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화양동 암각자
- 청풍문화재단지
- 밀양박씨
- 부도
- 부여박물관
- 효자각
- 법주사
- 문의문화재단지
- 단지주혈
- 화양구곡
- 공산성 선정비
- 보성오씨
- 사인암
- 상당산성
- 각연사
- 선돌
- 오블완
- 공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청주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문경새재
- 효자문
- 경주김씨
- 사과과수원
- 곡산연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국립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Today
- Total
목록2025/03/22 (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진천읍 상계리 멱수마을 입구에 있는 청주이씨문중과 관련된 비석군입니다.청주이씨 사패비를 비롯하여 청주이씨 영모비와 함께 청주인 이승종의 유허비등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승종(李承宗)[1574~?]은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군 출신의 학자이자 효자. [가계]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효백(孝伯), 호는 서암처사(西巖處士). 청허당(淸虛當) 이거이(李居易)의 8세손이다. 『청주이씨족보(淸州李氏族譜)』에 따르면 태사공 이능희(李能希) 이후에 본관을 청주로 정하였다고 한다. [활동사항] 이승종(李承宗)[1574~?]은 지금의 진천군 진천읍 상계리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학행과 문장이 탁월하였으며, 좌의정(左議政)을 지냈다. 어버이를 섬김에 지극한 효도를 하였고, 제사를 받들 때 정성을 다하였으며, 자제들을..

북이면 영하리에 있는 초계인 영득(榮得)의 아내인 안동김씨 옥련(玉㰈)의 기적비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절효부안동김씨기적비( 節孝婦安東金氏紀蹟碑)라고 적혀 있으며 후면에는 안동김씨의 행적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비석의 건립년도는 1978년 (단기 4311년)입니다. 안동 김씨 김옥련(金玉蓮)은 청원군 북이면 영하리 초계변문(草溪卞門)으로 시집온 조선조 효부이다. 김씨는 괴산군(증평군) 증평읍 남하리에서 김영수(金榮壽)의 딸로 태어났다. 18세에 변붕래(卞朋來)의 아들 변영득(卞榮得)에게 시집와 시부모를 공경으로 봉양하고 매사를 조리있게 처리하였다. 시집온 지 4년 만에 남편이 병에 걸려 위중하였다. 김씨는 손가락을 베어 수혈하여(斷指柱血) 죽어가는 목숨을 4일간 회생시켰다. 남편을 따라 죽으려 했으나, 시..

북이면 영하리에 자리하고 있는 초계인 변인규의 공적비입니다.변인규는 신묘년(1771)에 태어나 을미년(1835)에 졸 하였습니다.향년 65세 입니다.일찌기 조실부모하였으나 천성이 선하고 형제간에 우의로 타인의 귀감이 되는 생활을 하였습니다.비석의 전면에는 송촌변공인규공적비(松村卞公仁圭功蹟碑)라고 각자 되었으며 좌우 후면에는 변인규의 행적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변인규는 초계변씨 우산공파의 손으로서 마을일과 함께 종중의 일에 관여 하면서 천안 직산면의 종중산 50여 정보가 타인에게 점거된것을 확인하고 1827-1830년 까지 3년여 동안 노력하여 대종회 소유로 돌려 놓았습니다.또한 세금미납등으로 국유화 되었던 북이면 초정리 임야 50정보를 종중의 사람들과 협의하여 불철주야 여러 방면으로 노력하여 우산파 종..

북이면 영하리 진천송씨묘역의 무덤입니다. 맨 윗쪽에는 송광도의 묘역이 자리잡고 있습니다.광도 (匡度) 8세(世) 낭장공파 파조(郎將公派 派祖)로서 문하평리공(門下評理公 소(玿)의 이남으로 재질(才質)이 뛰어나고 효성(孝誠)이 지극하였다. 일찌기 문무(文武)를 깊게 닦아 무관(武官)으로 나아가서 비순위정용낭장(備巡衛精勇郎將)에 이르렀다. 공(公)께서는 사람의 도리(道理)를 충(忠)과 효(孝)에 근원(根源)한다고 하시었으며, 부모(父母)에 대(對)한 효성(孝誠)이 지극(至極)하여 그의 효행(孝行)이 국내(國內)는 물론 중국(中國)의 천자(天子)에까지 알려져 크게 감탄(感嘆)한 나머지 후세(後世)의 구감(龜鑑)이 되도록 정려(旌閭)를 세울 것을 명(命)하기도 하였다. 충북(忠北) 음성군(陰城郡) 맹동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