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국립청주박물관
- 효자각
- 화양동 암각자
- 단지주혈
- 충북의 문화재
- 곡산연씨
- 한독의약박물관
- 보성오씨
- 경주김씨
- 상당산성
- 부여박물관
- 충주박물관
- 오블완
- 티스토리챌린지
- 사과과수원
- 밀양박씨
- 법주사
- 사인암
- 선돌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부도
- 문의문화재단지
- 청풍문화재단지
- 공주박물관
- 효자문
- 화양구곡
- 청주박물관
- 문경새재
- 각연사
- 공산성 선정비
- Today
- Total
목록통합청주시 (1617)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북이면 영하리에 위치한 송광도 효자문입니다.아직도 인터넷에는 맹동면 두성리에 있는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충북 혁신도시가 개발이 되면서 이곳 북이면 영하리 산44-1번지로 이건 하였습니다. 효자문을 옮기면서 당시의 안내판까지 모두 옮겨 세워 놓았습니다. 송광도는 고려시대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무신이자 효자입니다. 본관은 진천(鎭川). 상산백(常山伯) 송인(宋仁)의 7세손이며, 아버지는 송소(宋玿)이다. 송광도(宋匡度)는 정용낭장(精勇郎將)을 지냈다.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에 따르면 부모님에 대한 효성이 어찌나 지극했던지 중국 황제에게 알려져 정려가 내려졌다. 정려는 본래 진천군 산정촌의 묘 아래 있었으나 1636년(인조 14)에 병자호란으로 인하여 소실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효도와 학행으로 널..

진천인 송광도의 효자문을 찾을수가 없어 여기저기를 알아 보던 중에 우연히 진천면지에 실려있는 근래의 송광도의 효자문의 사진을 볼수가 있었다. 음성 두성리에 있던 효자문이 충북혁신도시 개발로 인하여 북이면 영하리로 옮겼다는 글을 볼수가 있었다. 북이면사무소에 전화를 하여 영하리 이장님들께 수소문 하여 지번주소를 얻을수 있었습니다.찾고나면 쉬운 것을 그 언저리를 몇 번을 돌았던 기억이 난다.네비에 지번을 찍고 영하리를 돌아다니며 주위를 둘러 보았다. 먼 곳에서도 훤하게 보이는 묘역이다.혹시나 하는 마음에 좁은 농로를 따라 진입하니 멀리 효자문도 보이고 효자문 옆 산록으로 진천송씨 묘역이 보인다.송광도의 묘지는 산록 맨 위에 자리하고 있다. 호석을 둘렀으며 장명등,문인석,사자상,망주석등 모든 석물들은 모두 산..

상당구 용정동에 자리한 용정공원안에 설치되어 있는 용정동(중고개마을)유래비입니다.

가덕면 청용리 고천군사우,재실(加德面 靑龍里 高川君祠宇,齋室) 가덕면 청용리 고천군사우,재실(加德面 靑龍里 高川君祠宇,齋室)고천사는 조선 말기에 성종대왕의 즉위에 공을 세워 좌리공신(佐理功臣) 4등으로 책록되고 고천군(高川君)에 봉해진 이조판서(吏曹判書) 신정(申瀞, 1442∼1482)의 위패를 봉안하기 위해 세운 고령king6113.tistory.com 사당밑에 자리하고 있는 재실입니다.옛모습은 많이 없어졌습니다. 고천군사당 뒷쪽으로 무덤이 몇기 자리하고 있습니다.애국지사 신영우의 묘지와 함께 그동안 보이지 않던 안내판도 문중에서 설치하였습니다.그 뒤로 가선대부에 증직된 신헌록(申憲祿)의 묘지와 함께 성균진사를 지낸 신성구( 申星求)의 묘지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가만히 머릿속에서 떠오르는 풍경.가덕면 청용2구에 자리한 청용리사지 석탑입니다.오롯히 쓸쓸한 화단 한켠 자리 하고 앉아 지나간 세월을 깁고 있습니다.언제나 보아도 마음속에 짠한 마음이 드는 작은탑 청용리사지 석탑입니다. 가덕면 청용리 청용리석탑(加德面 靑龍里 靑龍里石塔) 가덕면 청용리 청용리석탑(加德面 靑龍里 靑龍里石塔)청용리 삼층석탑이 있는 가덕면에는 가덕(加德)이라는 지명에 대하여 전해져 내려오는 전설이 있습니다. 지명은 인차리에 위치하는 가덕산에서 유래되었다. 지명 유래와 관련하여 향토 사료에king6113.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