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문경새재
- 국립청주박물관
- 각연사
- 부도
- 충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법주사
- 효자각
- 상당산성
- 청풍문화재단지
- 사인암
- 사과과수원
- 밀양박씨
- 문의문화재단지
- 한독의약박물관
- 화양구곡
- 부여박물관
- 효자문
- 단지주혈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보성오씨
- 공산성 선정비
- 티스토리챌린지
- 경주김씨
- 충북의 문화재
- 오블완
- 선돌
- 청주박물관
- 곡산연씨
- Today
- Total
목록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3836)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1976년 12월 21일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27호로 지정되었다. 안심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안심사는 신라 혜공왕(惠恭王) 11년(775) 진표율사(眞表律師)가 창건하고 평안한 마음으로 제자를 양성하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원명국사(元明國師)가 중건하고, 조..
안심사 대웅전 서쪽 뜰에 있는 탑비(塔碑)로,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27호로 지정된 청원 안심사 세존사리탑 바로 옆에 있다. 비좌(碑座)에 높이 1.5m·폭 60.5cm·두께 26.5cm의 비신(碑身)을 세우고, 그 위에 팔작지붕 형식의 옥개석(屋蓋石)을 올린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비(碑)이다. 앞면에 ..
절에 행사가 있을 때, 그 입구에는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이를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당간이 서 있는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는 예전에 용두사라는 절이 자리잡고 있던 곳이다. 용두사는 고려 광종 13년(962)..
충북 청원군 남이면 문동리 148에 위치하고 있다 퇴근 무렵 몇번이고 둘러보았지만 가까운 곳이니 또한번 찾아본다 그동안 사진한장 박질 못했으니 카메라도 동행했다 길가에 자그마한 절.... 조용한 절에 나즈막한 독경소리가 들린다 염불소리에 마음에 쓰여 바깥에서 절집만 사진을 박..
충강공 이상급 묘소는 옥로금발형의 대지인데 충강공은 병자호란 때 병조 참지를 지냈는데 난중에 순직한다. 충강공이 이곳에 유택을 만들게 된 것은 충강공의 처가가 이곳 밀양박씨댁이란다.밀양박씨댁과 혼사를 이룰 때 이런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충강공 이상급공이 어려서 장가를 ..
사락리 음동에 위치한 이상급신도비와 묘소 사이에 있는 열녀문화류씨정문은 단칸 목조와가(木造瓦家)로 정문 안에는 정려(旌閭)명칭과 정려를 받게 된 내용이 걸려 있다. 정려 명칭은 “열녀 통덕랑 이학보 처 유인문화류씨 지려(烈女通德郞李學普妻孺人 文化柳氏之閭)”로 세로로 두 글자씩 쓰여 있다. 정려를 받은 시기는 영종대왕 32년(1756년) 을사 9월로 기록되어 있다. 영종대왕은 묘호가 바뀌어 영조대왕으로 부른다. 정려를 받게 된 내용은 “비문이 지방문화재 63호로 지정받은 신도비 충강공의 5대손부로써 조부는 통정대부 여주목사(通政正夫驪州牧使)를 지내셨고 부친께서는 사마양시(司馬兩試)에 급제, 도사(都事) 벼슬을 하시어 태원종공일등(泰原從功一等)에 계시었고 그의 아드님이신 분은 문필단세(文筆壇世)하시어 돌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