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국립청주박물관
- 보성오씨
- 경주김씨
- 오블완
- 티스토리챌린지
- 밀양박씨
- 충주박물관
- 효자문
- 부도
- 사인암
- 각연사
- 문경새재
- 상당산성
- 화양구곡
- 부여박물관
- 공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청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청풍문화재단지
- 효자각
- 선돌
- 곡산연씨
- 사과과수원
- 충북의 문화재
- 법주사
- 화양동 암각자
- 문의문화재단지
- 단지주혈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괴산군(槐山郡) (92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97GQ/btreLKb0FBw/s3RzCGjjnG9XbN2Eq4WGC0/img.jpg)
괴산군 사리면 소매리 단양우씨 입향조인 우게근의 비석입니다. 비석은 단양우씨종중산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비석에는 어모장군훈련원습속관단양우공휘계근지묘숙부인상주박씨연부(禦侮將軍訓練院習續官丹陽禹公諱繼勤之墓淑夫人上州朴氏連祔)하고 적혀있으며 비석 뒷면에는 우계근의 행적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GUiiT/btreJRiTS4L/FH9XcggJ6mkGJAmmTVPX4K/img.jpg)
사리면 소매리에 있는 단양인 우영좌의 묘지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증의금부도사우공휘영좌지묘영인창녕조씨부(贈義禁府都事禹公諱英佐之墓令人昌寧曺氏附)라고 적혀있습니다.우영좌는 충순위(忠順衛)로 승의부위(承義副尉)에 올랐으며 우순민의 아버지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YmD19/btreRSz5D5R/9GsiwqU9nYwXlIUiRKHVmk/img.jpg)
사리면 소매리에 위치한 단양종중묘지에 있습니다.헌종때 별시병과에 급제하였으며 아버지는 통사랑을 지낸 우영원입니다.비석의 전면에는 선전관단양우공휘치연지묘배숙인진천임씨부간좌(宣傳官丹陽禹公諱治沇之墓配淑人鎭川林氏祔艮坐)라고 적혀있습니다. 비석은 근간에 후손들에 의하여 조성 되었습니다. 선전관은 조선시대 형명(形名)·계라(啓螺)·시위(侍衛)·전명(傳命) 및 부신(符信)의 출납을 맡았던 관직. 1457년(세조 3) 어가(御駕) 앞에서 훈도(訓導)하는 임무를 맡은 무관을 선전관이라고 일컫게 됨으로써 비로소 그 관직이 처음 생겼다.이 때 왕과 가까이에 형명이 있는 곳에 서도록 되어 있었던 선전관은 모두 15인이었는데, 이들이 3교대로 5인씩 입직(入直)하여 근무하였으며, 당번 때에는 사정전(思政殿)의 문 안에서 직숙(..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9QCG/btrePXazt8b/NU0G4enqL8L9m11ErHlHPk/img.jpg)
사리면 소매리에 위치한 단양우씨 입향조 우계근의 무덤입니다. 석인 한쌍과 혼유석 그리고 향로석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비석에는 어모장군훈련원습속관단양우공휘계근지묘숙부인상주박씨연부(禦侮將軍訓練院習續官丹陽禹公諱繼勤之墓淑夫人上州朴氏連祔)하고 적혀있으며 비석 뒷면에는 우계근의 행적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우계근의 아버지는 우원기로 문과에 급제하여 현령을 지냈다. 우원기는 계근,계범 계공 3형제를 두었는데 장남인 계근은 자는 성공이며 벼슬은 어모장군 훈련원습독관이다.무과에 급제하였으나 벼슬에 나아가기를 싫어하여 산림에 묻혀 가훈을 잇고 자손을 이끌었다. 계근은 송도에서 괴산으로 이거하여 괴산의 단양우씨 입향조가 된다. 우계근(禹繼勤) 1496(연산군 2)~1547(명종 2) 조선 전기의 무관으로 자는 성공(成功),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vCGs/btrePVDQxT4/IkB6aYMUHyKSQkMQEbQMpK/img.jpg)
사리면 소매리에 있는 단양우씨 재실인 숭선각(崇仙閣)입니다. 숭선각 뒤로는 단양우씨의 종중산인 듯 많은 묘소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 곳에 자리를 잡은 어모장군을 지낸 입향조인 우계근의 묘부터 많은 묘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숭선각이라는 현판을 달고 있으며 근간에 세운 듯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소매리는 본래 소마동리였다. 조선 영조시대에 간행된 것으로 보이는「여지도서, 호구총수」에서 서면, 소매동이라 하였으며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 ‘소마산이룬봉학산, 여보광상연청안계, 소마산은 한편 봉학산이라고도 하는데 보광강산과 더불어 청안 경계로 이어진다. 1899년에 간행된 괴산군 읍지에는 백마산이라 표기돼 있다. 이처럼 소마산이 백마산으로 불러지게 된 것은 개천군수를 제수 받았다는 윤훤과 백마의 설화가 광포 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CSfb/btrdFogNbF4/oamyoOXbWzhyLDhdFTKCuk/img.jpg)
충청도관찰사는 충청도를 다스리는 입법·사법·행정의 수장으로, 주로 충주목에 거주하며 백성을 다스렸다.충청도 전역을 다스리다 보니 충청도에 속하는 곳에는 그의 선정을 기리기 위하여 곳곳에 선정비나 영세 불망비등을 세웠다.심의신은 청송인으로 자(字)는 순흠(舜欽), 1829년(순조29) 정시문과(庭試文科)에 급제, 여러 관직(官職)을 거쳐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올랐으며, 순조(純祖) 때에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되었다. 이조참의, 도승지, 대사간, 충청도 관찰사, 경기도 관찰사, 이조참판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충청도 관찰사를 지낼때 그 업적과 치적을 기리기위하여 충청도 곳곳에 선정비와 영세불망비등이 있다. 이 비도 그 시절의 비가 아닌가 한다. 현재 비가 있는 자리는 도로공사와 주택건축등의 이유로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