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단지주혈
- 공주박물관
- 부도
- 청풍문화재단지
- 각연사
- 효자각
- 오블완
- 공산성 선정비
- 국립청주박물관
- 선돌
- 보성오씨
- 효자문
- 경주김씨
- 문경새재
- 부여박물관
- 충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상당산성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곡산연씨
- 충북의 문화재
- 사과과수원
- 밀양박씨
- 화양동 암각자
- 화양구곡
- 문의문화재단지
- 법주사
- 사인암
- 티스토리챌린지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괴산군(槐山郡) (92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JzU7G/btrA7GYMHvk/6WB4qEdZJxHHsp5oGrBXx1/img.jpg)
도재 이범하선생 송덕비(陶齋 李範夏先生 頌德碑)사리면 화산리 도촌마을 입구에 있는 도재이범하선생송덕비이다.마을 입구 언덕에 서있으며 비석의 전면에는 도재이범하선생송덕비(陶齋李範夏先生頌德碑)라고 음기되여 있다.비석의 건립시기는 단기 4309년(1976년)이며 건립주체는 도촌과오룡동주민일동이다.비석의 뒷면에는 공의 행적과 주민들을 위해 베푼 내용과 건립시기가 적혀있다. 이범득(李範得: 李範夏) 1906(광무 10)~1980호적에 범득(範得), 항렬에 따른 이름은 범하(範夏), 호는 도재(陶齋)이다. 본관은 전주(全州)로 정종대왕 열 번 째 아들 덕천군(德泉君)의 18대 손이며 생부는 건극(建極)이며 백부 건인(建仁)에게 양자갔다. 지금 괴산군 사리면 화산리 도촌에서 출생하였다. 화산리 신촌 김참봉 문하에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gVG1F/btrA3hSsxrj/Kz3HEF38WbSgL2baL2vKJ0/img.jpg)
블로그에 실린 문광면 유평리에 있는 매죽정의 글을 보고 블로그 지인이 올린 진입로 및 단청공사등이 모두 되었다는 답글을 보고 다시 한번 매죽정을 찾았습니다. 매죽정 까지 시멘트진입도로를 만들어 놓았습니다. 따뜻한 날씨에 완연한 여름의 날씨입니다. 매죽정으로 오르는 길은 완만합니다. 짙푸른 신록이 참 좋습니다. 저 길 끝에 매죽정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매죽정과 관련이 있는 인물은 성주인 이해종(李海宗)입니다. 이해종(李海宗) 선생의 자(字)는 진백(進伯)이고 호는 매죽당(梅竹堂)이다.조선 선조 32년(1599) 괴산 문광면 호암동(범바우)에서 태어났으니 부친은 청산(靑山:옥천의 옛 지명)현감을 지낸 홍(鉷)이며, 조부는 양아록의 주인공 수봉(守封: 譜名 元培)이며, 증조는 춘추관 수찬을 제수 받은 온(熅)..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zkxo/btrvuPolO6M/slyUZmLte5pe3BFaf5tyK1/img.jpg)
2006년 1월31일에 새로 세운 석장승입니다. 천하대장군,지하여장군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마을의 안녕을 빌고 사람들의 무병장수를 빌며 일종의 액막이 개념의 장승입니다. 원래는 목장승이 있었지만 2006년 마을주민 일동의 이름으로 권성중이 장승을 기증하여 마을어귀에 세워놓았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k2nv5/btrvy3eowOs/HkNga7bCsK6KVPhVmhmz41/img.jpg)
신유효자문에 대하여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대장리에 있는 조선 후기 신유의 효행을 기리는 효자각입니다. 조선은 유교를 국교시하였기에 효(孝)와 충(忠)과 열(烈)을 중히 여겨 정려를 특히 많이 세웠다. 신유의 효자각도 근방의 사람들을 교화하는 차원에서 신유가 살던 마을에 세운 것이다. 신유의 효자각은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대장리의 남쪽 끝부분에 위치하는데, 이곳은 충북선 소이역의 앞쪽이며 한라중공업의 뒤쪽에 위치한 마을이다. 신유는 효자로 자는 이장(而張),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신상민(申尙閔)의 아들이다. 신유는 아버지가 병환이 들자 낚시를 하여 아버지를 봉양하였으며 산과 들을 다니면 약초를 캐어 약을 달여 드렸다.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3년간 시묘살이를 하였다. 어머니가 병환이 나자 그 형제가 부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dCDjP/btrvvalMbjf/bQl7Gk1Ll0JKNGEG6SrlC1/img.jpg)
소이면 대장리 사거리에 있는 대장리구장을 지낸 신학철의 불망비이다. 신학철은 대장리 구장을 18여년간 탈 없이 잘 수행하였기에 주민들이 뜻을 모아세웠다. 비석의 내용을 보면 구장의 임무를 맡김에 일의처리는 제법도를 따랐고 옛일을 참작하고 새로운 일을 함에 편벽되게 하지 않았으며 공과 사의 일은 중립을 지킴에 모든 주민들이 칭찬하였다.십팔년간 업무를 행함에 시작과 끝이 하나같았다. 1936년 6월에 새긴 비석은 신집효자각옆에 자리하고 있다.현재 비석은 1986년 12월에 새로 만들어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