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화양동 암각자
- 밀양박씨
- 각연사
- 단지주혈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사과과수원
- 국립청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상당산성
- 경주김씨
- 공산성 선정비
- 사인암
- 곡산연씨
- 효자문
- 청주박물관
- 법주사
- 티스토리챌린지
- 효자각
- 오블완
- 충북의 문화재
- 한독의약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문경새재
- 청풍문화재단지
- 부도
- 화양구곡
- 공주박물관
- 선돌
- 보성오씨
- 충주박물관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속리산면 법주사명부전(俗離山面 法住寺冥府殿) 본문
법주사의 명부전(冥府殿)은 앞면과 옆면 각 3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진영각과 삼성각 사이에 있다.
명부전에는 명부세계를 주재하는 지장보살을 주존으로 모신다.
시왕전(十王殿) 또는 지장전(地藏殿)이라고도 한다. 이 법당의 주불(主佛)은 지장보살이며 그 좌우에 도명존자(道明尊者)와 무독귀왕(無毒鬼王)을 협시로 봉안하며 다시 그 좌우에 명부시왕상을 안치한다.
후불탱화로는 지장보살 뒤에 지장탱화를, 시왕의 뒤에 명부시왕탱화를 봉안한다.
명부전은 일반적으로 대웅전을 향해 우측편에 위치한다
지장보살은 석가여래 입멸 후 미륵불이 출현할 때까지 무불(無佛) 세계의 중생들을 구제하겠다는 원을 세운 분이다.
도리천(쩸利天)에서 머물면서 미혹에 빠져 있는 중생들을 깨달음의 세계로 인도한다.
지옥에 단 한 명의 중생이라도 남아 있다면 성불하지 않겠다고 하여 스스로의 성불마저도 미뤄 둔 대자비의 보살이다.
일찍부터 법주사는 지장 보살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절의 중흥조 진표 율사는 몸을 돌보지 않는 치열한 수행을 통해 지장보살에게서 정계(淨戒)를 받았다.
삼국유사에는 ‘지장보살이 석장을 흔들며 와서 가호하니 손과 팔이 전과 같이 되었다.
보살이 스님에게 가사와 발우, 그리고 계본(戒本) 등을 주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스님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더욱 분발하여 마침내 미륵의 수기(授記)를 받았다고 한다.
이후 스님은 금산사에 이르러 지장신앙에 입각한 점찰법회를 거행하였다.
이러한 법주사 지장신앙의 전통은 다시 제자 영심에게 이어져 나갔던 것이다.
지금의 명부전은 최근에 조성한 것이다.
조선 중기까지만 해도 절에는 지장전이라 하여 지장보살을 봉안한 전각이 있었으나,
이후 18세기와 20세기 초의 가람에는 지장전이 사라졌다.
안에는 오른손에 석장을 잡고 왼손에 여의주를 든 지장보살과 그 협시로 도명존자·무독귀왕을 봉안하였다.
다시 그 좌우로는 각각 5구씩의 시왕상이 있는데 시왕상마다 모두 동자상을 대동하였다.
또한 각 2구씩의 판관·녹사·인왕상도 배치되었다.
지장보살상 뒤에는 1996년에 조성한 지장보살도가 있고,1992년에 주조한 동종도 있다.
명부전 외벽에는 삼면에 걸쳐 지옥세계의 무서운 장면이 벽화로 그려졌는데,
이를 통해 중생들로 하여금 경계심을 일으켜 생전에 선업을 닦도록 가르침을 준다.
명부란 염마왕이 다스리는 유명계 또는 명토(冥土)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고, 명부전은 지장보살을 모시고 죽은 이의 넋을 인도하여
극락왕생하도록 기원하는 기능을 하는 전각이다. 지장보살을 주불로 모신 곳이므로 지장전이라고도 하며,
지옥의 심판관 시왕을 모시 곳이므로 시왕전[十王殿], 저승과 이승을 연결하는 전각이므로 쌍세전(雙世殿)이라고도 한다.
지장보살은 도리천에 살면서 미륵불이 성불하여 중생을 제도하는 용화삼회를 열 때까지 중생을 구제하는 보살이고,
시왕은 128개 지옥을 나누어 다스리는 명계의 왕이다.
본래는 지장전과 시왕전이 각각 독립된 전각으로 분리되어 있었으나, 《불설예수시왕생칠경(佛說豫修十王生七經)》이 편찬된 이후
종래의 현세 기복신앙이 내세 구원신앙으로 바뀌면서 합쳐진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서는 고려말 이후 지장전과 시왕전이 명부전으로 결합되었다.
고려말, 조선시대에 그려진 지장시왕도는 염라대왕을 비롯한 시왕이 죽은 자의 죄과를 심판하는 모습을 지장보살이 쳐다보고 있거나,
중앙에 주불로 지장보살이 있고 그 좌우에 시왕이 서 있는 형식이다.
명부전은 대개 법당 오른쪽 뒤에 있는데, 사찰내의 다른 전각들에 비해 격이 떨어지므로 건물의 크기나 양식에서 차이가 난다.
전각내의 불단은 대개 ㄷ자형이며 가운데에 지장보살을 모시고 협시로 지옥을 출입한 승려 도명존자(道明尊子)와 전생부터 지장보살과 인연을 맺었다는 무독귀왕(無毒鬼王)을 두며, 그 좌우에 명부시왕을 둔다.
'충북의 바람소리 > 보은군(報恩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리산면 법주사팔상전(俗離山面 法住寺捌相殿) (0) | 2011.10.17 |
---|---|
속리산면 법주사범종각(俗離山面 法住寺梵鐘閣) (0) | 2011.10.16 |
속리산면 법주사쌍사자석등(俗離山面 法住寺雙獅子石燈) (0) | 2011.10.14 |
속리산면 법주사천왕문(俗離山面 法住寺天王門) (0) | 2011.10.13 |
속리산면 법주사철확(俗離山面 法住寺鐵鑊) (0) | 2011.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