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이색목은영당및 주성강당(李穡牧隱影堂 및 酒城講堂) 본문

통합청주시/청원구(淸原區)

이색목은영당및 주성강당(李穡牧隱影堂 및 酒城講堂)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11. 4. 16. 16:52

 

 

 

 

 

 

 

 

 

 

 

 

 

 

 

 

 

 

 

 

 

 

 

[정의]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주성동에 있는 목은(牧隱) 이색(李穡, 1328~1396)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과 부속 강당.

[개설]
목은영당(牧隱影堂)은 이색의 학덕과 청주에서의 유서를 기리기 위하여 후손인 한산이씨 이붕해(李鵬海)와 그의 종형 이조해(李朝海)가 주도하여 1714년(숙종 40)에 청주목 산외일면 주성리(현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주성동 60번지)에 건립하였다.

[관련인물]
이색은 고려 말의 문신이며, 학자로 삼은(三隱)의 한 사람이다. 이제현(李齊賢)의 제자로 나라에 가서 국자감의 생원이 되어 성리학을 연구하고 귀국하여 1352년(공민왕 1) 전제(田制)의 개혁, 국방 계획, 교육의 진흥, 불교의 억제 등 당면한 여러 정책의 시정 개혁에 관한 건의문을 올렸다.

1373년에 한산군(韓山君)에 봉해지고 이듬해 예문관 대제학, 지춘추관사 겸 성균관 대사성에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사퇴했다. 1388년(우왕 14) 철령위(鐵嶺衛) 문제가 일어나자 주화론(主和論)을 주장했고 이성계(李成桂) 일파의 세력을 억제하려다 유배, 이초(彛初)의 옥에 연루되어 청주옥에 갇혔다. 청주 신항서원(莘巷書院)에 제향되었다.

[영정]
영당에 보존된 목은영정은 충청남도 서천 문헌서원(文獻書院) 영정을 1710년에 이모(移模)하였다. 3차 영정 봉안은 1844년(헌종 10)에 다시 하였다. 현재의 영정은 1938년에 청전(靑田) 이상범(李象範)이 이모한 관복(官服)의 전신교기좌상(全身交椅坐像)이다. 가로 86㎝, 세로 160㎝의 설채견본(設彩絹本)이며, 인데 이색의 제자인 권근(權近)의 화상찬(畵像讚)이 있다.

[현황]
지금의 영당은 1987년에 보수한 것으로 건물은 영당, 강당, 내삼문, 오삼문, 홍살문으로 배치되어 있다. 영당 건물은 내진과 툇마루로 구성된 정면 3칸, 측면 1칸 반의 홑처마 맞배지붕 목조기와집으로 가구 형식은 1고주 5량가이다. 중앙에 대청마루를 두고 좌우로 온돌방을 각각 설치했다. 권상하(權尙夏)가 쓴 “牧隱影堂(목은영당)”이라는 현판을 걸었다.

마당 앞으로 솟을 대문을 세우고 담장을 둘렀다. 그리고 마당에는 이성원이 짓고 이항복(李恒福)이 쓴 목은선생사적비를 1987년에 세웠다. 내삼문 앞에는 강당인 주성강당(酒城講堂)을 배치하였으며 방향은 모두 북향이다. 주성강당(酒城講堂)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홑처마 팔작지붕 목조기와집으로 중앙에 대청마루를 두고 좌우로 온돌방을 설치했다.

가구형식은 무고주 5량가로 판대공을 설치했다. 강당건물은 창건이래 원형을 유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특히 대들보는 원목을 그대로 사용하여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17호로 지정되었다. 강당 왼쪽에 서향으로 외삼문을 세웠으며, 주변은 영당과 마찬가지로 돌과 시멘트를 배합하여 담장을 두르고 기와를 얹었다. 매년 음력 3월 중정일에 후손들이 향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