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효자각
- 오블완
- 선돌
- 공산성 선정비
- 화양동 암각자
- 각연사
- 부여박물관
- 단지주혈
- 문의문화재단지
- 효자문
- 사인암
- 청풍문화재단지
- 곡산연씨
- 사과과수원
- 청주박물관
- 화양구곡
- 부도
- 밀양박씨
- 티스토리챌린지
- 공주박물관
- 문경새재
- 법주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경주김씨
- 국립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보성오씨
- 상당산성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음성군(陰城郡) (55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정의]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사창1리에 있는 여흥민씨(驪興閔氏)의 재실(齋室). [형태] 경모재는 담장을 콘크리트로 둘렀고, 솟을대문 좌우에는 2칸씩 행랑을 달았다. 입구에는 1979년 민영규(閔泳奎)가 쓴 ‘황려문(黃驪門)’이란 편액이 걸려 있다. 대문을 들어서면 정면 5칸, 측면 2칸의 겹처마 팔작..
[정의]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신평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효자 민휘계와 민정현의 정려문. [개설] 민휘계·민정현 효자각은 민씨 가문의 두 효자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정문이다. 민휘계는 가난하였으나 글을 좋아하고 주경야독을 했다. 학행(學行)이 좋고 부모에 효심이 지극했다. 1808년(순조..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신평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민동량의 정려각. 민동량의 묘는 원남면 하당리에 위치하고 있다 민동량은 본관은 여흥, 자는 군삼, 호는 송암이다. 1806년(순조 6)에 정려와 복호(復戶)가 내려졌다. 7, 8세 때부터 부모가 병이 나면 곁을 떠나지 않고 보살폈으며 좋은..
원남면 상당리 행티마을에 자리한 정자이다 주위로 반기문 평화공원 그리고 숭모사와 반기문 생가 그리고 전시관등이 자리하고 있다 마을 중간에 자리해 마을주민들의 쉼터역할을 하고있다 반기문 평화공원을 조성하면서 같이 조성한 듯 하다
2000년 건립한 숭모재(사당)가 좌청룡으로 비보 구실을 하며 사당을 끼고 내려온 물이 우백호 곤신방에서 내려오는 구곡수와 합수된다. 양택 길지로 갖춰야 할 조건은 빠짐없이 갖춘 곳이다. 상당리에 세거하는 광주반씨의 재실로 2000년에 건립하였다 주위에 반기문 평화랜드와 생가 박물관등이 자리..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행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이광하의 효자각입니다. 본관이 우봉(牛峰)인 이광하(李光夏)는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다. 어느 해, 한겨울에 아버지가 잉어를 먹고 싶다고 하자 얼음을 깨고 잉어를 구하여고 애를 쓰는데, 갑자기 처음 보는 사람이 와서 한 자가 넘는 잉어를 주고 갔다. 또 어느 해인가는, 어머니가 꿩고기를 먹고 싶다고 하여 꿩을 잡으려고 깊은 산중으로 들어갔으나 잡지 못하였다. 낙담하여 울면서 산 속을 헤매는데, 웬 개 한 마리가 꿩을 물고 와서는 놓고 갔다. 그러한 일들이 알려지면서 1872년 이조참의에 증직되고 정려가 내려졌다. 정면 1칸, 측면 1칸의 겹처마 다포식 목조기와집으로, 주변은 홍살로 둘렀다. 정려 안에 걸려 있는 편액에는 ‘효자증통정대부이조참의이광하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