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곡산연씨
- 오블완
- 청풍문화재단지
- 문경새재
- 충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보성오씨
- 사과과수원
- 티스토리챌린지
- 한독의약박물관
- 밀양박씨
- 효자문
- 문의문화재단지
- 화양동 암각자
- 충북의 문화재
- 단지주혈
- 사인암
- 경주김씨
- 각연사
- 효자각
- 부도
- 부여박물관
- 법주사
- 청주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상당산성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선돌
- 화양구곡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청천면 화양동 창오운단 무이산공 각자(靑川面 華陽洞 蒼梧雲斷 武夷山空 刻字) 본문
괴산군 청천면 화양동에 위치한 화양구곡은 많은 암각자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송시열과 많은 연관이 있으며 화양구곡은 곧 송시열이라고 생각해도 무난합니다. 당시의 숭명배청사상을 온전히 보여주는 곳입니다.특이나 창오군단 무이산공이라는 각자는 암서재 주위에 있는 암벽에 새겨져 있습니다. 세월의 풍상과 함께 이끼등으로 인하여 관심을 가지고 보셔야 보실수 있습니다.
창오운단 무이산공(蒼梧雲斷 武夷山空)은 명의 황제가 살던 시대의 구름이 끊기고 주자(朱子)가 살던 무이산은 비어 있다는 뜻으로 주자학의 본산인 명이 사라지고 없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조선이 명을 계승해야 하는 당위성과 화양 9곡으로써 주자의 무이 9곡을 대신하려는 의지를 암시하고 있습니다. 당시 송시열의 철저한 숭명배청사상을 엿볼수 있습니다.그 밖에도 제5곡인 첨성대 밑에 계곡가에 새겨진 대명천지 숭정일월(大明天地 崇禎日月). 명의 하늘과 땅, 명의 마지막 황제인 숭정의 해와 달로 비록 명이 멸망했다 하나 세상은 여전히 명에 의지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황하가 만 번을 굽이쳐 흘러도 반드시 동쪽을 향해 흘러간다는 뜻의 만절필동(萬折必東)과 함께 예가 아니면 행하지 말라는 뜻의 비례부동(非禮不動)처럼 송시열의 명에 대한 마음과 명과 관련한 글귀가 새겨져 있습니다.
청천면 화양동 만절필동각자(靑川面 華陽洞 萬折必東刻字) (tistory.com)
청천면 화양동 만절필동각자(靑川面 華陽洞 萬折必東刻字)
괴산군 청천면 화양구곡중 제 5곡인 첨성대에 각자되어 있는 암각자입니다. 조선 선조의 친필로, 화양서원에 위치한 만동묘의 이름도 이 암각자인 만절필동의 준말에서 비롯된 것입이다. 만절
king6113.tistory.com
청천면 화양동 대명천지숭정일월각자(靑川面 華陽洞 大明天地崇禎日月刻字) (tistory.com)
청천면 화양동 대명천지숭정일월각자(靑川面 華陽洞 大明天地崇禎日月刻字)
화양구곡의 제5곡인 첨성대 아래 냇가에 암벽에 새겨진 암각자입니다. 주위로는 비례부동 과 만절필동 등 송시열의 대명존숭을 나타내는 여러 암각자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당시의 청나라를 인
king6113.tistory.com
청천면 화양동 비례부동각자(靑川面 華陽洞 非禮不動刻字) (tistory.com)
청천면 화양동 비례부동각자(靑川面 華陽洞 非禮不動刻字)
괴산군 청천면 화양계곡 첨성대 아래의 냇가의 암벽에 새겨진 명나라의종의 어필로 송시열에 의하여 각자되었습니다.비례부동 (非禮不動) 명나라 마지막 황제, 의종의 어필로, '예가 아니면 행
king6113.tistory.com
명 의종어필 비례부동탁본(明 毅宗御筆 非禮不動拓本) (tistory.com)
명 의종어필 비례부동탁본(明 毅宗御筆 非禮不動拓本)
우암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은 전라도 정읍에서 숙종의 사약을 받기 직전 수제자 권상하(權尙夏, 1641∼1721)에게 서면으로 유지를 내려 명나라 신종(神宗)과 의종(毅宗, 崇禎帝)의 사당을 짓고 제
king6113.tistory.com
화양서원의 편액탁본(華陽書院의 扁額拓本) (tistory.com)
화양서원의 편액탁본(華陽書院의 扁額拓本)
숙종의 어필을 볼수가 있다. 화양서원은 송시열이 학문을 닦고 제자들을 가르친 연고지이며, 일찍이 명나라 의종의 '비례부동' 4자의 친필을 얻어 암벽에 새기고 암자를 세웠던 곳이다. 또한 1717
king6113.tistory.com
청천면 청천리 송시열묘지(靑川面 靑川里 宋時㤠 墓地) (tistory.com)
청천면 청천리 송시열묘지(靑川面 靑川里 宋時㤠 墓地)
청천면 청천리에 있는 우암 송시열의 묘지입니다. 송시열은 조선후기 이조판서,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이자 학자이다. 1607년(선조 40)에 태어나 1689년(숙종 15)년에 사망했다. 김장생·김집 부자
king6113.tistory.com
'충북의 바람소리 > 괴산군(槐山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천면 화양동 안효진,정시원,김영훈각자(靑川面 華陽洞 安孝鎭 鄭時元 金永勳刻字) (0) | 2023.10.21 |
---|---|
청천면 화양동 충효절의각자(靑川面 華陽洞 忠孝節義刻字) (0) | 2023.10.19 |
청천면 화양구곡 어필봉안사김종수각자(靑川面 華陽九曲 御筆奉安使金鍾秀刻字) (0) | 2023.10.15 |
청천면 화양구곡 어필봉안사남정룡각자(靑川面 華陽九曲 御筆奉安使南廷龍刻字) (0) | 2023.10.13 |
청천면 화양구곡 정만석한시각자(靑川面 華陽九曲 鄭晩錫漢詩刻字) (1) | 2023.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