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문의문화재단지
- 국립청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상당산성
- 경주김씨
- 한독의약박물관
- 오블완
- 법주사
- 부여박물관
- 선돌
- 밀양박씨
- 공주박물관
- 각연사
- 충북의 문화재
- 단지주혈
- 곡산연씨
- 문경새재
- 청풍문화재단지
- 티스토리챌린지
- 화양구곡
- 부도
- 화양동 암각자
- 사인암
- 충주박물관
- 효자문
- 청주박물관
- 보성오씨
- 효자각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공산성 선정비
- Today
- Total
목록통합청주시 (1607)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ddw58/btsshnIxGTK/DRmTrugyCKOKAaaukJflGk/img.jpg)
경계석을 논둑에 있는 치석재를 활용했으면 더 좋았을 텐데 하는 혼자만의 생각이다.비내리는 오후 이익저 영세불망비와 눈마주치고 왔다. 내용은 먼젓번 다녀온 글로 마침을 한다. https://king6113.tistory.com/5746 가덕면 한계리 목사이익저영세불망비(加德面 閑溪里 牧使李益著永世不忘碑)이익저에 대하여는 여러번 다녀와 소개한 글로 대신합니다.이익저에 관하여 자세한 내용은 다른글로 참조하시고 이익저가 벼슬길에서 물러난 이야기를 살펴보겠습니다.이익저에 관하여 자료king6113.tistory.com 의성의 발자취 | 이익저(李益著) - 의성현 선생안(102) - Daum 카페 이익저(李益著) - 의성현 선생안(102)○ 이익저 (李益著) 1649년(인조 27) ~ 1722년(경종 2)..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mkYk/btssvdLwJr0/IZ5R6Vf6tY3Qa94K1zkBKK/img.jpg)
8월말인데도 계절의 변화는 심하다.태풍의 발달로 지속적인 우기가 계속 진행되나 보다.창문밖으로 비가 내리는데 집에 있기는 뭐한것 같고 가까운 곳에 한계리석불을 보러 길을 나섰다. 언제나 봐도 마음이 쓰이는 석불이다.자신의 모든 것 민초들의 아픔의 댓가로 내어주고 오늘도 인적드문 길가에 앉아 계신다. 한계리 노계 마을의 절터에 있는 석불로서 현재는 마을 앞 정자 나무 옆에 놓여 있는데 오랫동안 노천에 방치되어 마멸이 심하고 형체를 확인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불상은 판석형 화강암의 주형광배(舟形光背)와 대좌(臺座)를 함께 조각하였는데 부조(浮彫)가 높지 않아 평면불처럼 보인다. 광배의 윗부분과 불두부는 마멸이 심하여 원상을 알 수가 없는데 불상은 대좌 위에 결가부좌한 좌상으로 안면은 인위적인 손상을 많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MJQpR/btscTjHNzvF/XK0iOLdrrHDBaX2zqxQuO1/img.jpg)
구방리 마을초입 느티나무 아래에 자리하고 있는 구방리 출신 6.25참전용사를 기리는 비석입니다.비석은 구방리참전전우회원일동 이름으로 199년에 세웠습니다.비석은 전면에는 6.25참전전우회비라고 적혀 있으며 뒷면에는 40여명의 참전회원들의 이름이 적혀 있습니다. 구방리는 본래 청주군 산내일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구방리(九芳里), 국촌리(菊村里), 궁치리와 구마평리(九馬坪里), 항동(項洞)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구마평과 방촌의 일부를 따서 구방리라 하여 편입됨. 현재는 1,2,3리로 분구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cE93F/btsbUQ6VZWK/CZFXgnRtEkpcO9UhrcrqD1/img.jpg)
문의면 노현리 마을초입에 자리하고 있는 연안인 덕산 이덕영의 송덕비입니다. 이덕영은 노현리 출신으로 마을의 농사를 위한 기계화사업에 앞장서고 또한 향토장학회를 조직하여 마을의 교육여건의 개선 및 장학생등을 선발하여 장학사업에 이바지 하였다. 자신의 재산을 담보로 동네발전에 기여 하는 등 많은 공적으로 1984년에 노현리주민일동의 이름으로 송덕비를 세웠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LvY3O/btrTQRiT92y/UxTVNIQZjw5ziTN5jkSOmk/img.jpg)
비상초등학교설립 추진과 더불어 내수중학교 강당 건립을 위해 희사한 나상헌씨는 청주향교 전교와 청주군협의원과 충북협의원에 피선되었다. 또 현직참봉을 지낸 나헌용씨 역시, 부강초등학교 강당건립에 희사해 지역 교육 발전에 기여했다. 홍양사 앞에는 이들 3인을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져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LJpAe/btrTQ0msw9m/yJkAuuyc2P4NVLVYlYLrg1/img.jpg)
나상악은 면협의회의원과 군평의원을 역임했으며, 비상초등학교가 세워지기까지 개인의 밭을 희사해 교육의 터전을 마련했다. 그는 또 사유지 900평을 마을 공동 경작지로 내놓았는가 하면, 유림의 추천으로 청주향교 전교를 지내며 우리 전통을 지켜나가는 일에 힘을 쏟았다. 비상초등학교설립 추진과 더불어 내수중학교 강당 건립을 위해 희사한 나상헌씨는 청주향교 전교와 청주군협의원과 충북협의원에 피선되었다. 또 현직참봉을 지낸 나헌용씨 역시, 부강초등학교 강당건립에 희사해 지역 교육 발전에 기여했다. 홍양사 앞에는 이들 3인을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져있다. 출처 : 충청타임즈(http://www.cc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