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곡산연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티스토리챌린지
- 문의문화재단지
- 화양구곡
- 부여박물관
- 상당산성
- 효자각
- 공주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충북의 문화재
- 한독의약박물관
- 사과과수원
- 선돌
- 각연사
- 법주사
- 충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효자문
- 문경새재
- 오블완
- 국립청주박물관
- 부도
- 밀양박씨
- 경주김씨
- 단지주혈
- 청풍문화재단지
- 청주박물관
- 사인암
- 보성오씨
- Today
- Total
목록2023/01 (28)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de3GI/btrRMY5rbT1/k3z9IhvVDIQB6fBqv75le1/img.jpg)
단양 어상천면 석교리(돌다리) 마을초입에 자리하고 있는 석교리 마을이장을 지낸 송재승의 공덕비입니다. 마을을 위해 물심양면으로 힘쓴 송재승의 공덕을 잊지않기 위하여 마을주민들의 이름으로 비석을 세웠습니다. 비석에는 이장송재승공덕비(里長宋在昇功德碑)라고 써있습니다. 단양군 어상천면 석교리에는 서낭당이 있었다. 그런데 밤마다 귀신이 나타나집안 식구를 괴롭혔다. 노인은 귀신에게 일 년에 두 번씩 제사를 지내 줄 테니 괴롭히지 말아 달라고 사정을 하였다. 귀신도 좋다고 해서 그렇게 했더니 귀신이 나타나지 않아 평안하게 살 수 있었다. 그러나 노인이 다른 곳으로 이사가야 할 형편이 되었는데 귀신을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몰라 걱정이 되었다. 이사한 곳으로 같이 갈 수도 없고, 그냥 버려두고 가버린다면 뒤에 어떤 봉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fYDYK/btrRM0PKDFM/5wMcpeNieRzLuQjq4jbOEk/img.jpg)
석교리는 영춘군 어상천면 지역에 속해 있던 마을로 대전리와 더불어 강원도 영 월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는 충청북도의 가장 북쪽에 위치한 마을이다. 석교리는 행정리로는 2개 리로 나뉘어 있는데, 멍앗(駕田洞)과 개막은 석교1리가 되고, 돌 다리(원석동)는 석교2리가 되었다. 석교리는 가창산 아래에 광활한 밭뜰을 펼치고 있다. 마을보다 높은 지역에 뜰이 있어서 돋뜰이라는 이름이 음운의 변화를 일 으켜서 돌다리가 된 것으로 추측된다. 석교리는 석회암이 부식한 흙인 테라로사 로 이루어진 밭에서 우수한 품질의 수박이 다량으로 생산된다. 마을 앞으로는 지방도 519호선이 관통하고 있어서 영월과 제천으로 연결된다. 석교리에는 선암초등학교가 있어서 많은 학생들을 배출하였으나 이농현상으로 인구가 감소하여 폐교되었다. 석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7D3iu/btrROJfoImi/eTEcWtHOE0lLhe4D5JHKUk/img.jpg)
석교리는 영춘군 어상천면 지역에 속해 있던 마을로 대전리와 더불어 강원도 영 월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는 충청북도의 가장 북쪽에 위치한 마을이다. 석교리는 행정리로는 2개 리로 나뉘어 있는데, 멍앗(駕田洞)과 개막은 석교1리가 되고, 돌 다리(원석동)는 석교2리가 되었다. 석교리는 가창산 아래에 광활한 밭뜰을 펼치고 있다. 마을보다 높은 지역에 뜰이 있어서 돋뜰이라는 이름이 음운의 변화를 일 으켜서 돌다리가 된 것으로 추측된다. 석교리는 석회암이 부식한 흙인 테라로사 로 이루어진 밭에서 우수한 품질의 수박이 다량으로 생산된다. 마을 앞으로는 지방도 519호선이 관통하고 있어서 영월과 제천으로 연결된다. 석교리에는 선암초등학교가 있어서 많은 학생들을 배출하였으나 이농현상으로 인구가 감소하여 폐교되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SDgNS/btrTT75Je1p/xlT7NF2ILZCvDydCitimyK/img.jpg)
의사청은공유적비(義士淸隱公遺蹟碑)입니다. 내수읍 저곡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저곡리는 전주이씨들의 집성촌입니다. 이건손(1426~1458)은 조선초의 인물로 본관은 전주입니다. 호는 청은이며 서호(거정)의 제자로서 서거정이 호서어사로 제수되자 그의 종사관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세조가 즉위하자 그는 스승인 서거정과 함께 벼슬을 버리고 이 곳 저곡리로 낙향하였습니다.그 후 단종이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듣고 그의 스승인 서거정과 함께 영원레 가서 사흘밤을 노숙하면서 단종의 죽음을 애닲아 하였다.그 이듬해에 또 가서 통곡하고 돌아와 10월24일 사망하니 그 날이 단종의 첫기일이었다.스승인 서거정 또한 같은날에 사망하렸다고 한다. 의사 청은공유적비옆으로 있는 제단비입니다. 제단비 윗쪽 야산에는 전주이씨 선대들의 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ZweV/btrTR9XkLr1/7zKvnQCu5AfDohyTCxJPH1/img.jpg)
우동혁은 단양인으로서 생몰년은 (1878.3.21~1948.4.27일) 이며 임현리 고수골 출신으로 한학공부를 하였으며 어상천면 고수골과 제천등지에서 한약방을 경영하였습니다. 우동혁은 한약방을 경영하면서 빈민환자들에게는 장부에 기록하지 않고 무료치료및 약재등을 투약하여 질병을 고쳐주었으며 헤택을 입은 많은 주민들은 농번기에 스스로 노동력을 제공하여 보답하기도 하였다. 또한 춘궁기인 보릿고개에는 자신의 곡식광을 개방하여 주민들이 필요한 만큼의 곡식을 가져가도록하여 빈민구제에도 앞장서기도 하였다. 또한 서민들의 고충을 함께 하기위하여 추석에 차례를 지내지 않고 구구절(음력 9월9일)에 명절을 지내기도 하였다.또한 지역 교육계의 발전을 위하여 어상천초등학교 건립당시 학교부지를 희사하였으며 단성중학교 건립ㅇ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gaNI/btrTWNFKXii/JekC4LW3uAkMx8X4qf3Fq0/img.jpg)
어상천면 임현1리에 있는 김녕인 김학권의 송덕비입니다. 김학권의 생몰년은 1887.8.30~1953.9.3이며 영춘면 만종리 출생입니다. 어상턴면 면장으로의 재직기간은 일제강점기 기간인 1928.7.6~1934.5.31일 까지이며 면장 재임시 어상천국민학교 개교추진,임현리에서 가대리간 도로추진, 삼태산 시루산 갈산재등에 낙엽송 조림을 추진하였으며 어산천면 5일장 개설,우시장개설추진등 많은 업적을 남겼습니다. 송덕비의 겅립은 1934년 9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