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사과과수원
- 충주박물관
- 문경새재
- 각연사
- 화양동 암각자
- 효자각
- 단지주혈
- 청풍문화재단지
- 충북의 문화재
- 부여박물관
- 오블완
- 공주박물관
- 경주김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국립청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밀양박씨
- 선돌
- 법주사
- 효자문
- 곡산연씨
- 청주박물관
- 상당산성
- 한독의약박물관
- 부도
- 화양구곡
- 보성오씨
- 문의문화재단지
- 티스토리챌린지
- 사인암
- Today
- Total
목록한산이씨 (1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이소는 이덕수의 조부로서 묘비를 보면 유명조선국통훈대부무주현감증승정원좌승지를 지낸 사람이다. 묘지는 두개의 비석과 문인석 한쌍 그리고 상석과 낮은 향로석이 있다. 이소의 묘지는 내수읍 묵방리 한산이씨묘역에 자리하고 있다. 무덤을 바라보며 왼쪽비석에는 유명조선국통훈..
이홍연은 1604(선조 37)∼1683(숙종 9).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정백(靜伯)·이정(而靜), 호는 삼죽(三竹). 계(洎)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도(濤)이고, 아버지는 대사간 덕수(德洙)이며, 어머니는 조씨(趙氏)로 수륜(守倫)의 딸이다. 조희일(趙希逸)·정홍명(鄭弘溟)의 문인이다. 1624년(인조 2) 생원시에 합격, 1636년 의금부도사로 임명되었으나 사퇴, 뒤에 세마(洗馬)를 거쳐 시직(侍直)으로 병자호란을 만나 왕세자를 모시고 남한산성에 호종하였다. 이듬해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사간이 되어 조의(朝議)를 뿌리치고 조석윤(趙錫胤)과 함께 김자점(金自點)을 탄핵하여 갑자기 귀양보내게 하였다. 효종 즉위 후 좌승지·황해감사·대사간·예조참의·병조참의·형조참의 등을 ..
이흥직은 조선 후기의 문신입니다. 충청북도 청원군 내수읍 묵방리 산9-1번지에 한산이씨 선조들의 묘와 함께 있다. 묘소 앞에는 혼백석과 상석, 향로석, 망주석, 문관석 등이 갖추어져 있다. 1779년(정조 3)에 이의현(李宜顯)이 짓고, 김진상(金鎭商)이 쓴 묘갈이 있습니다.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자안(子安)이다. 상당구 주성동 출신으로 주된 거주지는 서울이었다. 아버지는 관찰사와 도총관을 지낸 이홍연(李弘淵)이고, 할아버지는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이자 신항서원(莘巷書院)의 원장을 지낸 이덕수(李德洙)이다.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이며, 부인은 나주임씨이다. 동생으로 이기직(李基稷)과 이광직(李光稷)이 있다. 1650년(효종 1) 생원시에 급제하여 여러 군읍의 수령을 지냈으며, 관직이 남양도..
충주에서 청주로 접어드는 길에 있는 고개이다. 말이 고개이지 지금은 어찌보면 그 어디에서도 고개의 흔적을 찾을수도 없다. 그나마 수름재라고 써있는 돌기둥만이 이 곳이 수름재라는 것을 알려주고 있을뿐 사람들의 기억속에서 잊혀지고있다. 수름재는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주성..
1974년에 미원면 중리에 세운 한산인 이현규의 사은비이다. 고려말 성리학자 목은선생 선조 이유당의 10대손으로 1885년에 출생하여 1950년 66세에 졸한 반일학자 소당 김재환의 문하인으로 부모효도의 극치와 역행자선도, 빈약자구휼,사친극효 복상3년,서학전수 인문하대출등 업적을 남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