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청풍문화재단지
- 한독의약박물관
- 청주박물관
- 법주사
- 티스토리챌린지
- 공산성 선정비
- 선돌
- 상당산성
- 문의문화재단지
- 부도
- 곡산연씨
- 충북의 문화재
- 효자각
- 효자문
- 오블완
- 부여박물관
- 사인암
- 문경새재
- 경주김씨
- 보성오씨
- 화양구곡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화양동 암각자
- 국립청주박물관
- 각연사
- 단지주혈
- 공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밀양박씨
- 사과과수원
- Today
- Total
목록통합청주시 (1607)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tkA0/btsHFL1empE/VTKbKjEU5atKsN7JfirOdK/img.jpg)
곽예는 본관은 청주(淸州). 초명은 왕부(王府). 자는 선갑(先甲), 호는 연담(蓮潭). 사문박사(四門博士) 곽부(郭垺)의 아들이다.1255년(고종 42)에 최온(崔昷)이 주관한 과거 시험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전주사록(全州司錄)에 임명되었다. 1263년(원종 4) 왜구가 웅신현(熊神縣: 지금의 경상남도 창원) 물도(勿島)에 침입해 공선(貢船)을 약탈하고 사람들을 잡아가자, 첨사부녹사(詹事府錄事)로서 대관서승(大官署丞) 홍저(洪泞)와 함께 화친첩(和親牒)을 가지고 일본에 가서 도둑질을 금할 것과 포로로 끌려간 사람들을 돌려보내기를 청하였다.1270년 무신정권의 마지막 집권자 임유무(林惟茂)가 주살되자 내원령(內園令)으로서 중승(中丞) 홍문계(洪文系), 장군 송분(宋玢)과 더불어 왕에게 하례하고 곧 수도를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l4Yq9/btsHGaTQfl4/vaJW1aBjykRSF04cfYb8sk/img.jpg)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에 있는 청주곽씨(淸州郭氏)의 인물을 제향하는 사당.고려시대 청주곽씨의 곽원(郭元)[?~1029], 곽여(郭輿)[1058~1130], 곽예를 제향하기 위하여 1974년에 세운 사당이다. 설립 당시의 명칭은 청원사(淸原祠)였는데, 1996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개칭되었다. 상당구 명암동 명암약수터 뒷길로 약 300m 가량 올라가면 산 중턱에 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된 초익공식 겹처마 지붕의 맞배집으로 풍판을 달았다. 장대석의 기단 위에 원형의 주춧돌을 놓고 둥근 기둥을 세웠다. 가구 형식은 1고주 5량가이며 단청을 하였다. 사당 앞에는 좌우에 석등이 하나씩 있으며, 입구에는 솟을삼문을 세웠다. 청주곽씨 후손들이 매년 제사를 지내는 의례공간으로 문중의 결속력을 다지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jBWkC/btsHEyV2qjo/JgF23HwP1z7YzRSVTtG8d0/img.jpg)
우암산은 청주의 진산입니다. 지금도 많은 사찰이 있으며 또한 절터도 많이 존재합니다.명암동 명암약수터 뒷길로 난 산길을 오르다 보면 청주곽씨들의 선조사당인 상당사를 볼수 있습니다.상당사에서 산길을 따라 오르다 보면 자연암반 지대를 만나게 되며 마애불은 그 곳에 조성되어 있습니다. 두 구가 나란히 조성되어 있으며 두손에 홀을 쥔 동자승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마애불이 쌍둥이 마냥 자리하고 있습니다. 자연암반을 깍아서 조성해 놓았습니다.마애불을 바라보며 오른쪽 마애불은 코가 훼손되어 있습니다. 마애불위로는 바위를 깍아서 호랑이를 형상화한 조각을 만들어 놓았습니다.발톱과 함께 이빨등은 호랑이를 나타내지만 머리부분은 조금 정교함이 부족한 듯 합니다. 비스듬한 바위 위에 조각해 놓아서 사진촬영등을 할때는 조심해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x5SWC/btsHGzeyY12/zNpXmZJgmMUzQkBZaeaozK/img.jpg)
우암산 명암약수터 소로를 이용해 산길을 걷다보면 청주곽씨들의 사당인 상당사를 만나게 됩니다.상당사 뒷쪽으로 석불이 1구 자리하고 있습니다. 서있는 석불과 상당사와의 연관성이 있나 하고 청주곽씨 대종회 홈페이지를 들어가 살펴 보았지만 상당사와는 관련이 없는 것 같습니다. 이 석불은 무속인들이나 일반인들의 기도처로 추정이 됩니다. 이 곳에서 위로 얼마 떨어지지 않은곳에도 무속인들의 기도처가 있습니다. 상당사에서 위로 약 5분정도 가다보면 만날수 있는 무속인들의 기도처입니다.호랑이와 동자상이 조각되어 있습니다. 석불 앞에는 용을 새긴 석주 2점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모두 근래의 작품으로 추정이 됩니다.자연암석위에 인공으로 대석을 만들어 석불을 세워 놓았습니다. 인공적으로 깍아 놓은 모습입니다.석불의 내력에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ibkg/btsHGxBdsT4/FFNHgko3tEzFXjwBCEWJf1/img.jpg)
청주 우암산 명암약수터 뒷쪽으로 자리한 청주곽씨들의 사당인 상당사는 오래전에 다녀왔는데 그 뒷쪽에 있다는 마애불은 제가 잘가는 문화재 카페의 글을 접하고 알게 되었습니다. 아침에 한번 찾아볼까 하는 생각에 우암산을 찾았습니다.한 때는 청주시민들의 갈증을 달래주고 명소였던 명암약수는 지금은 마실수 없는 이름만 존재하는 약수터입니다.명암약수터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소로길을 따라 상당사를 찾습니다.마애불은 상당사 뒷쪽으로 길을 재촉하다 보면 바로 만날수 있습니다. 자연암반에 홀을 쥔 동자석 비슷한 조각상을 2기 조성하여 놓았습니다. 그 위로는 호랑이를 나타내는 동물을 자연석을 깍아내여 조각하여 놓았습니다. 호랑이를 표현한 것이 이빨이나 발톱등을 보면 맞는것 같습니다.호랑이를 표현하기에는 조각이 조금은 조악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A1lx/btsHjbGl5nT/O5ztUjGFmoYYTWne3spFY0/img.jpg)
상당산성내 자리하고 있는 저수지와 그리고 옆에 있는 인공습지입니다.많은 청주시민들의 휴식처가 되고 있습니다. 상수도용 저수지외에 논농사를 주로 하는 우리나라는 단순한 농업용 저수지로 댐을 막는 경우도 많으나 요즘에는 댐을 하나 막음으로써 여러 가지의 목적을 일거에 달성하려고 하는 다목적 댐이 많이 건설되고 있다. 즉, 발전용수, 생활용수, 농업용수, 공업용수 등 여러 가지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댐이 등장하여 대형화하고 있다. 오히려 좁은 국토에서 많은 토지를 수장한다고 하여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