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부도
- 곡산연씨
- 밀양박씨
- 공산성 선정비
- 법주사
- 문의문화재단지
- 사과과수원
- 충주박물관
- 단지주혈
- 티스토리챌린지
- 부여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한독의약박물관
- 효자각
- 선돌
- 화양구곡
- 오블완
- 사인암
- 청주박물관
- 보성오씨
- 화양동 암각자
- 충북의 문화재
- 문경새재
- 경주김씨
- 효자문
- 국립청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상당산성
- 공주박물관
- 각연사
- Today
- Total
목록전설따라 삼천리 (116)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scIY/btrfhIdfNHq/mY0oVjrbpBK07Nqi1GENfk/img.jpg)
막지리(莫只里)는 원래 안내면 막지리에 속해 있던 마을이었으나 행정구역 개편으로 군북면에 편입되어 현재에 이른다. 1739년의 기록에 보면 안내면 막지리라 하여 40호가 살았고, 1891년의 기록에는 46호가 살았다고 되어 있다. 1973년 7월1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안내면에서 군북면에 편입되어 오늘에 이른다. 막지리라 부르게 된 것은 이 마을이 강가에 위치하여 포전(浦田)이 많아 보리농사를 많이 하였기 때문에 우암(尤菴) 송시열(宋時烈) 선생이 이곳을 지나다 많은 보리밭을 보고 맥계(麥溪)라고 했다는 것. 이는 대대로 전해진 것으로, 막지리의 본래 지명은 맥계이며 일본인들이 일제강점기 때 편리한대로 썼던 막지(莫只)라는 지명보다 본래 지명을 되찾기를 원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자연마을로는 맥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m104d/btrfUPchNwl/Ts0MQGHwFzmajAZlnMFezk/img.jpg)
삼남리는 청성면 남부 중앙에 위치한 고지대 마을로 남쪽 방면에서 청성면으로 들어오는 관문으로 교통 요지이다. 면적은 4.99㎢,이다. 동쪽은 영동군 용산면과 소서리, 서쪽은 양저리와 묘금리, 남쪽은 조천리, 북쪽은 장수리와 궁촌리와 인접하고 있다. 원래 조선시대에 『여지도서』 기록에 청산현 남면 조분리에 속하였고, 대한제국 때 청산군 남면 조분리이었다. 1914년 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청산군을 옥천군에 통합시키고 삼거동三巨洞과 차남리車南里를 합쳐 처음 삼남리三南里를 신설하고 옥천군 청남면으로 편입하였다. 이후 1929년 청성면에 편입하였다. 삼남리는 삼거리와 차남리를 합할때 삼거리의 석삼三 자와 차남리의 남녘 남南 자를 한자씩 따서 삼남리라고 하였다. 삼남리 마을표지석이 보이는 길 건너편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cbBs/btrgOuFWf4I/VhOHEd6NEP8hZbMdUwBKAK/img.jpg)
도농2리는 도농리 남부에 위치하며 동쪽은 청성면 마장리와 대안리 귀평, 남쪽은 도덕리 도근이와 안티리, 서쪽은 청정리, 북쪽은 도농1리와 접한다. 도농2리 소야는 삼국시대부터 있던 오래된 마을이다. 또 청성으로 넘는 마을 고개의 모 양이 소가 짐을 싣는 길마와 같다 하여 고개 이름을 길마재라 하였다. 이처럼 마을이 소가 누워 있는 들판 모양의 와우臥牛형 들이라 하여 우야牛野라는 한자어가 변화되어 한자어인 소야蘇野가 되었다. 주요 성씨는 무송유씨 집성촌이 있으며 연일정씨, 김해김씨, 이천서씨 등이 어울려 산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7YgHz/btrfRECiYR4/Ih50BmeExflJUwllVTO93k/img.jpg)
청성면 합금리 상금에 있는 마을표지석입니다. 상금은 영양천씨들의 집성촌입니다. 마을표지석을 바라보며 건너편에는 마을구장을 지낸 영양인 구장 천영수의 기념비가 축대위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합금리의 자연지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 윗쇠대: 쇠대 위쪽 금강 상류에 있는 마을이다. - 아랫쇠대: 쇠대 아래쪽에 강가에 있는 마을이다. - 쇠보루: 안남 수동 남쪽 강기슭에 있는 마을로 옛날 마을 뒷산을 경유해서 청성면 구 음리로 넘던 금현金峴 고개가 있었다. 안남면으로 편입되었다. - 깃대봉: 아랫쇠대(하금) 실매봉의 정상으로 옛날 측량 깃대가 있었다. - 실매봉: 아랫쇠대 동편에 위치한 산봉우리다. - 실매골: 아랫쇠대가 자리한 위편 골짜기로 마을을 감싼 모양이다. - 동주골: 아랫쇠대 남쪽 골짜기이다. - 윗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clAVz/btrf7ArfL57/vdna4pT30TomT0stsZQQKk/img.jpg)
서평리는 소서리 북부 평야지에 위치하며 동쪽은 청산면 신매리 남단과 대덕리, 남쪽은 소서리 작은뱀티, 서쪽은 궁촌리, 북쪽은 청산면 신매리와 접한다. 서평리는 마을 앞을 흐르는 하천을 기준으로 동쪽 들은 신평(신매리), 서쪽 들은 서평이라 불러 서평리 또는 세평이로 부른다. 예부터 청산현에서 살기 좋은 마을로 알려졌다. 조를 천석이나 하던 부자가 살았다고 전한다. 자연마을은 서평(세평이)으로 벼농사를 주로 하며, 서편 구릉지에 밭농사를 짓는다. 남쪽 산중턱에 장석 광산이 있다. - 서평리(세평이): 소서리 서북쪽 벌판에 위치한 마을로 신매리 남쪽에 근접하며 마을회 관이 있다. - 옹기날망들: 서평리 서북쪽에 있는 들판이며 옛날에 옹기를 굽던 곳이다. - 건절매: 서평리 서쪽에서 남북으로 난 좁고 긴 골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tBVG/btrfXyuKKXa/Dd3OgeqMI14p23P18HofvK/img.jpg)
산계2리는 산계리 북부 국도 19호선이 북편을 지나는 오구니재 아래에 위치한다. 청성 파출소와 우체국, 충북농촌진흥청 옥천포도연구소 등 공공기관이 소재한다. 동쪽으로 청산면 하서리, 남쪽은 산계1리 산성, 서쪽은 저점산성을 경계로 거포리, 북쪽은 오구니재를 경계로 장연리와 접한다. 1929년에 근대기에 청서면과 청남면 일부가 청성면으로 통합되면서 산계리 신기마을이 생기고 면사무소와 청성보통학교가 들어섰다. 이때 북쪽에 청산면 소재지와 연결하는 신 작로가 신설되었다. 이때부터 신작로에서 산계리 입구 부근에 새로 생긴 마을로 이후 공공기관인 파출소, 우 체국이 들어서고, 2000년대에 옥천포도시험장, 농협창고가 자리 잡았다. 자연마을은 신 기(새터) 하나로 벼농사를 주로 하며 사과 등 과일 농사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