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부도
- 효자문
- 각연사
- 청풍문화재단지
- 국립청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화양구곡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충주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사인암
- 문경새재
- 상당산성
- 사과과수원
- 티스토리챌린지
- 보성오씨
- 밀양박씨
- 부여박물관
- 청주박물관
- 법주사
- 오블완
- 경주김씨
- 한독의약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선돌
- 공산성 선정비
- 단지주혈
- 곡산연씨
- 문의문화재단지
- 효자각
- Today
- Total
목록신도비 (17)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소수면 고마리에 위치하고 있는 하동정씨의 재실과 사당입니다. 재실 한켠 마당에는 정경조의 신도비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소수면 고마리는 하동정씨들의 집성촌입니다. 사당인 숭모사와과 재실인 영모재는 근간에 신설한 것으로 후손들에 의하여 잘 관리 되고 있습니다.
유영길(柳永吉)은 조선 중기 전주유씨 충주 입향조이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덕순(德純), 호는 월봉(月蓬). 할아버지는 이조참판 유세린(柳世麟)이며, 아버지는 참봉 유의(柳儀)이다. 어머니는 노첨(盧僉)의 딸이며, 동생은 유영경(柳永慶)이다. 유영길의 비석은 비석을 바라보며 좌측..
미원면 쌍이리 오미마을에 위치하고 있는 조선후기 문신인 이성연의 묘갈이다. 이 묘갈은 이성연의 묘에서 조금 떨어진 산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형대석위에 비신을 세우고 그 위에 개석을 얹은 일반형이다. 조선 헌종 11년(1670년)에 세운 것으로 송시열이 짓고 썻으며 제전은 김수항이 썻다. 정면에 비석에는 조선통훈대부원주목사증가선대부병조참판겸동지의금부사이공묘갈명병서(朝鮮通訓大夫原州牧使贈嘉善大夫兵曹參判兼同知義禁府使李公墓碣銘幷序)라고 새겨있다. 크기는 가로 대석155 세로 102높이 82 비신은 너비 77.3 높이 170.5 두께 25이며 개석은 가로 136 세로 81 높이 60센티이다.관리상태는 나름 잘관리되고 있으며 글자들은 잘 확인할수 있다. 이성연은 1586(선조 19)∼1662(현종 3). 조..
배극렴의 신도비는 고종 25년(1888) 박성양(朴性陽)이 비문을 지어 세운 것으로 높이 200cm, 폭 45cm, 두께 31cm이다. 조선(朝鮮)의 개국공신인 배극렴(裵克廉 : 1325∼1392) 본관은 경산(京山), 자는 양가(量可), 호는 필암(筆菴), 문과에 급제하고, 고려에서 경상도 도순무사(都巡撫使)를 거쳐 조전원수(助戰元帥)가 됐으나, 이성계를 도와 조선의 개국공신으로 성산백(星山伯)이 되고 문하좌시중을 지냈다. 시호는 정절(貞節)이다. 그의 묘소(墓所)는 증평소방서옆 송산교를 건너 송산리 방면으로 증평종합사회복지관을 지나 송산리 마을 두타산 대야봉 아래에 위치해 있다. 배극렴의 묘소는 장방형(長方形)으로 가로 3.47m·세로 4.37m·높이1.70m이고, 상석은 가로 1.20m·세로 0.8..
안락리 마을입구에 자리하고 있는 유몽정의 신도비이다. 유몽정은 조선 중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문신이다.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경임(景任), 호는 학암(鶴巖). 유관(柳寬)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사헌부감찰을 지낸 유용량(柳用良)이고, 어머니는 안동인 권련의 딸이다. 1567년(명종 22..