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충주박물관
- 각연사
- 효자각
- 국립청주박물관
- 효자문
- 선돌
- 상당산성
- 청풍문화재단지
- 부여박물관
- 밀양박씨
- 한독의약박물관
- 화양구곡
- 사과과수원
- 공주박물관
- 경주김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사인암
- 법주사
- 곡산연씨
- 문의문화재단지
- 문경새재
- 청주박물관
- 오블완
- 화양동 암각자
- 충북의 문화재
- 티스토리챌린지
- 단지주혈
- 부도
- 보성오씨
- 공산성 선정비
- Today
- Total
목록가덕면 병암리 (6)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병암리(屛巖里)의 마을지명과 관계된 곳입니다. 병암리(병풍바위,평바위,병풍징이,병암)는 본래 청주시 남일상면의 지역으로 마을 앞 개울 건너 병풍바위가 있으므로 병풍바위,평바위,병풍징이,병암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검리와 하검리일부 및 평바위를 병합하여 병암리라하여 가덕면에 편입되었습니다. 그후 상검과 평바위,오리송골을 1리로 하검과 화림, 모산 강당말을 2리로 분리하였다가 지금은 평바위와 오리송골을 3리로 분구하였습니다. 가덕면 병암리 개천가 병풍바위라 불리우는 암벽에 새겨진 각자입니다. 각자는 한문과 함께 한글로 새겨져 있습니다.남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이라고 한자로 각자하여 놓고 옆에는 한글로 각자하여 놓았습니다. 개천가에 길게 늘어선 암벽지대로 예전에는 풍광도 좋고 여름철 ..
가덕면 병암리에 위치한 화림사 앞뜰에 위치하고있는 화림사 석탑이다.다른 석부재등을 조합하여 또는 후보하여 새로 예쁘게 단장하였다. 후보하기전에 화림사 석탑의 모습이다. 불상뒤로 보이는 석탑부재등과 함께 조합하여 새로 만들었다. 화림사(花林寺) 가덕면 병암리 화림산(花林山) 북쪽 계곡에 있는 절이다. 현재의 화림사는 1941년에 옛 절터에 중건한 것으로 본래 이 자리의 옛 절터에 대한 연혁을 밝혀주는 자료는 없다. 단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화림사(化林寺)가 낙가산(洛迦山)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조선후기의 지리지에는 폐사(廢寺)된 것으로 되어 있다. 이곳이 옛 낙가산 화림사터라고 구전되고 있으나 정확한 근거는 없다. 화림사에는 주존을 모신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목조기와집의 대웅전이 북향하여..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병암2리에 위치하고 있다. 병암2리 마을회관을 지나 상야리쪽으로 100여미터 직진하여 가다보면 왼쪽으로 위치한 작은 야산아래 자리하고 있다. 검암서원은 1661년(현종 2) 지방유림의 공의로 조헌(趙憲)·한일휴(韓日休)·신지익(申之益)·송국헌(宋國憲)·연최적(..
안소당송선생유허비(安素堂宋先生遺墟碑)는 가덕면 병암리에 위치하고있다. 유허비(遺墟碑)라 함은 선현의 자취가 있는 곳을 길이 후세에 알리거나, 이를 계기로 그를 추모하기 위하여 세운 비를 말한다. 비의 상태로 보아 비대석은 후대에 후보된 것으로 보인다. 비의 건립시기는 숭정후4계해년(崇禎後四癸亥年)이면 1863(철종14)년이다. 유허란 유지(遺址)·유적(遺蹟)·구기(舊基)와 같이 ‘남긴 터(자취)’·‘옛터’의 뜻으로, 여기에서는 선현들이 태어났거나 살았거나 임시 머물렀던 곳, 또는 순절(殉節)하거나 귀양살이하였던 곳을 가리킨다. 고려시대까지는 유허비라는 명칭의 비는 보이지 않으나, 조선시대에는 유허비를 비롯하여 유지비(遺址碑)·구기비(舊基碑)라는 명칭의 비가 적지 않게 조성된다. 경기도 개성에 ‘高麗忠臣鄭..
가덕이란 지명은 조선시대. 인조(1638)가 보은을 가기 위해 이 곳에서 하룻밤을 묵게 되었다. 비록 좋은 이불과 베개는 아니었으나 잠자리가 매우 편했다. 따라서 인조는 노정에 따른 피로를 완전히 잊을 수 있었다. 이른 아침, 인조가 산세를 자세히 살펴보고는, "이 곳의 산세가 매우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