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사인암
- 문경새재
- 효자문
- 청풍문화재단지
- 공산성 선정비
- 효자각
- 문의문화재단지
- 국립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선돌
- 한독의약박물관
- 상당산성
- 충북의 문화재
- 부여박물관
- 화양구곡
- 사과과수원
- 오블완
- 곡산연씨
- 청주박물관
- 부도
- 보성오씨
- 경주김씨
- 단지주혈
- 각연사
- 화양동 암각자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밀양박씨
- 티스토리챌린지
- 법주사
- 공주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2021/04/20 (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상당구 수동관련항목 보기에서 수습된 통일신라시대 불교 관련 석조물이다. 현재의 대한불교수도원은 근래에 세워진 절이지만 1979년 절 주위에서 오래된 와편, 석조물들과 함께 석조대좌가 수습되었다. 대한불교수도원의 뒤편 계곡 대지 위에서 파손된 채 수습되었으며, 현재도 복원되지 않고 따로 방치되어 있는 상태이다. 3단의 팔각연화대좌이며, 하대석의 지름이 183㎝나 되는 대형의 대좌로 용암사 석조비로자나불의 하대석이 94㎝인 것에 비하면 거의 2배에 가까운 크기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 하대석에는 풍만한 당판 연화문이 둘러져 있다. 중대석의 8면에는 보주형의 안상이 음각되어 있고, 상대석은 일부가 묻혀 있어서 크기를 정확히 알 수 없지만 화려한 양련이 장식되어 있다. 크기나 조각수법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의 ..

청주시 율량동에 위치한 서기사입니다. 효성장례식장 병원이 있는 곳에서 예비군훈련장을 통해 진입할수 있습니다. 서기사는 조선 후기의 지리지에는 현재의 서운사 자리에 서기암(瑞氣菴)이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여지도서(輿地圖書)』청주목 방리조에는 서기암(瑞氣菴)이 관문의 북쪽 13리에 있으며 편호는 12호에 남자 16명이 살고 있었던 것으로 되어 있으며, 『충청도읍지(忠淸道邑誌)』 사찰조에는 고을 북쪽 10리 율봉역(栗峰驛) 뒤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여지도서(輿地圖書)』의 「청주목지도」와 전라남도 구례군의 운조루에 소장된 『여지도(輿地圖)』의 「서원지도(西原地圖)」에 서기암(瑞氣菴)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몇년전에 다녀왔는데 이번에 다시 방문을 하니 주위가 참 많이 변했다. 온통 아파트단지로 변해버렸다. 그래도 지난 세월을 되집어 기억을 더듬었다, 아파트단지 뒤에 자리하고 있다. 아파트와 창리사지 사이에는 철재울타리가 비잉 둘러쳐져있다. 울타리 사이로 몸을 넣고 창리사지의 보살입상을 만난다. 후대(1975년)에 옆에 기거하던 무속인이 석불의 얼굴부분을 손을 보았다는데 생경한 모습이다. 석불옆으로는 자연석을 쌓아서 돌무더기를 만들어 놓았다, 돌무더기 위에는 작은 선돌도 올려놓고 어찌보면 일종의 기자석 같은 치성의 장소로 이용되고 있는 느낌이다. 비지정문화재의 아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