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청주박물관
- 화양구곡
- 경주김씨
- 부도
- 티스토리챌린지
- 사인암
- 보성오씨
- 공주박물관
- 법주사
- 효자각
- 상당산성
- 효자문
- 한독의약박물관
- 사과과수원
- 곡산연씨
- 문의문화재단지
- 공산성 선정비
- 각연사
- 화양동 암각자
- 충북의 문화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밀양박씨
- 단지주혈
- 문경새재
- 충주박물관
- 선돌
- 청풍문화재단지
- 오블완
- 국립청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진천군(鎭川郡) (23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진천읍 교성리 향토 민속 자료 전시관의 동쪽 화단에 있는 최문환 애민선정비이다. 비제는 '군수최후문환애민선정비(郡守崔侯文煥愛民善政碑)'라 되어 있다.비석의 건립시기는 1904년(甲辰年) 4월이다. 최문환은 승정원일기에 의하면 1901년에 8월에 충주군수등을 지냈으며 고종38년 10월30..
이월면 사무소에서 약 10여미터 떨어진 길가 언덕에 있는 일제강점기시절 이월면장을 지낸 방선용의 시혜불망비 입니다. 이월면 사무소의 해방이후 역대면장들의 이름에는 없는 것으로 보아 비석의 상태등과 년도를 따져보니 1934년 갑술년에 가장 근접합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이월면장방공선용시혜불망비(梨月面長方公善容施惠不忘碑)라고 음기되어 있으며 비석의 건립시기는 갑술(甲戌.1934년) 1월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시혜내용은 알수가 없습니다. 방선용은 일제강점기인 1926년부터 1935년까지 10여년간 이월면장을 지냈다. 중외일보는 시대일보를 이어 발행된 일제강점기 한글 신문 《중외일보》 1926년 11월 30일 ~ 1931년 6월 19일까지의 신문을 디지털화한 자료이다. 중외일보는 이상협이 시대일보의 판권을..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무신 신헌의 가옥. 신헌(申櫶)[1810~1884]의 자는 국빈(國賓), 호는 위당(威堂)이다. 조선 후기 무신이며 외교가로 병자수호조약과 조미수호조약을 체결하는 등 조선의 개항에 중요한 임무를 수행하였다. 말년에는 고향인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로 돌아와 여생을 마쳤다. 시호는 장숙(壯肅)이다. 진천읍에서 이월면 방면으로 7㎞ 정도 가면 이월면사무소에 닿기 직전 왼쪽으로 구부러진 도로 옆으로 ‘노곡’이란 마을 이정표가 보인다. 이 표지석을 따라가다 이월농협미곡종합처리장을 지나면 무제산을 배경 삼은 이월면 노원리에 닿게 된다. 이 마을에 진천 신헌 고가가 있다. 진천 신헌 고가는 1850년경 전통적인 한옥으로 지을 당시에는 안채, 사랑채, 행랑채가 모두 있었으..
가의대부원종훈일등병조참판평산산공휘한장지묘(嘉義大夫原從勳一等兵曹參判平山申公諱漢章之墓)라고 비석에 쓰여있다노은영당 뒷쪽으로 신잡의 무덤을 오르는 왼쪽 산록에 자리하고 있다.석물등은 모두 근간에 새로 세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