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화양동 암각자
- 상당산성
- 단지주혈
- 국립청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부도
- 부여박물관
- 화양구곡
- 사과과수원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문의문화재단지
- 효자문
- 선돌
- 곡산연씨
- 법주사
- 효자각
- 오블완
- 밀양박씨
- 충북의 문화재
- 충주박물관
- 각연사
- 공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보성오씨
- 공산성 선정비
- 경주김씨
- 사인암
- 티스토리챌린지
- 문경새재
- 청풍문화재단지
- Today
- Total
목록충주목사 (7)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1814년(嘉慶19년)에 건립된 충주목사를 지낸 우봉인 이광헌의 선정비입니다.이광헌은 조선 후기 충주목사를 역임한 문신입니다.본관은 우봉(牛峯). 자는 원장(元章). 문정공(文正公) 이재(李縡)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이제달(李濟達)이며, 아버지는 이목(李木)이고 생부는 이화(李禾)이다.이광헌은 1795년(정조 19) 사마시에 합격한 뒤 1808년(순조 8) 순창군수를 역임하였으며 1814년(순조 14) 충주목사로 재직하였다. 같은 해 정시 문과에 급제하고, 1819년 사간원대사간이 되었다. 1822년 이조참의, 성균관대사성 등을 역임하였으며, 1825년 동지부사로 연경에 다녀와 이듬해 강화부유수가 되었다.충주목사 재임시 주민들에 의해 청덕애민선정비가 건립되었다.선정비에는 행목사이공광헌청덕애민선정비( ..
단월동 단월대교옆의 새로 조성된 비석들입니다. 그 동안 달천동의 이곳 저곳에 산재되어 있던 비석들을 한군데로 모아 비석을 개립하였습니다. 달천강다리에 있던 충주목사들의 비석과 함께 엽연초 생산조합내에 있던 비석3기 그리고 단월동 길가에 위치했던 면장의 비석까지 한군데로 모아 정비하였습니다. 충주목사를 지낸 이정로의 비석은 충주에만 몇 기 아직도 자리하고 있습니다.단월동,상가흥,금가면등에 자리하고 있습니다.상가흥과 금가면의 비석도 모두 처음의 자리는 아니며 이곳 저곳에 있던 비석들을 다른 비석들과 함께 모아 놓은 것입니다.단월동의 비석은 비신이 깨어져 접합하여 놓았습니다. 비석에는 행목사이후정로애민선정비(行牧使李侯正魯愛民善政碑)라고 적혀있습니다.비석의 건립시기는 1877년인 정축년(정축년) 3월 입니다. ..
이국헌의 선정비는 이국헌이 충주목사로 재직시 선정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충주목사를 지낸 이국헌의 죽음에 대하여 여러가지 이야기가 있지만 그냥 넘기기로 한다. 이국헌의 선정비는 현재 노은면 수룡리에 1기 신니면 학성마을에 1기 신니면 용화사에 표지석으로 쓰이는 1기 ..
불정면 창산리 마을어귀에 남창마을 유래비 옆에 있는 이국헌의 선정비이다. 비석의 크기는 105*65*24센티로서 기단부는 포장도로에 묻혀있다. 비석의 전면에는 목사이후국헌선정애민영세불망비(牧使李侯國憲善政愛民永世不忘碑)라고 음기되여 있으며 비석의 건립시기는 1691년(康熙30)이..
동량초등학교 잔디광장에 서있는 충주목사를 지낸 이정로의 영세불망비이다 이정로는 조선 후기 충주목사를 역임한 문신이다.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대재(大哉)이며, 호는 사계(沙溪). 아버지는 이근오(李根五)이다 비의 전면에는 행목사이공정로영세불망비(行牧使李公正魯永世不忘..
충주목사를 지낸 이국헌의 마애선정비이다 충주를 지나간 관리들의 많은 선정비를 보았지만 마애비로 선정비를 새긴경우는 드물다 수안보면 수회리에 마당바위에 서유돈불망비가 마애비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와 비해 이국헌의 마애비는 많은분들에게 알려지지 않았다. 이국헌(李國憲)의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문숙(文叔)이다. 부친은 이여연(李汝淵)이다. 1660년(현종 1) 증광시(增廣試)에 생원 3등 45위로 입격하였다. 1676년(숙종 2) 호조정랑(戶曹正郞), 문의현령(文義縣令), 부사과(副司果), 이듬해 금산군수(錦山郡守)를 역임했다. 1683년(숙종 9) 부사직(副司直), 1684년 밀양부사(密陽府使), 상의첨정(尙衣僉正), 무주부사(茂朱府使), 1685년 남양부사(南陽府使), 1687년 훈련주부(訓鍊主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