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공산성 선정비
- 충주박물관
- 사인암
- 곡산연씨
- 밀양박씨
- 화양구곡
- 부여박물관
- 상당산성
- 문경새재
- 효자각
- 선돌
- 화양동 암각자
- 사과과수원
- 한독의약박물관
- 법주사
- 청풍문화재단지
- 보성오씨
- 공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단지주혈
- 경주김씨
- 국립청주박물관
- 오블완
- 문의문화재단지
- 티스토리챌린지
- 각연사
- 효자문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부도
- 청주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2022/09/06 (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bG84C/btrKHwN5Wqe/FFj1jn4AHmdD75hTe0ANpK/img.jpg)
강릉시립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는 강릉부사 김정의 인정비입니다.높이는 146 너비 50.8 두께 23.5센티이며 비석의 전면에는 부사김공정청백인정비(府使 金公政(人+政)淸白仁政碑)라고 각자되어 있습니다. 김정(1670년(현종 11)-1737년(영조 13)은 조선후기 강릉부사, 사간원정언, 제주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사달(士達), 호는 노봉(蘆峯). 아버지는 김휘봉(金輝鳳)이며, 어머니는 봉화금씨 금성휘(琴聖徽)의 딸이다.1708년(숙종 34) 문과에 급제, 내섬시직장(內贍寺直長)이 되었고, 그 뒤 사헌부감찰·경성판관(鏡城判官)·함경도도사·병조정랑·옥천군수·강릉부사·사간원정언·제주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지방의 수령으로 재임하는 동안 양역의 여러 가지 폐단을 개선하기에 힘쓰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d7cwK/btrKLhoNTnS/XjqBTHiVSWRInVeKTB5go0/img.jpg)
강릉시립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전시되어 있는 일명 강릉석불로 불리우는 강릉 옥현동 석불입니다. 많은부분이 파손되어 있습니다. 강원도 강릉시 옥천동(玉川洞)에서 출토된 석불. 강릉석불입상은 옥천동 민가에 있었던 통일신라 후기에서 고려 초기 양식의 석불로 1992년에 강릉 향토 사료관[현 오죽헌·박물관]으로 이전하였다. 강릉석불입상은 대좌와 신체가 별석으로 조성되어 있다. 오랫동안 풍우로 마모되었으나 원만한 얼굴과 유려한 의문, 의젓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좌는 원형이며 판내에 화문(花紋)이 있는 단엽 13판의 복련(覆蓮)이 돌려져 있다. 상면에는 2조의 음각원문대가 있고, 중앙의 상면을 약간 높여 길이 17㎝의 양 발을 조각하였으나 오른쪽 발은 결실되었다. 불상의 총 높이는 1.78㎝, 두고(頭高)는 37..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5HodY/btrKJ26uxnG/XwJMSlnge7RV8aKjsfWYA0/img.jpg)
비석은 일부분 파손되어 있으며 높이는 111 너비 43 두께 16.8센티이며 관찰사윤공성대선정비(觀察使尹公聲大善政碑)라고 각자되어 있습니다. 강릉시립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습니다.순조32년(1832년) 강원감사로 재작중인 윤성대가 왕에게 장계를 올리는 것이 승정원일기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승정원일기 2275책 (탈초본 114책) 순조 32년 3월 20일 정묘 22/23 기사 1832년 道光(淸/宣宗) 12년 ○ 壬辰三月二十日辰時, 上御熙政堂。 藥房入診, 大臣·備局堂上引見入侍時, 都提調金履喬, 提調李止淵, 副提調權敦仁, 假注書李殷相, 記事官李謙在·李公翼, 直閣金鼎集, 左承旨洪赫, 假注書兪鎭五, 事變假注書林亨洙, 行知中樞府事李羲甲, 行戶曹判書趙萬永, 漢城府判尹朴周壽, 知敦寧府事徐能輔, 吏曹判書李光文, 行護軍柳..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RC3f/btrKGp9VaB0/TziZlAKk9v5eN6Sk6Jjn6K/img.jpg)
강릉시립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는 관찰사 강선의 선정비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관찰사강공선청백선정불망비( 觀察使姜銑淸白善政不忘碑)라고 각자되어 있으며 비석의 규격은 높이 118 너비 60.1 두께 32.6센티이며 비석의 재질은 화강암입니다. 강선(姜銑)은 1645(인조 23)∼1710(숙종 36). 조선 후기의 문신입니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자화(子和). 강운상(姜雲祥)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강주(姜籒)이고, 아버지는 판중추부사 강백년(姜柏年)이며, 어머니는 황담(黃湛)의 딸이다. 1675년(숙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1679년에 부수찬·정언을 지냈고, 홍문록(弘文錄)·도당록(都堂錄)에 올랐다. 1680년 지평으로 재직중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삭직되었다. 1689년 기사환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