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문경새재
- 부도
- 오블완
- 청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경주김씨
- 화양구곡
- 효자각
- 문의문화재단지
- 법주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보성오씨
- 밀양박씨
- 각연사
- 단지주혈
- 충주박물관
- 선돌
- 청풍문화재단지
- 상당산성
- 국립청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사인암
- 효자문
- 공산성 선정비
- 한독의약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공주박물관
- 곡산연씨
- 티스토리챌린지
- Today
- Total
목록전국방방곡곡/세종특별자치시 (6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부강에 있는 부강약수가 새롭게 정비를 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부강약수를 찾았다.충북에는 유명한 약수로 초정악수,명암약수,부강약수가 있다.그동안 무분별한 개발과 주위환경의 변화등으로 약수로서의 이름값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초정약수만이 약수로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었다 1960년까지만 해도 도처에 물맛 좋기로 소문났던 부강약수.신비의 샘 부강약수라는 간판이 산뜻하게 눈에 가득찬다 부강약수옆에는 넓은 주차장과 편의시설이 갖추어져있다.부강약수 옆에는 고구려산성 탐방길이 있어 가족단위의 등산과 더불어 등산후의 목마름을 적셔줄수있는 좋은 위치에 부강약수가 있다. 주차장에서 부강약수로 통하는 길, 방부목을 이용하여 참 예쁘고 실용적으로 잘 만들었다 부강약수는 1960년대 전후로 수많은 사람이 찾아오는 명소였..
청원군 부용 출생인 김종오 대장은 6.25 전쟁 중 가장 치열한 접전을 벌여 대승을 거두었으며 중부전선에서 한국군이 당하고 있던 수세 일변도를 뒤집어 놓은 백마고지 전투를 승리로 이끈 6사단장으로 한국 전쟁사에 올라있는 인물이다. 당시 백마고지전투는 10일 동안 12번의 공방 전 끝..
청원 부강초등학교 전면에 위치하고 있는 이 강당은 학교 교육의 초창기인 1926년도에 건축된 학교 강당 건물이다. 강당의 건물형태는 정면 6칸, 측면 2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강당의 우측에는 1970년대 건립한 이순신 장군 동상이, 좌측에는 ..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 문곡리에 있는 약수. 경부선이 지나는 부강역으로부터 남쪽 1㎞ 지점에 있다. 이 약수는 약 100년 전에 발견되어 개발되었다고 하며, 초정약수·명암약수와 더불어 부강의 3대 약수로 알려져 있다. 노고산 기슭에서 발원하는 외천의 계곡 바위 틈에서 철 이온과 황..
부용면 삼거리에서 매포쪽으로 길을 꺽으면 길가에 서있다 어린시절 많은고생을 하며 자수성가한 지현호의 어른에 대한 공경을 기리기 위하여 부용면에 각동리의 노인회장들이 주축이 되여 시혜비를 건립하였다
등곡리사지는 부용면 등곡리 노고봉 남쪽 기슭에 있는 절터로 문헌기록에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현재 절터에는 근래에 다시 정비한 약수터와 신축된 가건물이 있다. 주변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기와편이 다수 흩어져 있어 고려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폐절터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나, 정확한 건물지와 가람배치를 알려주는 유구는 지상에 노출되어 있지 않다. 단 이 절터의 서쪽 산능선의 암반 위에 부도 1기가 세워져 있어 언제 세워진 누구의 부도인지는 알 수 없으나 이 절에 주재하던 어느 스님의 부도일 것으로 추정된다. 부용면 등곡리 사지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석조물이다. 부도는 절터의 오른쪽인 서쪽 산능선이 끝나는 지점의 암반에 세워졌는데 부식된 화강암을 이용하여 석종형으로 조성하였다. 석종형 위에는 보주 장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