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선돌
- 청풍문화재단지
- 밀양박씨
- 효자문
- 단지주혈
- 경주김씨
- 국립청주박물관
- 상당산성
- 공주박물관
- 부도
- 화양구곡
- 문경새재
- 티스토리챌린지
- 충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효자각
- 각연사
- 사과과수원
- 화양동 암각자
- 부여박물관
- 법주사
- 보성오씨
- 한독의약박물관
- 사인암
- 오블완
- 문의문화재단지
- 곡산연씨
- 공산성 선정비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충북의 문화재
- Today
- Total
목록통합청주시 (1607)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arMM/btsDonYBNT2/rdLXTkUX0rF1NTJKrgQkQk/img.jpg)
문의문화재단지내에 위치한 박물관 앞에 있는 암각자 입니다.문의 지역내에 산재되어 있던 것을 대청댐이 생기면서 이 곳 문화재 단지로 옮긴것으로 추정됩니다.경거석( 瓊琚石 ) 구룡산 (九龍山) 구류간( 九桺杆 ) 그리고 옆에는 와은재( 窩隱齋 )라고 적혀 있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o4db/btsGpSBxN5f/IaBGPTLXMlBavTxV12Sm5k/img.jpg)
은행리는 면의 동부에 위치하며 2개 행정리동과 4개반 153세대 529명이며 동은 가덕면 시동리 서는 두산리 남은 인차리 북은 문주리이다. 은행리(은행정이, 으능징이, 은행정)는 본래 청주군 남일상면의 지역으로서 은행나무 정자가 있으므로 은행정이 변하여 으능징이 또는 은행정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老隱東, 老隱東里, 회인군 남면의 등곡리를 병합하여 은행리라 하여 남일면에 편입되었다. 忠州 池氏 집성촌으로 進士公 後孫 약 40세대 140명 거주하고 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qvH8/btsGqOrj1Dm/tYTO53t69x84oZUXkd88n1/img.jpg)
가덕면 한계리에 있는 신평이씨의 묘역입니다. 조선조 효종대에 영천군수를 지낸 이구(李昫)의 무덤과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를 지낸 이도형(李道炯)의 무덤등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묘역은 후손들에 의하여 잘 관리되고 있습니다. 신평이씨 대동보 《무오보(戊午譜)》의 기록에 따르면 신평 이씨의 시조는 백제 사평현(沙平縣)[1]의 호족이었던 이인수(李仁壽)다. 이인수의 아들인 이주(李珠) 역시 백제의 호족이었고 이주의 증손자 이석덕(李碩德)은 통일신라의 지방관을[2] 지냈다고 한다.하지만 대개 한국의 성씨들이 그렇듯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 초 사이의 계보는 여러 혼란을 거치며 잃어버린 상태이기 때문에 고려 예종 때 문하시중 평장사 직위를 지낸 이덕명(李德明)을 중시조 1세로 삼아 대를 이어오고 있다. 그렇게 고려시대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LfV1/btsGqfiKIEj/DKlhW1tK7zBK9d1xDMLzxk/img.jpg)
은행리 지명을 갖게된 은행나무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아직도 주민들의 보살핌을 받고 있으며 수세는 양호한 편입니다.지금의 지여해 충신각은 1932년에 중건하고 1960년에 보수한 건물로 정면 1칸, 측면 1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목조기와집이다. 정려의 사면은 홍살로 막고 안에 충신문 편액을 걸었다. 현재 외손인 은진 송씨(恩津宋氏) 안소당공파(安素堂公派)에서 관리하고 있다. 남일면 은행리에 있는 지여해 충신각입니다. 지여해는 본관은 충주(忠州). 자는 수지(受之). 고려의 명장 충의군(忠義君) 지용기(池湧奇)의 후손이며, 시직 지영수(池永洙)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지운(池芸)이고, 아버지는 사과 지경담(池景湛)이며, 어머니는 선교랑(宣敎郞) 김정현(金挺賢)의 딸이다. 무과에 급제하여 1627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OEcY/btrNqs9eoKk/ZJN9AUKYON92Ky76Zmsim0/img.jpg)
북이면 부연리 못미쳐 길가에 자리하고 있는 인동장씨 충렬공파 집안 비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