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국립청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공주박물관
- 법주사
- 선돌
- 청주박물관
- 부도
- 티스토리챌린지
- 효자각
- 공산성 선정비
- 충주박물관
- 보성오씨
- 곡산연씨
- 오블완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화양동 암각자
- 밀양박씨
- 청풍문화재단지
- 사과과수원
- 한독의약박물관
- 경주김씨
- 각연사
- 사인암
- 문의문화재단지
- 상당산성
- 단지주혈
- 화양구곡
- 충북의 문화재
- 효자문
- 문경새재
- Today
- Total
목록속리산 (18)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대웅보전 난간석에 새겨진 문양을 찾다보니 충북일보에 재미있는 기사가 있었다.그 기사내용을 옮겨 보면 다음과 같다. 속리산 법주사 대웅보전과 돌계단. 그 계단을 오르면 손오공 이미지를 지닌 돌조각상을 만날 수 있다고 전회에 밝힌 바 있다. 시선을 좌우로 돌리면 계단 면석에 돋..
12간지에서의 원숭이의 의미는 여기에는 특히 불교의 영향이 컸다고 보는데, 약사여래의 12대원을 통달한 12선신(善神)인 약사십이신장(藥師十二神將)에 대한 설정이 그것이다. 궁비라대장(宮毘羅大將)은 쥐인 자신(子神)으로 내 몸과 남의 몸에 광명이 있도록 정성을 다하는 원(願)을 가진 신이고, 벌절라대장(伐折羅大將)은 소인 축신(丑神)으로 위덕이 높아서 중생을 모두 깨우치려는 원을 가진 신이며, 미기라대장(迷企羅大將)은 호랑이인 인신(寅神)으로 중생으로 하여금 욕망에 만족하며 결핍되지 않게 하려는 원을 가진 신이고, 안저라대장(安底羅大將)은 토끼인 묘신(卯神)으로 일체 중생으로 하여금 대승교에 들어오게 하려는 원을 가진 신이다. 또 안비라대장(安備羅大將)은 용인 진신(辰神)으로 일체 중생으로 하여금 깨끗한..
사찰에 들어서기 위해 맨 처음 통과 하는 곳이 일주문이다 기둥이 한줄로 늘어서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일주문은 세속에서 번뇌로 흩어진 마음을 하나로 모아 진리의 세계로 들어간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즉 속세에서 수미산으로 가는 첫번째 관문인 셈이다 일주문에는 사찰의 현판을 걸어 ..
보은 법주사 석조희견보살입상은 지대석 위에 비교적 큰 향로를 머리에 이고 서 있는 흔치 않은 조각상이다. 희견보살상으로 불리어 오고 있으나 그 유래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다. 하부 대석과 신부, 그리고 향로 받침까지가 1석이고 그위에 발우형 향로가 올려져 있다. 부처님께 향불을 공양 올..
마애여래의상(磨崖如來倚像)은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보물 제 216호로 지정되였다 추래암 밑 열반굴 암벽에 조각하였다 전체높이 5미터 연화대좌석 2.84미터 평면연화석폭 2.27미터의 불상인데 이러한 의좌상(倚坐像)은 고 신라시대 경주 삼화령 석조미륵의상을 제외하고는 그 사례가 아주 드문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