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부도
- 오블완
- 화양구곡
- 화양동 암각자
- 부여박물관
- 사인암
- 효자각
- 각연사
- 상당산성
- 공산성 선정비
- 곡산연씨
- 한독의약박물관
- 청주박물관
- 단지주혈
- 선돌
- 문경새재
- 사과과수원
- 국립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문의문화재단지
- 효자문
- 밀양박씨
- 티스토리챌린지
- 경주김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법주사
- 청풍문화재단지
- 공주박물관
- 보성오씨
- Today
- Total
목록능성구씨 (9)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보은군 내북면 서지리 산8-1번지 서갖골에 있는 능성인(綾城人) 증이조참판(贈吏曹嵾判) 구수팽(具壽彭)의 묘로서 묘갈비는 숭정대부원임의정부우찬성겸홍문관제학세자좌빈객(崇政大夫原任議政府右贊成兼弘文館提學世子左賓客) 송근수(宋近洙)가 짓고 종사랑휘경원참봉 (從仕郞徽慶園參奉) 송응수(宋膺洙) 가 쓴 것으로 1880년에 세웠다. 신암 구수팽의 묘역을 정리하는데 물심양면으로 힘을 보탠 사람들의 비석이네요 2006년에 건립하였습니다. 구수팽은 본관은 능성(綾城) )이다.능성은 전남 화순군 능주면의 옛 지명입니다. 증조는 집의(執義) 구강(具綱)이고, 할아버지는 병조참의 구신충(具信忠)이며, 아버지는 생원(生員) 구이(具頤)이고, 어머니는 덕수 이씨(德水李氏)로 현감(縣監) 이의영(李宜榮)의 따님이다. 구수팽의 호는 신..
충청북도 보은군 마로면 관기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서당입니다.충북시도기념물 제 51호로 지정시기는 1984년 12월31일입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건불. 충청북도 기념물 제51호. 2단으로 쌓은 석축을 기단으로 하고 그 위에 정방형에 가까운 모양의 덤벙주춧돌을 놓고 민흘림으로..
1981년 5월 1일 충청북도지방기념물 제51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 중기에 김정(金淨:1486~1520)이 고봉(孤峰)이라 칭하고 학문을 연마하던 삼파연류봉(三派連溜峯) 정상에 최수성(崔壽城:1487~1521)이 고봉정(孤峰亭)을 세우고 은거하였다. 후에 병암(屛菴) 구수복(具壽福:1491~1535)이 이어받았다..
충청북도 보은군 마로면 관기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서당.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건불. 충청북도 기념물 제51호. 2단으로 쌓은 석축을 기단으로 하고 그 위에 정방형에 가까운 모양의 덤벙주춧돌을 놓고 민흘림으로 된 둥근 기둥을 앞면에 4개, 옆면에 3개씩 세워서 지었다. 공포(..
능성인 병암 구수복의 부인인 완산 이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1537년 중종 32년에 명정되어 세운 정문이다. 최초에는 마로면사무소 앞에 있던 것을 1976년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보은에서 상주로 가는 25번 국도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건믈은 정면 2.2미터 측면은 1.9미터 크기의 목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