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상당산성
- 경주김씨
- 보성오씨
- 단지주혈
- 효자문
- 공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문경새재
- 티스토리챌린지
- 곡산연씨
- 국립청주박물관
- 각연사
- 문의문화재단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충주박물관
- 화양구곡
- 충북의 문화재
- 사과과수원
- 청풍문화재단지
- 법주사
- 부도
- 청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밀양박씨
- 선돌
- 화양동 암각자
- 한독의약박물관
- 효자각
- 오블완
- 사인암
- Today
- Total
목록2021/04/21 (2)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담동 봉황사에 있는 불상. 현재 이 불상은 목암사가 폐사(廢寺)되었기 때문에 주지인 송파스님의 발원으로 2002년 청주시 상당구 용담동에 봉황사를 신축(新築)하여 모셔두고 있다. 석불입상의 머리는 최근에 후보된 것이나 나머지 부분은 보존이 양호하다. 목에는 삼도가 있고 어깨는 넓지 않으며 몸 전체에 양감이 부드럽게 드러나고 있다. 법의는 통견으로 가슴이 깊게 벌어졌으며 배에 나비모양으로 맨 띠 매듭이 보인다. 대의의 주름은 같은 간격의 선으로 밀집되게 표현되어 있다. 양다리에 각기 둥글게 감고 있는 옷 주름이 특징적이다. 옷 주름선은 다소 깊은 층단형의 선이지만 경직되지 않게 나타내고 있어서 불신의 부드러운 양감과 조화를 이루며 조각의 무게를 더해준다. 수인은 전법륜인으로 여래입..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모충동관련항목 보기에 있는 불상. 청화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고려 초기의 불상으로서 불신과 광배 및 대좌가 한 개의 돌로 조성되었는데, 높이 120㎝의 아담한 모양으로 머리에 보관을 쓴 보살형의 비로자나불상이다. 청화사 측에 의하면 해방 직후에 대성동 동공원에서 옮겨 모셨다고 한다. 동공원은 중앙초등학교 동쪽의 당산(堂山)으로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신사(神社)가 있었으며, 청주 주변의 문화재를 수집하여 정원을 장식하였다. 이 불상도 청주지역의 어느 폐사지에서 동공원으로 옮겼다가 해방 후 이곳으로 이전하여 봉안된 것으로 짐작된다. 불신과 광배 및 대좌의 상대석이 한 개의 돌로 조성되어 이 부분은 잘 남아 있으나 대좌의 중대석 이하 부분은 모두 남아 있지 않다. 불상의 머리에는 보관(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