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법주사
- 부여박물관
- 단지주혈
- 한독의약박물관
- 청주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오블완
- 공산성 선정비
- 화양구곡
- 밀양박씨
- 사과과수원
- 상당산성
- 충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문의문화재단지
- 공주박물관
- 선돌
- 곡산연씨
- 효자각
- 청풍문화재단지
- 경주김씨
- 효자문
- 보성오씨
- 충북의 문화재
- 부도
- 사인암
- 각연사
- 국립청주박물관
- 문경새재
- 티스토리챌린지
- Today
- Total
목록전설따라 삼천리 (119)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삼산리는 면 최북쪽에 있는 마을로 남쪽은 갈산리, 서쪽은 현암리와 청주시 산성동, 북 쪽은 내수읍에 접해 있는 산촌 마을이다. 삼산리는 청주군 산내이하면의 지역으로 상당산. 인경산. 태봉산이 둘러쌓여 三山이라 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일부를 갈산리에 넘겨주고, 화문동을 병합 하여 랑성면에 편입되었으며, 1936년 둔병이를 2리로 분구 하였다. 개문(둔병이) : 새말 북동쪽에 있는 마을(삼국이 정립되고 있을 무렵 병사가 마을에 집결했던 지역이며, 효자촌이라고도 함.)

본래 청주군 산내일면 지역으로 조선 영조 후반(1750-1776)에는 용동리와 손목포리만이 있었으나 헌종대(1845년경) 관곡이 새로이 형성되 었다. 1910년 경술국치 직전에는 관곡리가 상관곡과 하관곡으로 분리되어 용동리, 양곡리, 화원리, 손목포리로 되어 있다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화원리의 일부를 손목포리의 일부를 종암리로 넘겨주고 용동과 관곡의 이름을 따서 용곡리라 하여 미원면에 편입되었으며 자연부락으로 손목(주막거리), 양골, 해평, 용골이 있음. 현재는 1,2리로 분구되어 있습니다.고령신씨 시조 검교군기감 신성용의 11대 손 영성군파 이조참판 동양 재난공이 연산군때 양골에 자리잡은 이래 용골, 손목포, 해평에 이르기까지 고령신씨가 많이 살았는데 현재는 34세대 정도가 살고 있다. 양골..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성화동에 있는 마을. ‘긴밭재’는 1차적으로 ‘긴밭’과 ‘재’로 분석된다. ‘긴밭’은 다시 ‘긴’과 ‘밭’으로 나뉜다. ‘긴-’은 ‘길다[장(長)]’의 관형형이니, ‘긴밭’은 ‘길게 늘어진 밭’으로 풀이된다. 또한 ‘재’는 ‘고개’이니, ‘긴밭재’는 ‘길게 늘어진 밭에 있는 고개’로 해석된다. 고개가 기다란 밭과 연결되어 그 고개를 그냥 ‘긴밭재’라 부른 것이다. 이 마을은 달리 ‘진밭재’로도 불리는데, 이는 ‘긴밭재’의 ‘긴-’이 구개음화에 의해 ‘진-’으로 바뀐 결과이다. ‘긴밭재’는 달리 ‘장전(長田)’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긴밭재’에서 ‘긴밭’만 한자로 옮긴 결과이다. 성화동의 도로변에 있는 마을이다. 이는 성화동과 개신동의 경계에 해당한다. 서부도로를 따라 오송 방향으로..

미원면 수산2리 원미마을에 있는 마을표지석입니다. 검은 자연석에 수산2구(壽山2區) 원미라고 써있습니다. 수산리는 본래 청주군 산내일면의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동판리, 송교리, 원산리와 외삼곡리, 대판리, 수곡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수곡과 원산의 이름을 따서 수산리라 하였다. 1987년 행정리동 분리로 너더리, 숫골, 스실을 수산1리로, 원미를 수산2리로 분리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수산리는 남양홍씨 시조 고려태사 홍은열의 23대 익산군파 석무공이 수산에 자리잡은 이래 너더리, 숫골, 생골, 밤실에 이르기까지 남양홍씨가 많이 살았는데 현재 수산리에는 8호정도가 살고 있습니다. 가까운 곳에 남양홍씨 사당인 남양사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너더리 : 숫골 동남쪽에 있는 마을. 동판(東板..

삼산리는 면 최북쪽에 있는 마을로 남쪽은 갈산리, 서쪽은 현암리와 청주시 산성동, 북 쪽은 내수읍에 접해 있는 산촌 마을이다. 삼산리는 청주군 산내이하면의 지역으로 상당산. 인경산. 태봉산이 둘러쌓여 三山이라 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일부를 갈산리에 넘겨주고, 화문동을 병합 하여 랑성면에 편입되었으며, 1936년 둔병이를 2리로 분구 하였다. 중간말 : 마을 중앙에 있는 마을(옛날에 洞閣이 있었음.) 새말 : 중간말 동쪽에 있는 마을. 도란말 : 중간말 서쪽에 있는 마을. 마을을 들어갈 때 산모퉁이를 돌아서 간다고 도란말이라 한다. 솟두백이 : 중간말 북쪽에 있는 마을. 마을 수호신의 표상인 솟대가 있었다고 한다. 탑산리 : 중간말 북쪽 솟두백이 지나서 잇는 마을(산높낮이가 탑을 쌓아..

낭성면 관정2리 묵정마을 자랑비입니다. 마을의 상징인 은행나무 아래에 석주위에 오석으로 마을자랑비를 세웠습니다.청주시 보호수로 지정된 은행나무가 2본있으며 옆으로는 신백우선생의 사적비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관정2리에 있으며 마을자랑비 건립시기는 1991년입니다. 이 곳은 청원군 낭성면 관정리 옛날에는 청원군 산내이하면 묵정리 택리지에는 신촌이라 칭하였으며 위치는 청주에서 보은간 국도 22키로 호수는 칠십이며 인구는 삼백이요 생업은 농업이며 전통은 충효이고 세업은 문학이다. 고금을 통한 많은 인물과 유적문충공 신숙주선생의 묵정영당과 증좌찬성 신중엄공의 신도비가 있다. 모두 충북 도지정문화재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이 고을엔 신비한 우물이 있었지 떠보면 맑은물 고였을땐 먹물같아 이래서 먹우물이라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