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오블완
- 사인암
- 충북의 문화재
- 청주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곡산연씨
- 화양구곡
- 부여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공주박물관
- 선돌
- 밀양박씨
- 효자각
- 부도
- 충주박물관
- 효자문
- 법주사
- 청풍문화재단지
- 한독의약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사과과수원
- 상당산성
- 단지주혈
- 문의문화재단지
- 티스토리챌린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보성오씨
- 각연사
- 문경새재
- 경주김씨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증평읍 남하리 남하리사지 (曾坪邑 南下里 南下里寺址 ) 본문




증평읍 남하리 남하리사지 마애불상군(曾坪邑 南下里 南下里寺址 磨崖佛像群) (tistory.com)
증평읍 남하리 남하리사지 마애불상군(曾坪邑 南下里 南下里寺址 磨崖佛像群)
남하리사지 마애불상군(南下里寺址 磨崖佛像群)은 증평읍 남하3리 염실마을 뒤편의 남대산을 배경으로 동향해 자리잡은‘탑동 마을’서편의 산기슭에 위치해 있다.마애불상군은 충청북도 지
king6113.tistory.com




남하 3구 염실마을에는 삼불(三佛)을 새겨 넣은 바위가 있다. 바위 옆에는 탑이 있다. 그래서 마을 사람들은 바위를 일러‘탑바위’라고 한다. 바위는 흡사 병풍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앞에는 작은샘이 있다. 아들을 낳지 못하는 부녀자가 탑바위에서 치성을 드리면 반드시 아들을 얻는다는 영험담(靈驗譚)이 전하고 있다. 오늘날에도 기자치성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솔모루 마을의 미륵불 밑에는 시루 만한 크기의 샘이 있다. 이 샘은 부정한 사람과 정갈한 사람을 구별하는 영험이 있었다. 부정한 사람이 물을 구하면 샘은 저절로 말라버렸고, 정갈한 사람이 물을 구하면 샘은 저절로 깨끗한 물을 쏟아냈다. 또한 부정한 사람이 물을 구하는 것을 꺼려 샘 주위에 구렁이가 상주하고 있었다. 그러나 정갈한 사람이 오면 구렁이는 순식간에 사라졌다.일종의 영험담(靈驗譚)으로 볼 수 있다



증평읍 남하리 삼층석탑(曾坪邑 南下里 三層石塔) (tistory.com)
증평읍 남하리 삼층석탑(曾坪邑 南下里 三層石塔)
남하리 3층석탑(南下里寺址 三層石塔)은 증평읍 남하3리 염실마을 뒤편의 남대산을 배경으로 동향해 자리잡은‘탑동 마을’ 서편의 산기슭에 위치해 있다.일제강점기의 기록인『조선보물고적
king6113.tistory.com








'충북의 바람소리 > 증평군(曾坪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평군 율리 김득신 묘지(曾坪郡 栗里 金得臣 墓地) (0) | 2024.07.01 |
---|---|
증평읍 율리 석조관음보살입상(曾坪邑 栗里 石造觀音菩薩立像) (0) | 2024.05.24 |
증평읍 남하리 삼층석탑(曾坪邑 南下里 三層石塔) (2) | 2023.06.05 |
증평읍 남하리 남하리사지 마애불상군(曾坪邑 南下里 南下里寺址 磨崖佛像群) (0) | 2023.06.04 |
증평읍 남하리 남하리사지 돌확(曾坪邑 南下里 南下里寺址 돌확) (0) | 2023.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