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문의문화재단지
- 충북의 문화재
- 곡산연씨
- 공산성 선정비
- 효자각
- 공주박물관
- 선돌
- 부도
- 오블완
- 문경새재
- 화양구곡
- 티스토리챌린지
- 한독의약박물관
- 충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법주사
- 효자문
- 화양동 암각자
- 상당산성
- 사인암
- 부여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청풍문화재단지
- 경주김씨
- 국립청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밀양박씨
- 보성오씨
- 각연사
- 단지주혈
- Today
- Total
목록봉황리 (8)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정의] 충청북도 충주 지역의 효부. [활동사항] 김성배 처 전주이씨는 군수 이삼응의 4녀로 태어나서 14세에 김성배와 혼인하였다. 시부모님을 모시고 9년 동안 딸 셋을 낳아 기르다가 남편이 3년간 병석에 있을 때 정성껏 간호했고, 남편이 죽자 같이 죽으려 했으나 사람들의 만류로 뜻을 ..
김극형 신도비는 가금면 봉황리 봉황사가 위치한 능암마을을 바라보며 좌측 산자락에 위치하고있다. 현재는 접근하기도 편하며 주위는 후손들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듯 정리되여 있었다. 김극형은 조선 중기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이다.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태숙(泰叔..
내북면 봉황리 마을초입에 자리하고 있는 군수 김익경의 애민청덕비이다. 현재의 자리가 원래의 자리인지는 알수가 없으며 마을초입을 지키고 있는 느티나무아래 마을자랑비옆에 위치하고 있다. 군수 김익경에 대해서는 자세한 자료를 찾을수가 없다.공적비에는 앞면에는 군수김후익..
이의사승칠공항왜의결기념비 (李義士承七公抗倭義決記念碑)이다. 일본 명치천황(明治天皇)의 죽음을 애도하는 상복입기를 거부하고 청벽산 낭사대에 올라가 장열히 순절한 이승칠을 기념하기 위하여 봉황리 봉황휴게소 도로변에 건립한 비로 내북면 애향동지회에서 매년 추모제를 올..
가금면 봉황리의 햇골산 아래 농지정리중에 발견된 석재물이다인근 봉황리사지의 있던 석탑이 아닌가 추정된다햇골산 아래 번성했던 가람이 소재하지 않았나 추측될 뿐이다봉황리 햇골산 중턱에 위치한 봉황리 마애불상군과 연관이 있지 않나 생각이 든다봉황리사지의 모습은 어디에도 흔적이 남아 있질않타고려초기 이후의 작품으로 추정된다탑의 몸돌에는 사면을 돌아가며 불상이 조각되여 있다 농지정리를 하던 중장비기사의 신고로 가금면사무소에서 보관하고 있다가현재는 충주박물관 야외 전시장에 전시되여 있다
공무원으로 일하시던 매형님이 가금면 에서 근무하실때 이야기를 들려주셨다요즈음 부쩍 충주중원에 대하여 관심이 많으셔서시에서 운영하는 문화대학이라는 강좌를 열심히 듣고 교육을 받으신다충주 중원에 관심이 많으신 지역사람들을 대상으로문화대학이라 하여 일주일에 한번씩 충주시에서 교육을 한다주위에 유적지 뿐만 아니라 전국에 유명 유적지를 답사하며 공부를 하신다 매형님이 가금면에 근무를 하실때전화를 한통 받으셨단다거의 20여년전에 일이란다지금 봉황리마애불상군이 있는 햇골산 앞을 경지정리하면서흙속에 파묻혀있던 탑의 일부가 나왔었나 보다외지사람이 차량을 동원하여 유출하려한다는 동네주민의 신고를 받고사진에 있는 탑의 일부가 유출되려는것을 막고현재 가금면사무소내에 보관하고 있다가충주박물관이 생기며 야외전시장으로 옮겼다고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