하여 1923년 5월 1일을 어린이 날로 제정하였다.
정순철은 1930년대 초에 색동회 회원인 정인섭, 이헌구와 함께 경성보육학교에서 보육교사들을 가르치며 ‘녹양회’라는 동극단체를 만들어 소나무, 백설공주, 파종, 금강산 등의 동화극과 학교극을 발표했다. 이 동극 안에는 수많은 노래가 들어있다. 모두 정순철이 작곡을 한 노래들이었다. 반달의 윤극영, 짝짜꿍의 정순철, 오빠생각의 박태준, 봉선화의 홍난파는 1920~1930년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동요작곡가였다.
‘어린이’잡지에 어린이들이 부를 창작동요를 작곡해 발표, 보급하는데 앞장 섰으며 동경유학을 마치고 국내로 돌아와서도 서울 경운동의 천도교 대교당을 중심으로 각종 어린이 운동을 전개했다. 동요작곡집 1집 ‘갈닢피리’에는 ‘짝자꿍’을 비롯해 ‘까치야’ ‘여름비’ ‘나뭇잎배’ ‘갈잎피리’ 등이 수록돼 있다. 현재까지 확인된 정순철의 노래들은 잡지 ‘어린이’에 발표된 ‘형제별’(1923)을 비롯, 조선일보에 발표된 ‘자장가’(1928), 윤석중이 작사하고 정순철이 곡을 붙인 ‘졸업식 노래’(1948)까지 36곡이다. 이 외에도 ‘조선동요백곡집’(1946) 상권에 수록된 ‘시골밤’ ‘아기별’ ‘어깨동무’ 등을 합하면 40여곡에 이른다.
정순철은 1931년부터 34년까지 경성보육학교에 재직했으며 1939년부터 41년까지 두 번째로 음악공부를 하러 동경에 들렀다. 1948년에는 서울 성신여고에서 교편생활을 시작 했으며 재직 당시 별명은 ‘한국의 베토벤’이라고 했다. 성신여고 재직 시 6.25가 발생했고 학교 교장이 피난을 가면서 정순철에게 학교를 부탁하여 학교에 남아있었다. 혼자 남아 있던 정순철은 인민군이 후퇴하던 9월 28일 납북되었고 그 뒤의 종적을 알 수 없다. 전쟁 이후 납북이든 월북이든 북쪽으로 간 사람들을 거론하는 것이 금기시 되면서 그의 이름과 행적은 서서히 우리들의 기억 속에서 잊혀졌다. 그가 작곡한 노래를 그렇게 많은 국민들이 그렇게 오랜 세월동안 기쁨으로 부르고 눈믈로 불렀으면서도 우리는 그의 이름을 모르고 살아왔다. 전쟁과 분단의 비극이 아니었다면 그는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는 작곡가로 우리 곁에 있었을 것이다.
'충북의 바람소리 > 옥천군(沃川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북면 용호리 화일2호선돌(郡北面 龍湖里 화일2호선돌) (0) | 2016.12.13 |
---|---|
청산면 예곡리 예곡정사(靑山面 藝谷里 藝谷精舍) (0) | 2016.12.13 |
동이면 금암리 양신정(東二面 金岩里 養神亭) (0) | 2016.12.08 |
옥천읍 수북리 밀양박씨절부비(沃川邑 水北里 密陽朴氏節婦碑) (0) | 2016.12.08 |
이원면 백지리 울산박씨세거지비(伊院面 白池里 蔚山朴氏世居之碑) (0) | 2016.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