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부도
- 티스토리챌린지
- 문경새재
- 경주김씨
- 화양구곡
- 문의문화재단지
- 부여박물관
- 각연사
- 공산성 선정비
- 청풍문화재단지
- 곡산연씨
- 사인암
- 보성오씨
- 화양동 암각자
- 한독의약박물관
- 법주사
- 충북의 문화재
- 국립청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효자각
- 충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효자문
- 밀양박씨
- 공주박물관
- 오블완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단지주혈
- 선돌
- 상당산성
- Today
- Total
목록2021/05 (39)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pyDfJ/btq57pM8wbF/NuEO7QcTjt0lcyDdz9j4p0/img.jpg)
법주리는 본래 회인현(懷仁縣) 동면(東面) 지역으로 버드나무가 많아 버드리(柳洞)라고 부르고 구룡산(九龍山) 밑의 큰 골짜기가 되므로 법줄 또는 법주(法主)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페합에 따라 보은군(報恩郡) 회북면(懷北面) 관할이 되었으나 1946년 2월 1일 행정구역 변경에 의하여 내북면(內北面) 에 편입되었다. 법주리 마을입구에 철근과 스레트로 만든 정자에 법주리 지도가 예쁘게 걸려 있습니다. 옛지명인 버드리도 이쁘게 각자되어 현판으로 걸려 있습니다. 정자옆으로는 법주리 유래비와 함께 1994년도에 세운 법주리 마을표지석이 같이 어깨동무하고 있습니다. 법주리는 본래 회인군 동면 지역으로 구룡산 아래 큰 골짜기가 되므로 법줄 또는 법주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 법주리라 하고 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xQlvq/btq52ZJaHfb/d3UOIETJBwDkPYLxHLDvGk/img.jpg)
거교리는 본래 회인군 서면 지역으로 큰 다리가 있어 것다리 또는 거교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사담리 일부를 병합하여 거교리라 하고, 보은군 회남면에 편입되었다. 1980년 대청댐 담수에 의하여 신곡리에 있던 면사무소를 이곳으로 옮겨 왔다. 자연마을로는 것더리, 사당마루가 있으며, 지명으로는 것더리앞들, 꽃밭이마, 농골, 독점골, 땀띠기샘, 병목안, 분두개울, 산지당구렁, 삼박골, 서당골, 성밑, 쇠꼿 재, 아래농골고개, 안터, 여수굴양지, 위농골고개, 임금바우, 자롱고개 등이 있다. 것더리 앞들은 수몰로 사라지고 주로 밭이 많다. 거교1리에 24가구 48명, 거교 2리에 47가구 82명의 주민이 생활하고 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MD2Xw/btq52BhrN7M/dkQwuCCx8Wg5h901kKHAg0/img.jpg)
회남면 거교리 마을초입에 있는 청주인 한철수(1892-1954)의 효행기념비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청주한공철수효행기념비(淸州韓公哲洙孝行紀念碑)라고 적혀있으며 비석의 뒷면에는 효자한철수를 위한 기념사가 새겨져 있습니다. 한철수효행비는 1955년12월4일 한철수효행기념비건립준비회에서 건립하였다. 기념비 뒷면에는 정인승이 짓고 김윤중이 쓴 기념사가 있다. 거교리는 본래 회인군(懷仁郡) 서면(西面)의 지역으로서 큰다리가 있었으므로 것더리 또는 거교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남면(南面)의 사담리(沙潭里)일부를 병합하여 거교리라 해서 회남면(懷南面)에 편입되었다. 1980년 대청댐 건설로 수몰되므로 고지대로 마을을 이전하고 회남면의 소재지가 되었다. 거교리 출신의 효자인 청주인 한철수의 효행비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3Upnw/btq52wmSHId/KOR3VuO1KM9q2e1OLYSjCK/img.jpg)
본래 회인군(懷仁郡) 남면(南面)의 지역으로서 새로 터를 잡은 마을이라 해서 새터 또는 신대(新垈)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대리라 하고 회북면에 편입되었다. 1980년 대청댐 담수로 일부 수몰되었고, 마을을 저지대에서 새로 개설된 도로 아래로 이전하였다. 새-터(新垈)[마을] 신대리 마을. 처음에는 회인천(懷仁川) 건너에 있는 죽암 2리와 합쳐 새터라 부르고 죽암 2리는 양짓말, 신대리는 음지말이라 하였으나 지금은 새터라는 이름보다 신대라고 많이 부르고 있다.2019년 5월24일에 세워만든 신대리(새터)마을 유래비가 마을 초입에 건립되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bgpw/btq53jtLUUD/JHC2tkZs3ZSmdkKiizEgC1/img.jpg)
회남면 남대문리 양달해효자문 옆에 있는추모비석입니다. 남원양씨휘주몽공파역세존령추모지단위(南原梁氏諱柱夢公派歷世尊靈追募之壇位)라고 정면에 각자 되어 있으며 좌우면으로는 추모단을 세우게 된 내력과 함께 가계도가 새겨져 있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giBN2/btq54THYaxk/3YpJUszrP7ikciXJGI3pvk/img.jpg)
남대문리는 본래 회인군(懷仁郡) 서면(西面)의 지역으로서 호점산성의 남문 밖이 되므로 남대문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만지동(晩旨洞), 거구리(巨九里)와 후곡리(後谷里) 일부를 병합하여 남대문리라 하고 회남면에 편입되었다. 양달해효자문은 원래는 신곡리에 있었으나 1980년 대청댐 담수로 남대문리로 이건하였다. 1905년(광무9) 효자 양달해(梁達海)와 효열부인 그의 부인 안동김씨(安東金氏)의 정문으로 잘 관리되고 있다. 거구리 입구에 있으며 현판은 효자증조봉대부동몽교관양달해지려(孝子贈朝奉大夫童蒙敎官梁 達海之閭) 효부증영인안동김씨지려(孝婦贈令人安東金氏之閭)로 되어 있다. 1905년(광무9)에 명정되어 남편의 아내의 효행을 기리는 정문으로 처음 신곡리에 세웠으나 1980년 대청댐 담수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