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각연사
- 보성오씨
- 화양동 암각자
- 효자각
- 곡산연씨
- 공주박물관
- 사인암
- 충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문경새재
- 선돌
- 한독의약박물관
- 화양구곡
- 충북의 문화재
- 청풍문화재단지
- 경주김씨
- 사과과수원
- 부도
- 문의문화재단지
- 티스토리챌린지
- 단지주혈
- 국립청주박물관
- 효자문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법주사
- 상당산성
- 공산성 선정비
- 오블완
- 밀양박씨
- Today
- Total
목록중원의 향기 (838)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맹골마을은 매화자리가 변하여서 맹골이 되었다가 한자 표기로 옮기면서 오늘날의 맹동 마을이 됐다 한다. 대곡리 맹동 마을에 효부이씨의 정려문이 있다. 효부 이씨부인은 정수동의 아내로 효성이 지극하여 타의 모범이 되었다고 한다. 한번은 시아버지가 학질에 걸려 삼년간이나 앓자..
소태면 오량리 별묘마을 입구에 있는 석장승입니다. 원래 이곳은 서낭당 자리였으나 도로가 나면서 서낭당이 철거되였습니다. 그 후 동네에 좋치않은 변고가 일어나면서 나무로 깍아 세우던 장승을 돌로 깍아 세우고 매년 동제를 지내고 있습니다 서낭당 신을 모시는 당집은 석장승에서..
리정지(李廷芝 : 1606~1691) : 리덕량의 큰 아들로 경제적인 부를 이룬 분이다.그리고 자식을 6명이나 두었으며, 그 중 넷째 아들인 진열이 동지중추부사에 올라 명예까지 이룩하여 방호파의 기틀이 마련되었다.리정지의 자는 성서(聖瑞)이며 “산골 방촌에 난 후덕한 장자(長者)였다” 옛날에는 부자를 장자라고 했으므로 이를 통해서도 리정지의 경제적인 능력을 알수가 있다. 그는 부의 축적뿐 아니라 분배에도 신경을 쓴 분으로 가난하고 못사는 사람들을 위해 구휼활동도 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아들인 진열 덕에 가선대부 호조참판 겸 오위도총부 부총관을 증직받았다 리정지 비의 공식 명칭은 ‘증 호조참판 이공 묘갈명’(篆書)이다. 그리고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증 가선대부 호조참판 겸 오위도총부 부총관 리공묘갈명’..
이원배의 송덕비가 있는 곳은 제내리 성동마을이다. 이원배 송덕비 옆에는 4-H운동비가 자리하고 있다.성동마을의 4-H운동비는 다음과 같은 유래가 있다. 4-H운동은 지역사회를 개발시키기 위한 실천적 사회교육 운동이었다. Head(두뇌)Heart(마음) Hand(손) Health(건강)의 첫 글자를 딴 4-H 운동..
주덕읍 삼청리 길가에 무덤잃고 외로히 서있는 문인석입니다. 혼자 외로히 6월의 폭염아래 고구마밭을 지키고 있습니다. 산소가 있다가 이장을 하고 남겨진 모양입니다 옆에는 상석도 있네요. 문인석의 여러모양이 섬세하며 보존상태도 상당히 양호합니다. 삼청리는 주덕읍 법정리동의 ..
별묘 서낭제는 충주시 소태면 오량리 별묘마을에서 주민들이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는 마을 제사를 칭합니다. 별묘마을에는 소태면 면사무소와 소태초등학교가 있고 광해군의 후궁인 허씨(許氏)의 묘와 충정공(忠正公) 허잠(許潛)의 별묘가 있는 마을입니다. 별묘(別廟)라 함은 왕실(王室)에서 종묘(宗廟)에 들어갈 수 없는 사친의 신주(神主)를 모시는 사당(祠堂)을 말합니다. 별묘마을 입구에 있는 서낭당과 돌장승에 금줄을 치고 매년 음력 1월 14일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서낭제를 지낸다. 마을 앞을 지나가는 길이 확·포장이 되면서 서낭당이 없어진 이후 변고가 자주 생겨 다시 당집을 짓고 장승을 세워 서낭제를 지낸다고 한다. 마을 사람들이 모두 참석하는데 이것은 마을 사람들의 정성을 한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