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단성면 우화교기사비(丹城面 羽化橋記事碑) 본문

충북의 바람소리/단양군(丹陽郡)

단성면 우화교기사비(丹城面 羽化橋記事碑)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18. 8. 24. 09:19

 

우화교 기사비(橋記)는 단양팔경에 드는 상선암, 중선암, 하선암을 거쳐 단양읍 한가운데를 가로질러 흐르던 단양천 가에 서 있던 비이다. 조선 영조 29년(1753)에 단양군수 이기중이 단양천에 돌로 다리를 놓은 후 그 이듬해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인데, 큰 홍수를 만나 다리는 무너지고 비만 남아 있었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8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높이 1.15m의 비에 다리를 놓은 내력이 적혀 있다. 우화교라는 이름은 다리에서 보는 풍광이 아름답고 물이 맑으며 돌은 깨끗하여 ‘마치 하늘로 통하는 길이요, 거울같이 맑은 물을 바라보면 신선인 듯하다’고 한 데서 유래하였다. 죽령을 넘어 경상도로 오고가던 많은 사람들이 우화교를 건너다녔었다.

 

우화교기사비는 탁오대및 복도별업 암각자와 함께 수몰이주전시관 야외에 자리하고 있다.비석의 관리 상태는 양호하다.

 

 

 

 

우화교기사비는 현재 충청북도유형문화재 80호로 지정되어 있다. 영조 29년(1753)에 단양천변에 돌다리를 준공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다음해에 이 비석을 세운 것이다. 비의 규모는 높이 115㎝, 폭 58㎝, 두께 16㎝이다.
비문은 당시 영춘현감 남유용(南有容)이 썼는데 다리를 건설하게 된 동기와 이에 도움을 준 사람의 공적을 기리는 내용이 들어있다. 비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羽化橋記事碑 (篆額)

 

丹陽郡治之南有川焉其源發醴泉邐迤百折而爲川由川而溯焉繚而爲僊巖由川而沿焉放而入滄浪凡丹之勝皆水之爲也川舊有石橋畿湖之客循竹嶺而左者必由是達焉然登橋而望林峀幽敻磴沙脩潔如入天台武陵之路故好事者名之曰羽化盖羽化之名至今在漁童樵老之口然橋之亡實百有餘年矣郡歲役民賦物架土木以狀橋而雨至輒壞徒費而寡功行旅之病涉者彷徨愁歎指川而怨詈嗚呼豈川之罪也哉今太守李侯子由莅玆郡三年旣政成而民暇矣乃割廩僦工輦石疏溝謀以復橋之故者民爭歡趍之壯者出其力老者出以粟嶺之南二三州縣亦捐財以助費甫三月而功告訖其制爲三門象偃虹以跨川崇三丈廣可竝馬橋之名仍羽化架橋而樓焉翼然峙乎淸流溶漾之中以攬邑中之觀者曰登僊此又古無而今有也於是乎夏秋之民不畏水冬春無造杠之費而四方遊觀之士曳杖逍遙於橋之上解帶偃仰於樓之中忽焉若飄浮上騰與羡門安期揖讓於埃壒之外寧不奇哉旣而李侯請余記其事以鐫諸石余悅玆擧也又欲繼侯至者無廢前人之功而嗣以理之故樂爲之言記余十數年前寘酒鳳棲亭上欲登所謂羽化橋者而流水而已乃歌曰

 

僊之遊兮雲英英 僊不來兮風珮鳴 我願從之兮川無梁

 

客笑曰羽化者亦有待邪余曰有御風乘鶴非有待者歟相顧大噱今李侯又欲待吾文以遺其跡無乃重爲客所笑乎聊爲附記其說以備僊家一謔若夫溪山之好臨眺之樂余雖老矣尙待登樓而賦之

 

歲甲戌四月庚辰

少華山人宜寧 南有容 書

 

崇禎甲申後百十年癸酉十二月初三日橋成翌年甲戌六月十五日立碑

 

橋役都監前座首李恒文 規畫 前僉使金斗箕 蕫役諸校 折衝金萬衝 通政金次萬 折衝池雲澤 主吏李枝茂 收財安成就 李柴公 僧守學 僧在寬 池應昌 金德昌 池千得 李福壽 李於冉 施財白龍彦 朴乙善 朴▨ 金麗澤 鄭益周 朴德尙 池海伯 潘伯九 僧就化 器械責應黃翠龜 主饋 李永先 赴役 僧采精 僧處訖 水陸僧戒喆 說法僧宇燁 石工都命 相僧在一 刻工高察福 李采希 朴順文

 

 

 

 

 

 

우화교기사비(羽化橋記事碑) 전제(篆題)

 

단양군 치소의 남쪽에 개천이 있는데 그 발원지가 예천(醴泉)으로, 굽이굽이 돌아서 개천이 되고 개천으로 말미암아 소(溯)가 되었다. 소가 휘감아 흘러 선암(僊巖)을 만들고 개천을 따라 바위가 늘어섰다. 물이 툭 터졌다가 빙 돌아 흐르니 단양의 승경(勝景)은 모두 물이 만든 것이다. 개천에는 옛날에 석교(石橋)가 있었는데 경기(京畿)와 양호(兩湖)의 객들이 죽령(竹嶺)을 따라오다가 왼쪽으로 반드시 이곳을 경유하게끔 되어 있었다. 그래서 다리 위에 올라가 수풀과 산을 바라보노라면 그윽한 경치가 맑고 깨끗하여 마치 천태산(天台山) 무릉(武陵)으로 들어가는 길과 같아서 호사자(好事者)들이 우화교(羽化橋)라 이름을 붙였다. 지금까지 이 이름은 고기 잡는 아이나 꼴 베는 노인들의 입으로만 전해질 뿐 다리가 없어진 지는 실로 100여 년이 넘었다. 이에 군에서 해마다 민력(民力)을 투입하고 물자를 내서 흙과 나무를 얹어 다리 모양을 만드나 비가 내리면 금방 무너져 헛되이 낭비만 하고 이룬 것은 없어, 길손들은 다리가 없는 것을 병통으로 여기고 개천을 건너려는 자들은 이리저리 방황하며 근심스레 탄식하다 개천을 가리키며 원망하고 욕을 퍼부었으니, 오호라 그것이 어찌 개천의 탓이겠는가. 현임 태수(太守) 이후(李侯) 자유(子由)가 이 군에 부임한 지 3년에 이미 정사가 잘 시행되고 백성이 한가하게 되었다. 이에 창고를 열어 공인(工人)을 고용하고 연석(輦石)을 마련하고 도랑을 뚫어 다리를 놓을 계획을 하였다. 이에 군민들이 기뻐하며 달려가, 장정들은 노동력을 내놓고 노인들은 곡식을 내놓았다. 고을 남쪽의 두세 개 주현(州縣)에서도 재물을 출연하고 비용을 보태 석 달이 채 못 걸려 공사가 완성되었다. 다리의 체제는 삼문(三門)으로 무지개가 개천 위에 걸린 형상인데, 높이는 3장(丈)이고 너비는 말이 나란히 지나갈 정도였다. 다리 이름은 우화교(羽化橋)라 하였고 다리 위에 누(樓)를 얹어 날아갈 듯하매 맑은 물이 넘실대는 가운데에 우뚝 솟아 한 읍을 두루 둘러볼 수 있어 등선루(登僊樓)라 이름 붙였으니, 이것은 또 옛날엔 없다가 지금은 있는 것이다. 이에 여름이나 가을에도 백성들이 물을 두려워하지 않고 겨울과 봄에도 장대를 만드느라 비용을 지출하지 않았으며, 사방을 노닐며 관광하는 선비들이 다리 위에서 지팡이를 끌고 소요(逍遙)하며 누각 안에서 띠를 풀고 드러누워 하늘을 우러르니 홀연 바람처럼 공중으로 날아올라 선계(仙界)에 드는 듯하니 어찌 티끌 먼지의 바깥에서 읍양(揖讓)하기를 기약하겠는가. 차라리 거기보다 더욱 기이함에랴. 얼마 후 이후(李侯)가 나에게 그 일을 기록하여 돌에 새길 것을 청하기에 내가 이 거사(擧事)를 기뻐하고 또 후임자에게 앞사람의 공을 폐하지 말고 잇게 하기 위하여 사리에 따라 즐거이 기록하는 것이다. 내가 십 수 년 전에 봉서정(鳳棲亭)에 술자리를 마련하고 소위 우화교에 오르고자 하였는데 흐르는 물만 있었다. 이에 다음과 같이 노래하였다.

 

신선이 노닒에 구름이 아롱지고

신선이 아니 오매 바람만 불도다.

내가 좇고자 하나 다리가 없도다.

 

객이 웃으며 말하기를 “신선에게도 기다림이 있는 것인가?”하여, 내가 말하기를, “바람을 몰아 학을 타는 것도 기다려서야 되는 게 아닌가.”하고 서로 돌아보고 크게 웃었다(1자 판독 불능이나 문맥을 살펴 보충함). 이제 이후(李侯)가 또 내 글을 기다려 족적을 남기려 하니 거듭 객의 웃음을 받는 것이 아닌지 모르겠다. 애오라지 그 설을 기록하여 선가(僊家)의 한바탕 우스개에 대비하는 바이다. 무릇 계곡과 산이 좋은 곳에는 올라서 조망하는 즐거움이 있어야 한다. 내가 비록 늙었지만 오히려 누각에 오르기를 기다리며 시를 지을 것이다.

 

갑술년(영조 30, 1754년) 4월 경진일

소화산인(少華山人) 의령(宜寧) 남유용(南有容)이 쓰다.

 

숭정갑신후 110년 계유년(영조 29, 1753년) 12월 3일에 다리가 완성되어 이듬해 갑술년 6월 15일에 비석을 세우다.

 

교설도감(橋役都監) 전(前) 좌수(座首) 이항문(李恒文) 규획(規畫) 전(前) 첨사(僉使) 김두기(金斗箕) 동역(蕫役) 제교(諸校) 절충(折衝) 김만형(金萬衡) 통정(通政) 김차만(金次萬) 절충 지운택(池雲澤) 주리(主吏) 이지무(李枝茂) 수재(收財) 안성취(安成就) 이시공(李柴公) 승(僧) 수학(守學) 승(僧) 재관(在寬) 지응창(池應昌) 김덕창(金德昌) 지천득(池千得) 이복수(李福壽) 이어재(李於冉) 시재(施財) 백용언(白龍彦) 박을선(朴乙善) 박▨(朴▨) 김여택(金麗澤) 정익주(鄭益周) 박덕상(朴德尙) 지해백(池海伯) 반백구(潘伯九) 승(僧) 취화(就化) 기계(器械) 책응(責應) 황취귀(黃翠龜) 주궤(主饋) 이영선(李永先) 부역(赴役) 승(僧) 채정(采精) 승(僧) 처흘(處訖) 수륙(水陸) 승(僧) 계철(戒喆) 설법(說法) 승(僧) 우엽(宇燁) 석공(石工) 도명(都命) 상승(相僧) 재일(在一) 각공(刻工) 고찰복(高察福) 이채희(李采希) 박순문(朴順文)

 

 

 

 

단양 우화교 비문을 쓰다, 정조 스승 남유용 - 충북과 나의 연결고리 '충북일보' (inews365.com)

 

단양 우화교 비문을 쓰다, 정조 스승 남유용

조선 영조 9년(1753) 단양 읍내에 우화교(羽化橋)라는 다리를 세운 인물은 당시 군수 이기중(李箕重·1697~1761)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로부터 1년 뒤인 영조 10년 다리 건립을 기념해 우화교 신사비(

www.inews365.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