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공주박물관
- 오블완
- 화양구곡
- 법주사
- 문의문화재단지
- 경주김씨
- 화양동 암각자
- 공산성 선정비
- 효자각
- 곡산연씨
- 티스토리챌린지
- 선돌
- 청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밀양박씨
- 충주박물관
- 보성오씨
- 청풍문화재단지
- 각연사
- 사과과수원
- 단지주혈
- 효자문
- 문경새재
- 사인암
- 상당산성
- 부도
- 한독의약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Today
- Total
목록연풍면 행촌리 공적비 (8)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1ILjF/btr0qsCbmTh/tPNsISto3AgBqvzuKo3AiK/img.jpg)
연풍면 행촌리에 위치하고 있는 이방 안용우의 시혜비이다.행촌리 연풍향교옆에 위치하고 있는 비석들은 연풍면 각지에 흩어져 있던 비석을 한군데로 모아 놓은곳이다. 이 고장을 거쳐간 군수나 현감 또는 면장등의 비석이 같이 함께 하고 있다. 비석에는 이방안용우시혜노령영세불망비(吏房安用禹施惠奴令永世不忘碑)라고 음각되여 있으며 비의 건립시기는 기해(己亥)3월이다. 비의 상태등을 보아 비석에 표기된 기해년은 1899년정도로 추정된다. 비석에 음각되여 있는 노령(奴令)이라 함은 지방관아의 관노와 사령을 칭하는 말로 이방 안용우가 관노와 사령등에게 은혜를 준것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석으로 추측된다. 비석에서 칭하는 이방은 비석의 내용으로 보아 중앙관청의 이방을 칭하는 것으로 추측이 된다. 이방(吏房)은 조선시대 승정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hZCN/btr0o60wopf/cnlyv5GiiTRk6HnokkQKhk/img.jpg)
연풍면 행촌리에 있는 비석군중에 비석을 바라보며 맨 오른쪽에 있는 관선 괴산군수를 지낸 오권영의 공적비입니다. 오권영은 괴산의 32대 군수로서 재임기간은 1년 9개월(1991.4.26-1993.1.18) 입니다.비석의 전면에는 괴산군수오공권영공적비라고 써있습니다. 연풍향교 유림일동의 이름으로 비석을 세웠습니다. 연풍향교의 증,개축에 많은 관심을 가진 듯 합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kA7iX/btr0kkZZzan/BgbqGynsbWrPg8hLwcoedk/img.jpg)
행촌리 공적비군중에 하나인 비석으로 군수를 지낸 배석구의 선정비이다. 비석에는 행군수배후석구청덕선정비(行郡守裵侯錫龜淸德善政碑)라고 음기되여 있으며 비석의 조성시기는 1900년 경자(庚子) 10월이라 적혀있다. 배석구가 연풍군수를 마치고 임지를 떠나자 비석을 세웠습니다. 배석구는 자는 우범이며 분성인으로 생몰년은 (1868-1925) 이며 분성군 24세이며 부친은 선공감 감역을 지낸 배영기이다.1888년 영회원 참봉을 시작으로 1893년 제중원 주사를 지냈으며 1899년 연풍군수를 역입하였습니다. 승정원 일기에 의하면 배석구(裵錫龜)는 고종35년 (己丑)년인 1898년에 연풍군수에 임명된다. ...任延豊郡守裵錫龜, 任安東郡守鄭世源, 任突山郡守洪, 任龍安郡守閔貞植, 任陰竹郡守李秉德, 任慈山郡守閔象鉉.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iShd/btr0oAgq8Oj/HvbizkPY8NA4AZKX3XxWP1/img.jpg)
연풍면 행촌리 연풍향교 가까운 곳에 위치한 연풍비석군중에 하나인 서상학의 선정비이다. 비석에는 군수서후상학청덕애민영세불망비( 郡守徐侯相鶴淸德愛民永世不忘碑)라고 음기되여 있으며 비석의 조성시기는 무술(戊戌)년 1898년 11월에 건립하였다. 서상학은 승정원 일기에 의하면 1894년 고종31년 계사년에 연풍현감을 지낸다. 그 후 1897년 고종34년 계사년에 연풍군수의 직을 마치고 연안군수로 자리를 이동하게 된다.비석은 서상학이 연풍군수를 마치고 떠나는 다음 해에 조성되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naavD/btr0n76H6XD/YJT2kLLicM4XbNiA8t2sG0/img.jpg)
연풍면 행촌리 공적비군 중 하나인 일제강점기 시절의 삼풍구장을 지낸 이재관의 불망비이다. 비석의 전면에는 구장이재관시혜불망비(區長李載寬施惠不忘碑)라고 음기되여 있으며 조성시기는 일본연호로 대정14년인 1925년 을축(乙丑)년 이다. 삼풍리 주민들에 의하여 조성되였다. 일제강점기 시절의 구장(區長)이라 함은 지금의 농촌의 이장이나 도시의 통장을 이르는 행정구역의 최말단의 직책으로 구장이 하는 일은 지금의 통장이 하는일과 비슷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bC7D/btr0qXvb9Qs/KjbnFx3twk043zAHIaIX21/img.jpg)
연풍면 행촌리 연풍향교옆에 있는 조선말 연풍군수를 지낸 안익환의 불망비이다. 비석에는 군수안후익환영세불망비(郡守安侯翊煥永世不忘碑)라고 음기되여 있으며 비석의 조성시기는 1898년 무술(戊戌)년 3월에 조성하였다. 안익환은 조선 고종34년 갑신(1897년)년에 연풍군수로 임명이 되였다.비석의 조성은 임기를 끝내고 난후 조성된것으로 추측이 된다. 승정원 일기 고종34년 4월25일에 안익환을 연풍군수로 임명함이 나타난다. ...任高敞郡守鄭崙永, 任舒川郡守李參應, 任延安郡守徐相鶴, 任延豐郡守安翊煥, 任永同郡守兪致眞, 任沃溝郡守趙萬熙, 任振威郡守金思弼, ... 1895년(고종 32)에 연풍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에 괴산군에 병합되면서 폐군되었음.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고사리면의 신혜원과 장풍면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