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부도
- 문경새재
- 부여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선돌
- 공산성 선정비
- 오블완
- 곡산연씨
- 티스토리챌린지
- 청풍문화재단지
- 충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공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법주사
- 문의문화재단지
- 화양구곡
- 효자각
- 사과과수원
- 경주김씨
- 사인암
- 단지주혈
- 보성오씨
- 각연사
- 한독의약박물관
- 효자문
- 청주박물관
- 상당산성
- 밀양박씨
- Today
- Total
목록2023/02 (35)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장릉에 있는 조선 전기 영월군수 박충원을 기리는 비입니다. 박충원(朴忠元)[1507~1581]은 본관이 밀양이고 자는 중초(仲初), 호는 낙촌(駱村)이다. 1531년(중종 26) 식년시에 올라 홍문관, 승정원 등을 역임하고 1541년(중종 36) 9월 영월군수로 부임하였다. 당시 영월에 3명의 군수가 연이어 죽자 민심이 흉흉하여 모두 부임하기를 꺼렸다. 박충원은 단종의 능을 찾아가 봉축하고 전물을 갖추고 제문을 지어 치제하자 고을이 조용해졌다. 박충원은 훗날 이조판서 중추부지사를 역임하고 밀원군(密原君)에 봉해졌고 사후에 문경공이란 시호를 받았다. 문집으로 『낙촌집』이 있다. 1973년 5월 후손들에 의하여 장릉에 문경공 낙촌 밀양 박충원선생 기적비(文景公駱村密陽朴忠元先生紀蹟..

게으름의 극치다. 영월 장릉을 다녀온지가 언제던가? 블로그 임시보관함에 저장 되어 있다가 이제사 블로그에 올린다.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에 있는 조선 제6대 왕 단종의 왕릉.영월 장릉(寧越莊陵)은 강원도 영월의 호장(戶長) 엄흥도(嚴興道)에 의하여 조성되었으며, 1541년과 1580년 중수되었다. 1970년 5월 16일 사적 제196호로 지정되었으나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2009년 6월 30일 다른 조선왕릉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영월 장릉은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1090-1번지에 있다. 영월 장릉은 강원도 영월에서 죽은 단종의 시신을 영월 호장 엄흥도가 수습하여 동을지산 자락에 매장하면서 조성되었다. 이후 1541..

눈내린 삼방리 삼층석탑을 찾아보았습니다. 불정면 삼방리 삼층석탑(佛頂面 三訪里 三層石塔) (tistory.com) 불정면 삼방리 삼층석탑(佛頂面 三訪里 三層石塔) 1995년 6월 30일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182호로 지정되었다. 밑에서부터 1층의 기단부(基壇部), 3층의 탑신부(塔身部), 상륜부(相輪部)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부는 대석(臺石:면석) 위에 갑석(甲石) king6113.tistory.com

밀양박씨(密陽朴氏)는 밀양인(密陽人) 박은로(朴殷魯)의 딸로 경주인(慶州人) 이종석(李鍾石)의 부인이다.성품이 온순한 가운데 시아버지를 극진히 모셨으며 남편을 공경하였고 친척들에게도 다정히 대하므로 원근(遠近) 향리에 칭송이 자자하였다. 불행하게도 젊은 나이에 남편을 잃었지만 변함없이 늙으신 시아버지를 극진히 모셔 그 효열(孝烈)이 인근마을에 널리 알려졌다. 이 비석은 효부 밀양박씨의 효열비로 1967년 3월(丁未年 3月)에 형곡5동(刑谷5洞) 주민일동의 이름으로 형동리에 세워졌다.비문은 최동겸(崔東謙)이 짓고 썼다. 비석의 전면에는 밀양박씨효열비(密陽朴氏孝烈碑)라고 음기되여 있으며 후면에는 밀양박씨의 행적이 적혀있다. 형동1리 들어가는 형동교 못 미쳐 오른쪽 산자락에 자리하고 있다.효열비 밑에는 창녕성..

북이면 대길리는 본래 청주군 산외이면의 지역으로 대길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 ·폐합에 따라 성동, 소 롱리, 지천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대길리라 해서 북이면에 편입되었다. 1953년 행정구역을 1구, 2구로 분할 현재 의 행정구역을 이루고 있다. 구룡말(소성동) : 새터말 서쪽에 있는 마을. 뒷골 : 큰 작골 뒤에 있는 마을. 새터말 : 대길 남동쪽에 새로 생긴 마을. 음말 : 작은작골 동북쪽에 있는 마을. 작은작골 : 큰작골 동쪽에 있는 마을. 큰작골(성동) : 대길 서쪽에 있는 마올. 뒷산에 고려 때 쌓은 성이 있다. 장병호 공로비는 숲거리 조성사업이 마무리 되면서 비석이 서있는 현위치인 대길166번지인 274제곱비터를 대길2리에 거주하는 장병호씨가 대길1리 마을에 기증하여 그 보답으로..

병오년에 세운 인동인 장윤석의 기적비입니다.부연1리 마을표지석과 함께 마을입구에 위치해 있습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인동장공윤석기적비(仁同張公胤錫紀蹟碑)라고 각자되어 있습니다. 부연리는 비교적 평지가 많은 지역이다. 음성 소류지, 북당 소류지 등이 있다. 자연마을에는 절골, 바깥절골, 가마기가 있다. 절골은 과거에 절이 있었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바깥절골은 절골의 바깥쪽 마을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가마기는 마을의 지형이 풍수지리상 가마의 형상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1954년 행정구역을 1구와 2구로 분할 현재의 행정구역을 이루고 있다. 바깥절골 : 메리치고개 동쪽에 있는 마을이 절골의 바깥쪽인데 이곳에 있는 마을을 바깥절골이라 한다. 절골(사곡, 은산, 웃말) : 가마기 동쪽에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