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각연사
- 티스토리챌린지
- 효자문
- 보성오씨
- 한독의약박물관
- 밀양박씨
- 선돌
- 청풍문화재단지
- 곡산연씨
- 청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사인암
- 공산성 선정비
- 문의문화재단지
- 문경새재
- 국립청주박물관
- 오블완
- 법주사
- 효자각
- 충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부도
- 단지주혈
- 부여박물관
- 경주김씨
- 공주박물관
- 상당산성
- 화양동 암각자
- 화양구곡
- Today
- Total
목록2024/06 (32)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아파트 관리사무소 문을 열고 아이 둘이 들어섭니다. "무슨 일 있니?" 하고 물으니 "관리사무소 아저씨 이거 드세요" 하며 쭈빗거리며 손을 내민다. 손 위에 있는 과자 세개. "이게 뭐야?" 하고 물으니 "마이쮸" 데요 아저씨도 잡숴 보세요 한다. "그래 아이구 고맙다" 하며 생각을 해본다.받았으면 나도 무언가를 주어야 할텐데. 냉장고 안에 두유가 있던것이 생각이 나서 "잠깐만 기다려라" 하고선 냉장고에서 두유를 꺼내주니 생각지도 못한 선물이라고 느끼는 걸까?아이들의 얼굴에 웃음꽃이 가득이다. 마이쮸 세개를 받고두유 2팩을 주었으니세상적인 계산법이라면 밑지는 장사일테지만기분이 좋은것은 무엇 때문일까? 아이들의 환한 웃음이 사무실안에 가득하다.
언해태산집요(諺解胎産集要)는 조선 1608(선조 41)년에 허준(許浚)이 왕명으로 내의원(內醫院)에서 편찬한 의서(醫書)입니다. 아이를 배고 낳기까지의 모든 증세와 약방문(藥方文)을 적고 한글로 해석하였습니다. 1책이다.한독의약박물관에 전시중입니다.
세종의 명으로 1437~39년에 북경에 사신과 역관(譯官)이 파견되어 〈내경 內徑〉에서부터 당·송·원과 명초까지의 의서들을 폭넓게 수집(蒐集)하여 1442~45년에 집현전의 김예몽(金禮蒙)·유성원(柳誠源)·민보화(閔普和)·김문(金汶)·신석조(辛碩祖)·이예(李芮)·김수온(金守溫) 등과 의사인 전순의(全循義)·김유지(金有知) 등에 의해 365권으로 편찬·완성되었다. 그후 세조의 명으로 성종대에 이르기까지(1465~77) 양성지(梁誠之)의 주관 아래 유신(儒臣)과 의관(醫官)이 함께 교정해 도합 266권으로 간행되었다.그러나 현존하는 〈의방유취〉는 국내본이 아닌 일본판인데, 이는 임진왜란 당시 왜장 가토[加藤]가 다른 문화재와 함께 약탈하여 일본으로 가져갔으며, 다른 보관본은 불에 타 없어졌기 때문이다. 따라..
조선전기 의학자 유효통 등이 향약의 모든 방문을 수집하여 1433년(조선 세종 15년)에 간행한에 간행한 의서. 의약서입니다.1431년 가을에 집현전 직제학 유효통(兪孝通), 전의감정 노중례(盧重禮), 동 부정 박윤덕(朴允德)에게 명하여 1년여에 걸친 작업 끝에 1433년 6월에 완성하였다.이 책은 1399년(정종 1) 제생원에서 간행한 ≪향약제생집성방 鄕藥濟生集成方≫ 30권의 구증(舊症)과 구방을 기본으로 하여 다시 향약의 모든 방문들을 수집하고, 또는 널리 방서들을 빠짐없이 모아서 분류, 첨가하여 만든 것이다.구증이 388이던 것이 959로, 구방이 2,803이던 것이 1만706이 되었으며, 그 밖에 침구법(鍼灸法) 1,416조, 향약본초 및 포제법(炮製法) 등을 합하여 85권으로 되었다. 세종이 권..
조선후기(순조17년.1827년) 의원 이종인(李鍾仁)이 두창의 치료와 종두법에 관하여 저술한 의서 상·하 2권 1책. 필사본. 이 책 이름의 시는 시두(時痘), 즉 두창을 말한 것이고, 종은 종두법(種痘法)을 가리킨 것으로서, 양자를 종합, 편성한 인두종법(人痘種法)의 전문서이다.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에 있다.이종인은 영평부사(永平府使) 박제가(朴齊家)로부터 인두종법을 전수한 뒤, 서울 북방의 여러 신가(紳家)에 실시하여 인두종법이 우리나라에 널리 전해지게 하였다. 그런데 1801년(순조 1) 봄에 서학(西學)의 혐의로 인두종법이 한때 중단되었다가 영남에 전해져 다시 보급되게 되었다.이 책의 내용은 두창의 총설, 증후 및 치료법을 설명하고 있다. 특히, 중요시한 것은 종두로서, 종두시종법례(種痘始終法..
우두신설(牛痘新說)은 1885(고종 22)년에 지석영(池錫永)이 엮은, 종두(種痘)에 관한 책. 총 2권 1책이다. 2권 1책. 활자본. 우리나라 최초의 종두서(種痘書)이다. 상·하 두 권으로 되어 있는 이 책은 지석영이 오랫동안 경험해온 지식을 종합하여 간행하였다. 상권의 서두에 김홍집(金弘集)·이도재(李道宰)의 서(序) 및 저자의 서가 있고, 그 다음에는 영국 의사 제너(Jenner, E.)의 『우두고(牛痘考)』·『우두속고(牛痘續稿)』, 햅슨(Habson)의 『종두론』과 『만국공보』에 소개된 『우두내력』 등을 기재하였다. 그밖에도 청나라 가경(嘉慶) 22년(1817) 남해구희(南海邱熺)의 「인두약서(引痘藥序)」, 청나라 도광(道光) 8년(1828) 『인두략(引痘略)』을 중간(重刊)한 회망언(會望彦)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