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오블완
- 각연사
- 보성오씨
- 효자문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문의문화재단지
- 문경새재
- 상당산성
- 청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충주박물관
- 법주사
- 선돌
- 밀양박씨
- 화양동 암각자
- 사과과수원
- 충북의 문화재
- 단지주혈
- 한독의약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부도
- 부여박물관
- 화양구곡
- 효자각
- 국립청주박물관
- 곡산연씨
- 공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경주김씨
- 사인암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증평군(曾坪郡) (175)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도안면 광덕2리에 위치하고 있는 경주인 월곡 김용식(月谷 金容式)의 공덕비이다.김용식은 초대 면의원을 지냈으며 도로부터 부락도로 오마장(2키로미터)을 국고금과 자치금을 합하여 지방도로를 개설하는데 많은 공이 있으며 광덕소류지추진위원장으로 광덕소류지를 개설하는 등 부락을 위해 헌신 노력하였으며 야학을 실시하는 등 많은 노력을 한 김용식의 공을 기리기 위하여 1975년 4월에 이 비를 세웠다. 비석이 있는 광덕2리는 경주김씨의 집성촌이다. 비석은 길가에 위치하고 있으며 비석의 전면에는 월곡김공용식공적비(月谷金公容式功績碑)라고 음기되여 있으며 비석의 건립시기는 1975년이다. 비석의 뒷면에는 김용식의 행적이 기술되여 있으며 모산부락 북쪽에 있었던 광덕소류지는 1965년에 시설했으나 현재는 증평 쓰레기매립장이 ..
영모재가 위치하고 있는 남하리는 1914년 4월 1일에 포천리(浦川里)ㆍ금리(金里)ㆍ염곡리(濂谷里)ㆍ탑동(塔洞)ㆍ금반리(金盤里)ㆍ둔덕리(屯德里)ㆍ서동(書洞)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만들었는데, 지역이 남쪽 아래가 되므로 붙은 이름이다. 남하리는 삼보산(三寶山)과 남대산(南大山)을 등..
증평읍 용강2리인 곡강 마을입구에 자리하고 있는 청안향교전교를 지낸 안동인 김도연의 기적비이다.비의 전면에는 원임청안향교전교안동김공도연기적비(原任淸安鄕校典校安東金公道演紀績碑)라고 음기되여 있다. 비석의 후면에는 김도연의 행적이 기술되여있다. 비석은 2001년 유림일동의 이름으로 세웠다. [청안면 읍내리에 자리하고 있는 청안향교의 전경이다]
공덕비가 있는 용강2리는 곡강이라고 부린다.용강2리는 증평에서 괴산군 청안면 방면의 592번지방도 오른쪽에 있는 마을이다.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의 ‘곡강(曲江)’으로 불리던 곳이다. ‘곡강’이나 ‘곡강골’은 마을 형태가 굽이쳐 흐르는 강[河回]과 비슷하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전설에 따르면, 용강리에는 암용과 수용이 있었는데 암용은 ‘안용문이’에 수용은 ‘바깥용문이’에 살았다. 용강리에는 강이 흐르고 있었고 이곳에 살던 용이 승천할 때 꼬리를 쳐서 강이 구부러졌다고 한다. 김득신(金得臣)은 ‘차운(次韻)’이란 제목으로 ‘곡강’을 노래하고 있다. [증평문화원] 증펑읍 용강2리 마을입구에는 조금 색다른 비석이 1기 자리하고 있다.비석의 전면에는 범부차근풍,이춘일공..
증평읍 용강2리 마을입구에 있는 마을이장을 지낸 전주인 이건상의 공적비이다. 이건상은 22년 동안 마을이장을 보면서 마을안길 확장및 배수로 정비 하수도복개공사등에 힘을 써 마을의 사업을 완료하였으며 마을의 경로당 2개소를 현대식으로 고쳐서 마을노인분들의 건강에도 힘을 써 경로사상을 고취하였다. 이건상씨는 또한 농기계창고를 신축하고 리우(里友)회장을 역임하며 그동안 이장일을 보면서 군수로 부터 15회에 걸쳐 표창을 받기도 하였다. 모든일에 타의 귀감이 되니 주민들이 뜻을 기려 표석에 새겨 마음에 새긷고자 이 비를 세운다. 비석은 2007년에 곡강주민일동이 세웠다 비석의 전면에는 이장이공건상공적비(里長李公健相功績碑)라고 새겨있으며 좌우,후면에는 이건상의 행적이 기술되여 있다.
증평읍 남차3리 장천마을(長川)에 있는 수살(水殺)이다. 증평에서 율리와 미원으로 갈라지는 삼거리에 넓게 위치하고 있다. 수살의 유래가 적혀있는 유래비와 제단등이 갖추어져 있으며 마을주민들에 의하여 고사를 받고있다. 장내마을은 『호구총수(戶口總數)』(정조 13년, 1789)에는 ‘장내(墻內)’로 기록되어 있고,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에는 ‘장천(長川)’으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1914년 이전)에도 고유 지명은 없이 ‘長川’으로만 기록되어 있다. ‘장내’는 ‘장’과 ‘내’로 나뉜다. 『호구총수(戶口總數)』(정조 13년, 1789)의 ‘장내(墻內)’라는 기록에 따르면, ‘담 안’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