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사인암
- 부도
- 충주박물관
- 경주김씨
- 티스토리챌린지
- 각연사
- 효자각
- 청주박물관
- 보성오씨
- 곡산연씨
- 공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효자문
- 사과과수원
- 밀양박씨
- 국립청주박물관
- 화양구곡
- 단지주혈
- 청풍문화재단지
- 문경새재
- 선돌
- 문의문화재단지
- 상당산성
- 한독의약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화양동 암각자
- 오블완
- 충북의 문화재
- 법주사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단양군(丹陽郡) (120)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효자허헌지문(孝子許憲之門)이라고 된 편액이 걸려있습니다. 어상천면 대전리 입구인 효자문거리에 있습니다. 허헌은 어머니가 병환이 위급하자 자신의 손가락을 베어 구하고자 하였으나 그의 부친이「어찌 내앞에서 몸을 상하게 할 수 있느냐」하고 꾸짖어 감히 실행하지 못했다. 어머니가 돌아가시어 장례를 치른 후 형과 동생은 혼백을 모시고 집으로 돌아갔으나 홀로 묘소에 남아 밤새 돌아오지 않았다. 다음날 아침에 가보니 계속 곡을 하고 있어 눈물이 옷깃을 다 적시었고 폭우가 내리는 중에도 상복이 젖지 않았다고 한다. 이에 사람들이 기이하게 여겼다고 한다. 부친이 세상을 떠날 즈음에「너는 몸이 매우 약하니 내가 죽은 후 여막(廬幕)을 차리지 말라. 너무 지나쳐 몸을 상하게 함은 나의 뜻이 아니다.」라고 하였다.이로 보아 ..
청련암은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법주사의 말사이다. 고려 말기인 1373년(공민왕 22)에 나옹선사(懶翁禪師)가 창건하였고, 조선시대에 이르러 임진왜란 때 전란으로 소실되었으며, 1710년(숙종 36) 중창하여 청련암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본래는 대강면 황정리에 있다가 한말(韓末)에 소실된 대흥사(大興寺)의 말사였으며, 1954년 공비소탕 작전으로 인하여 황정리 일대에 소개령이 내려짐에 따라 사인암리로 대들보와 기둥을 옮겨 이전하였다. 법당인 극락전(極樂殿)과 칠성각(七星閣)으로 이루어져 있다. 극락전은 목조기와의 정면 5칸, 측면 2칸인 팔작지붕 구조이며, 칠성각은 목조기와의 3칸 팔작지붕 구조이다. 불상으로는 석고제의 석가여래좌상과 관세음보살상이 봉안되어 있다. 경내에 단양팔경(丹陽八景)의 하나인 사..
단양군 대강면에 있는 사인암에 있는 각자입니다 지준식(池俊植)이라고 각자되어 있습니다 지준식에 대하여는 자세한 사항을 알수가 없습니다.
대강면 용부원리 화길옹주테실비를 찾았습니다 화기옹주태실비를 찾으려면 대강면 용부원리 산 70-5번지를 입력하셔야 합니다 용부원2교 다리밑에 좁은 주차공간이 있습니다. 용부원2교 다리아래에 보면 화길옹주태실비의 안내판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팻말을 보며 수로를 따라 조금 밑..
두음리는 농촌마을이다. 두메산골이라 하여 두음 또는 등골, 등꼴이라 한데서 두음이라는 명칭이 생겼다. 자연마을로는 안두음, 두음, 사오실, 소들 등이 있다. 사오실은 전에 너댓집만이 있었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소들은 작은 들이 있어 붙은 이름이다. 서낭당의 다른 말. 서낭신을 모..
단양 연춘면의 영춘향교를 찾았다. 향교내에는 공사를 하는지 어수선하다.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에 있는 조선전기 에 창건된 향교. 교육시설. 시도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1399년(정종 1)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14년(광해군 6) 남천리로 이건하였으며, 화재로 소실되어 1659년(효종 10) 눌대(訥臺)로 이건하였다. 그 뒤 수해로 폐허화되어 1791년(정조 15)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으며, 1811년·1870년·1891년 중수하고, 1977년 전면보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내삼문(內三門)·외삼문(外三門)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4현(宋朝四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