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티스토리챌린지
- 각연사
- 공산성 선정비
- 법주사
- 청주박물관
- 보성오씨
- 공주박물관
- 화양구곡
- 오블완
- 사과과수원
- 국립청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상당산성
- 단지주혈
- 문경새재
- 효자각
- 경주김씨
- 부도
- 곡산연씨
- 밀양박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효자문
- 화양동 암각자
- 한독의약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청풍문화재단지
- 사인암
- 선돌
- 충주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 (309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옥천읍 교동리에 위치한 영조30(1754년)에 세운 정광제의 효자문이다 정광제(鄭匡濟)에 대하여 1688년(숙종 14)∼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정숙(正叔). 상길(相吉)의 아들이다. 1717년(숙종 43) 온양(溫陽)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문한관을 거쳐, 1725년(영조 1) 병조정랑에 올랐다. 같은해 장령으로 재결(災結)에 따른 수령의 부정 및 백골징포(白骨徵布)의 시정을 건의하였다. 이어서 정언·장령·필선 등을 번갈아 역임하다가 1732년 국상(國喪)에 불참하여 파직되고, 불서용(不敍用)의 처벌을 받았다. 그뒤 필선으로 재기용되어 헌납·장령을 거쳐 1747년 우부승지·승지에 임용되었고, 이어 동지의금부사가 되었다. 서용(敍用)- 죄를 지어 면관(免官)되었던 사람을 ..
조선시대 지방의 생원(生員)과 진사(進士)들이 설립한 사설기구. 사마소 16세기초 중앙의 훈구파들이 장악한 향소(鄕所:留鄕所)에 맞서 사마시(司馬試) 출신의 젊은 유학자들이 향권을 주도하기 위해 만들었다. 처음에는 친목·학문·정치토론 등 향촌의 교화와 지방행정을 보조하는 데..
옥천읍 하계리 정지용생가옆에 자리한 정지용 문학관이다 하계리(下桂里)는 원래 읍내면(邑內面) 향청리(鄕廳里)와 대사동리(大寺洞里), 정곡리(井谷里) 등에 속해 있던 마을로서, 후에 옥천읍 하계리가 되어 오늘에 이른다. 1739년의 기록에는 읍내면 향청리에 77호, 정곡리에 7호, 대사동..
옥천읍하계리에 자리한 정지용의 생가이다 정지용은 한의사인 아버지 태국(泰國)과 어머니 정미하(鄭美河) 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났다. 12세 때 송재숙(宋在淑)과 결혼했으며, 1914년 아버지의 영향으로 가톨릭에 입문했다. 옥천공립보통학교를 마치고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해서 박..
신라의 마지막 태자인 마의태자가 조성했다는 전설과도 부합되는 의의 깊은 마애불의 하나이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 17호로 지정 관리되고있다 이 마애불은 용암사 뒤편 장령산 바위벽에 양각한 여래입상으로, 정교한 조각 솜씨는 문화재적 가치가 크다 하겠다. 크기는 297cm (밑의 연..
옥천 죽향초등학교 교정에 자리한 육영수여사의 휘호탑이다 육영수(陸英修, 1925년 11월 29일 충북 옥천 - 1974년 8월 15일 서울)는 대한민국의 교육자, 사회사업가이자 대한민국 제5,6,7,8,9대 대통령 박정희의 영부인이다. 박정희의 두번째 아내이며, 정치인 박근혜, 사업가 박지만, 박서영의 어머니이다. 충북 옥천공립여자전수학교에서 교사로 1년여 간 재직한 바 있다. [편집] 생애 [편집] 생애 초기 충청북도 옥천에서 지역 유지였던 육종관과 이경령의 1남 3녀 중 둘째 딸로 태어났다. 아버지 육종관은 대지주였으며 여러 첩을 거느리고 있었다. 육영수는 대지주가의 장녀로 여러 친형제 자매와 이복 형제자매들과 함께 생활했다. 1938년 죽향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해 배화고등여학교에 입학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