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경주김씨
- 밀양박씨
- 곡산연씨
- 청풍문화재단지
- 오블완
- 사과과수원
- 충주박물관
- 부도
- 부여박물관
- 상당산성
- 국립청주박물관
- 단지주혈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문경새재
- 효자각
- 화양구곡
- 선돌
- 문의문화재단지
- 한독의약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각연사
- 효자문
- 공산성 선정비
- 청주박물관
- 보성오씨
- 충북의 문화재
- 공주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사인암
- 법주사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괴산군(槐山郡) (92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73ix3/btrdEi8Xdcn/8AiXtGdiZiwuNi3IeaN2h0/img.jpg)
청천면 사담리 사담계곡내에 있는 정자자리입니다. 자연암반에 홈을 파 주초석 자리를 만들었습니다. 흐르는 물이 있는 사담계곡 경치 좋은곳에 정자를 짓고 시와 풍류를 읊었던 듯 합니다. 정자터 주위로는 조선조 문신인 윤순이 쓴 암각자가 몇군데 있습니다. "사담동천" "송풍석" "라월경" 등의 암각자를 볼수가 있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cXQcu/btrdTSagGJE/IM0SzhkF4TSfYDVZjmzjYK/img.jpg)
백마저수지를 축조하는데 물심양연으로 힘쓴 사리수리조합 조합장 유복성과 이사 윤남로의 공적비입니다. 비석은 같은 시기인 1980년 2월에 같이 건립 되었습니다. 비석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인간이 생활하는데 물의 중요함은 어린아이의 젖과 같거늘 하늘은 사람의 소망을 모두 들어주지 않으며 홍수와 가뭄으로 농민들을 항상 불안하게 한다. 이런 홍수와 가뭄을 해소하여 주신 선각자가 계시니 그는 유복성(윤남로)선생이라. 공은 향토발전의 지름길이 치수에 있음을 공감하고 저수지를 설치하여 천추만대에 옥토를 마련코자 4년여 동안 향민을 설득하고 감화시키는 등 열심으로 노력하여 서기 1964년 8월2일에 이 고장의 보고인 백마저수지를 준공하였다. 이 일을 추진하는데 있어 선생의 노력은 정말 끝이 없었다. 이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1X4U/btrdNX5fqGH/m937oxd2Ke9kKeL7NC2Gk0/img.jpg)
사리면 사담리 보광초등학교앞 비석거리에 있는 단양인 우효동의 효자비입니다. 동네에 우효동의 효자각이 있었으나 쇠락하여 없어지고 1987년 새로운 효자비를 건립하여 세웠습니다. 효자비의 전면에는 효자증통훈대부사헌부감찰단양우공효동지비(孝子贈通訓大夫司憲府監察丹陽禹公孝東之碑)라고 적혀있으며 좌,우,후면에는 우효동의 행적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전국문화재총람등에는 아직도 우효동의 정려각이 존재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습니다. 우효동(禹孝東)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서 세운 것이다. 그의 본관(本貫)은 단양(丹陽)이고 자(字)는 성원(聖源)이며 호(號)는 만취당(晩翠堂)으로 천성(天性)이 순효(淳孝)하였다. 부모의 병이 있을 때는 항상 몸소 약을 지어서 드렸는데 신기하게도 효과가 있어 이웃이 모두 지극한 효성에 신(神)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knYf/btrdUm27VGP/SP8GMFMZdU4xCfw0KRAmTK/img.jpg)
사리면 사담리에 위치하고 있는 수살맥이 이다. 마을의 안녕을 해치는 요소 가운데 물은 위협의 요소였다. 수재를 당하는 쪽에서 이를 막고 자연재해를 일정한 풍수원리에 입각해 마을 어귀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 바로 수구맥이의 요체이다.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려는 노력이 이러한 전통적 사유를 낳았으며, 신앙적으로 승화하였다. 마을에 나쁜 기운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거나 또는 마을의 기운이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것으로서 건물, 나무, 탑 등을 이용한다. 사담리 도로 한켠에 자리하고 있는 말채나무밑에 거북형상의 돌을 중심으로 냠,녀선돌이 위치하고있다. 선돌과 돌거북과 같이 있는 보호수는 수종은 말채나무로서 1982.11.16일에 괴산군 보호수 제 77호로 지정 되었으며 지정당시 수령은 520년으로 적혀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vZ5lI/btrdT1SrTXw/mjXbnZR0Rk2BYLgM8u52PK/img.jpg)
사리면 사담리 비석거리에 있는 해평인 효부윤씨의 비석입니다. 해평윤씨는 단양인 우현정의 부인으로 남편이 병을 얻자 열심으로 공양하고 시탕하여 남편의 병을 고쳤다고 전해집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효부윤씨지비(孝婦尹氏之碑)라고 적혀있으며 비석의 후면에는 윤씨의 행적이 기술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