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경주김씨
- 보성오씨
- 사과과수원
- 부여박물관
- 오블완
- 문경새재
- 공주박물관
- 단지주혈
- 효자문
- 청풍문화재단지
- 화양동 암각자
- 각연사
- 밀양박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국립청주박물관
- 사인암
- 한독의약박물관
- 법주사
- 선돌
- 곡산연씨
- 문의문화재단지
- 공산성 선정비
- 효자각
- 티스토리챌린지
- 상당산성
- 화양구곡
- 충북의 문화재
- 청주박물관
- 부도
- 충주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괴산군(槐山郡) (92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oa45r/btrvrz6AZ8I/a7UBOixfLkgSMpKcVhgXc1/img.jpg)
이 정려각(旌閭閣)은 열녀 석천순(石川栒)의 처 연안이씨의 정려로 조선 인조(仁祖) 15년(1637)에 세운 것이다. 연안이씨는 병자호란(丙子胡亂)을 당하여 남편이 청나라 병사들에게 잡혀가 죽고 또 이씨를 난행하려하자 자결하였다. 그 후 그의 원혼이 연풍현감의 꿈에 나타나자 현감이 이 사실을 알고 이씨의 넋을 위로하기 위하여 세운 것이라 전한다. 한편 연풍 구읍지의 기록에는 석천순의 처가 병자호란 때 청병에 화를 입어 자살한 사실을 임금께서 알아 정려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열녀각 안에는 1927년 이범식(李範植)이 개각(改刻)한 「烈女李氏之閭」 “謹按邑誌 有乃延安李氏 丙子亂 爲夫君而死 天地共動 山川含悲 事聞汪閭于此 以倡善而觀感 自多更揚之 而石裔褒彰也”라 쓴 편액이 있다. 건물은 정면 1칸, 측면 1칸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4AqnN/btrqptRpeST/WPmZoNAZqsxy8UUS5x5hzK/img.jpg)
운수정과 관련된 인물은 신경행이다. 신경행(辛景行: 1547∼1618)은 본관이 영산(靈山)이다. 자는 백도(伯道)고, 호는 조은(釣隱)이며, 시호(諡號)는 충익(忠翼)이다. 조선 선조 6년(1573) 사마시에 합격했고, 선조 10년(1577) 별시 문과에 급제했다. 임진왜란 때는 의병을 일으켜 활약했고, 이 공으로 선조 26년(1593) 한산군수(韓山郡守)가 되었다. 선조 29년(1596) 이몽학(李夢學)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청난공신(淸難功臣) 3등에 책록되어 영성군(靈城君)에 봉해졌다. 공주목사(公州牧使)ㆍ서흥부사(瑞興府使)ㆍ장흥부사(長興府使)ㆍ병조참의(兵曹參議)ㆍ동부승지(同副承旨: 승정원의 정3품)ㆍ남원부사(南原府使)를 지냈으며, 선조 41년(1608) 충청도병마절도사(忠淸道兵馬節度使: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FLKKA/btrquOtrvAM/K6pH1IUZOCLmVmjT4i4xPK/img.jpg)
신강면은 일제강점기의 독립 운동가이다. 1919년 3월 30일 청안 장터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충청북도 괴산(槐山) 출신의 독립운동가이다. 김수백(金壽伯)·이태갑(李泰甲)·박내명(朴來明)·신강면(辛康勉)·장성원(張聖源)과 함께 1919년 3월 30일 청안 장터의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장터에 모인 3,000여 명의 군중의 선두에 서서 태극기를 흔들고 독립만세를 외쳤으며, 시위 도중 주동자들 여러 명이 연행되자 분노한 군중들과 주재소와 우편소를 습격하였다.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출동한 일본 경찰들의 무차별한 발포로 군중들은 해산되었고, 그는 이 과정에서 주모자로 체포되었다. 1919년 10월 11일 소요혐의로 징역 2년을 선고받아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 1977년에 대통령 표창을, 1..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L6bbp/btreJQYAT0D/kTEVKyOK6BWjBMRnb3iY4K/img.jpg)
사리면 소매리에 있는 단양우씨묘역에 있는 보공장군행충좌위(保功將軍行忠佐衛)를 지낸 단양인 우서부의 묘소입니다.우서부는 밑에 묘지가 있는 우영좌의 아버지입니다. 우영좌의 아들은 우순민이며 우순민의 아들은 우정침으로 대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nEzq/btrm2ppKcUU/4DfzsUjLuVssJC0NCUaQNk/img.jpg)
청천면 송면리 선유계곡 입구에 있는 상주인 해사 박종섭의 공적비입니다. 비석은 1977년 정사년에 송면지역주민들에 의하여 세워졌습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해사박선생종섭공적비(海史朴先生宗燮功蹟碑)라고 새겨져 있으며 좌우,후면에는 박종섭의 공적내용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부모에게 단지주혈을 하는 등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송면일대의 간이학당등을 세워 교육여건을 확실히 히였으며 송면간이학교와 더불어 송면국민학교와 중학교등 학교설립에 물심양면으로 힘써 육영사업에 힘쓰고 교육자로서의 주민들을 위하는 일에 앞장섰으므로 지역주민들이 뜻을 모아 선생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비석을 세웠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bQdRS/btrmziZVt4g/dZSp8gUTuwQeLBpw0maA00/img.jpg)
선유구곡에 제 9곡인 은선암입니다. 달밝은밤에 신선이 내려와 퉁소를 분다는 운치있는 곳입니다. 물 흐르는 넒은 반석위로 우뚝하니 서있습니다. 선유동문의 글자를 각자한 당시의 괴산군수 이보상의 이름이 있습니다. 은선암의 글자도 이보상의 글자로 추정이 됩니다. 은선암에 각자된 충청도관찰사를 지낸 조명정의 각자입니다. 조명정은 1709(숙종 35)∼1779(정조 3). 조선 후기의 문신.본관은 임천(林川). 자는 화숙(和淑), 호는 노포(老圃). 조시형(趙時馨)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조현기(趙顯期)이고, 아버지는 지평 조정순(趙正純)이다. 어머니는 이공간(李公榦)의 딸이다.1735년(영조 11) 생원시에 합격한 뒤 동몽교관(童蒙敎官)으로 재직 중 1740년 정시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1742년 예문관검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